KLI

Inherent Celluar Radiosensitivity as a Predictive Assay for Human Head and Neck Cancer and Uterine Cervical Cancer Radiocurability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세포 자체의 방사선 민감도 측정으로 두경부 종양 및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효과를 예측함
Abstract
종양의 조직학적 형태에 따라 또 같은 조직의 종양에서도 각 환자에 따라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 정도에는 많은 차이가 관찰된다. 이러한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하는 한 방법으로 각 환자에서 떼어낸 종양조직을 1차 배양하여 방사선 조사에 의한 세포생존곡선을 구한 뒤 2Gy에서의 생존(SF2)을 얻었다.

방사선 치료가 계획된 두경부 조양과 자궁경부암 환자의 종양 조직을 얻어 기계적인 방법으로 미세절편으로 만든후 collagenase type Ⅳ와 2시간 배양하여 단일 종양세포 혼탁액을 얻었다. Cell adhesive matrix로 전리된 24 well plate에 각 well당 일정수의 세포를 넣어 24시간 배양한 뒤 각열에 0, 1, 2, 3, 4, 6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13일간 배양후 crystal violet으로 염색한 뒤 image analysis system을 이용하여 각 well의 광학밀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을 구한다. 배양된 세포가 편평 상피암세포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cytokeratin과 epithelial monoclonal 항체를 이용한 immunocytochemical 염색을 하여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0명의 두경부종양 환자와 30명의 자궁경부암 환자의 종양조직을 얻어 실험하여 24명(60%) 종양의 2Gy 생존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16명의 일차배양 실패의 원인은 단일 종양세포 혼탁액에 종양세포가 너무 적었거나 세포이식후 배양이 잘 자라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다. 24 편평 상피암 세포의 SF2의 평균은 0.52±0.15이었으며 범위는 0.20에서 0.79까지로 같은 편평상피암이라도 각 환자에 따라 SF2 값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경부 종양과 자궁경부암 환자의 SF2 값은 0.56±0.12와 0.50±0.17로 차이가 없었다.

이상에서 같은 부위에 생긴 같은 조직 유형의 종양이라도 각 환자마다 SF2 값의 차이가 큰 것으로 보아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한 인자로 SF2값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종양의 조직학적 형태에 따라 또 같은 조직의 종양에서도 각 환자에 따라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 정도에는 많은 차이가 관찰된다. 이러한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하는 한 방법으로 각 환자에서 떼어낸 종양조직을 1차 배양하여 방사선 조사에 의한 세포생존곡선을 구한 뒤 2Gy에서의 생존(SF2)을 얻었다.

방사선 치료가 계획된 두경부 조양과 자궁경부암 환자의 종양 조직을 얻어 기계적인 방법으로 미세절편으로 만든후 collagenase type Ⅳ와 2시간 배양하여 단일 종양세포 혼탁액을 얻었다. Cell adhesive matrix로 전리된 24 well plate에 각 well당 일정수의 세포를 넣어 24시간 배양한 뒤 각열에 0, 1, 2, 3, 4, 6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13일간 배양후 crystal violet으로 염색한 뒤 image analysis system을 이용하여 각 well의 광학밀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을 구한다. 배양된 세포가 편평 상피암세포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cytokeratin과 epithelial monoclonal 항체를 이용한 immunocytochemical 염색을 하여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0명의 두경부종양 환자와 30명의 자궁경부암 환자의 종양조직을 얻어 실험하여 24명(60%) 종양의 2Gy 생존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16명의 일차배양 실패의 원인은 단일 종양세포 혼탁액에 종양세포가 너무 적었거나 세포이식후 배양이 잘 자라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다. 24 편평 상피암 세포의 SF2의 평균은 0.52±0.15이었으며 범위는 0.20에서 0.79까지로 같은 편평상피암이라도 각 환자에 따라 SF2 값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경부 종양과 자궁경부암 환자의 SF2 값은 0.56±0.12와 0.50±0.17로 차이가 없었다.

이상에서 같은 부위에 생긴 같은 조직 유형의 종양이라도 각 환자마다 SF2 값의 차이가 큰 것으로 보아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한 인자로 SF2값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uthor(s)
Nam,Joo-HyunLee,InchulKim,Sang-YoonYu,EunsilKim,Sang YoelChang,HyesookCho,Jeong GillChoi,Eun Kyung
Issued Date
1994
Type
Research Laboratory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5354
http://ulsan.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025379
Alternative Author(s)
남주현이인철김상윤유은실김상열장혜숙조정길최은경
Publisher
울산의대학술지
Language
eng
Rights
울산대학교 저작물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Citation Volume
3
Citation Number
2
Citation Start Page
33
Citation End Page
38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Laboratory > The ULSAN university medical journal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