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성교육' 인식과 요구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국 문 초 록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성교육’ 인식과 요구에 관한 연구

아동가정복지학 전공 손 인 옥
지 도 교 수 정 민 자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성교육 실태와 인식, 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자녀의 발달에 맞는 부모성교육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는 어머니만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한 경우가 많은데 이번 연구는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부모성교육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부모가 먼저 올바른 성(性) 가치관으로 행복하고 건강한 성생활을 하며, 영유아기 때부터 부모-자녀 간 성(性)과 관련된 대화와 소통에 도움을 주는 자료개발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6월 23일 ~ 7월 17일까지 울산광역시에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65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부모의 성교육 실태와 인식, 요구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NVivo R1(20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모두 성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이러한 성교육의 필요성은 80년대 처음으로 공교육 안에 들어왔고, 90년대 이후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그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학사노하우, 08.10.31.). 그러나 실제 이루어지는 성교육 실태는 여전히 낮게 나타났다. 현재 부모의 성교육 실태와 인식,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으나 성교육 실태와 인식은 선행연구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할 점은 왜 성교육과 관련한 많은 연구가 있었음에도 실제로 이루어지는 성교육에는 변화가 없었냐는 것이다. 과연 실행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없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자녀의 성교육 시작 시기와 방법, 접근성, 놀이를 통한 성교육 방법, 장애아를 위한 부모성교육프로그램, 전문적인 시스템 구축과 자료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부모의 실제 요구들이 부모성교육 프로그램에 반드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놀이를 통한 성교육 실제를 제언하고자 한다.
영유아기는 성에 대한 기초 개념이 형성되는 시기로 오감을 통해 성욕을 충족하고(하임 기너트, 2003), 놀이를 통해 오감을 충족한다(전남련, 최진원, 권경미, 박은희, 남궁기순, 2013). 이에 부모로부터 사랑을 받고 충분한 놀이를 통해 오감이 충족되는 것이 영유아의 성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하임 기너트, 2003). 영유아는 부모에게 절대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로 부모가 먼저 올바른 성(性) 가치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정민자, 2013). 부모 중 한 사람이 아니라 부모가 함께 올바른 성(性) 가치관을 갖고 자녀에게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성(性)과 관련하여 대화하고,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린다 에어, 리처드 에어, 2013) 이에 영유아는 부모로부터 올바른 성(性)에 대해 배우게 될 것이다.

첫째, 가정에서 부모는 부모교육을 통해 아이와 충분한 오감을 자극하는 놀이를 한다.
둘째, 영유아 교육기관에서는 일과 중에 충분한 놀이시간을 확보한다.
셋째, 성교육 전문가는 부모가 다양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놀이를 통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넷째, 가정, 기관, 성교육 전문가가 국소적으로 실천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전 국민이 보편적으로 건강하고 올바른 성(性)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에서 성교육 정책을 만들 것을 제언한다.

▣ 주제어 : 영유아기 자녀, 부모성교육, 부모의 인식, 성교육 요구도, NVivo R1
|Abstract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Sexuality Education of Parents’ Who Raise Preschoolers

Son, In-Oc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Supervised by Prof. Jung, Min-Ja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state, recognition, and needs of sexuality education of parents’ who raise preschoolers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the execution of parent sexualit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s development. Most preceding studies investigated mothers’ recognition and need only, but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provides the baseline data for the execution of parent sexuality education for both parents. This study would prepare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that helps the parents first have a happy and healthy sex life with the right sexual values and help them have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about sex with their children from early childho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rents’ actual state, recognition and needs for sexuality education through a survey with 651 parents who raise preschoolers living in Ulsan Metropolitan City from June 23 through July 17,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NVivo R1 (2020).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sexuality education was very high in all parents who raise preschoolers. This need for sexuality education entered public educ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1980s, which has been raised till now since the 1990s (Know-How of Academic Affairs, Oct. 31, 2008). And yet, the actual state of sexuality education was still low. Currently, studies began to investigate the parents’ actual state, recognition, and needs for sexuality education, but the actual state and recognition of sexuality education have not differed much from the preceding studies. And yet, what should be noted here is why there was no change in sexuality education provided despite there were many studies related to sexuali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heck if there was no way to increase the execution. Also, the starting time and method of sexuality education for children, accessibility, sexuality education method through play, parents’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disabled children, and professional system construction and materials were required. These needs of the real parents must be applied to the parents’ sexuality education program.

Thus, this study would propose practical sexuality education through playing.
Early childhood is a period in which the basic concept of sex is formed when they satisfy sexual desire through five senses (Ginott, 2003) and satisfy the five senses through play (Jun, Choi, Kwon, Park, & Namgung, 2013). Accordingly, sexual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allowing them to be loved by parents and fulfill the five senses through sufficient play (Ginott, 2003). Young children are absolutely influenced by parents, so it is important for the parents to have the right sexual values (Jung, 2013). It is important for both parents, instead of one of the two, to have the right sexual values and naturally talk to the children and provide education about sex in life (Eyre & Eyre, 2013). Thus, young children would learn the right sex from their parents.

First, parents play enough to stimulate the five senses through parent education at home.
Seco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ensure enough playtime during the daily routine.
Third, sexuality education experts develop sexuality education programs through play that parents can easily access.
Fourth, there should be limitations in local practice by households, institutions, and sex education experts. This study suggests that sexuality education policies should be made at the national level so that all the people can universally form healthy and right sex cultures.

▣ Key Words: Preschoolers, Parents’ sexuality education, Parents’ recognition, Needs for sexuality education, NVivo R1
Author(s)
손인옥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02
Type
Dissertation
Keyword
영유아기 자녀부모성교육부모의 인식성교육 요구도NVivo R1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5722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68935
Alternative Author(s)
Son In-Oc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아동가정복지학과
Advisor
정민자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정복지학과
Language
kor
Appears in Collections:
Child family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