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목표체온조절치료를 받은 병원 외 심정지 생존자의 신경학적 회복예측에 대한 중증도 점수들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연구배경
병원 외 심정지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환자에서 정확한 신경학적 회복의 예측은 추후 처치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나 아직까지 신뢰할만한 예측수단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SOFA) 점수 및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II 점수는 중환자실에 입실하는 환자에서 중증도를 반영하고 예후와 관련된 지표로 알려져 있으나 목표 체온조절 치료를 받은 병원 외 심정지 환자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혼수 상태로 목표 체온조절 치료 받은 병원 외 심정지 환자에서 SOFA 점수와 APACHE II 점수를 연속적으로 평가하였고, 이 점수들이 신경학적 회복을 예측하는 지표로서의 유용성에 대해 비교 및 평가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0 년 1 월부터 2015 년 12 월까지 중환자실에 혼수 상태로 입원하여 목표 체온조절 치료를 받은 병원 외 심정지 환자를 분석하였다. 해당 환자들의 SOFA점수와 APACHE II 점수를 입원 시, 입원일 1, 2, 3, 5, 7 일에 각각 계산하였다. 심정지 발생 후28 일 후의 신경학적 결과와 28 일 사망률을 각각 일차 목적과 이차 목적으로 정하여 분석하였다. 28일 후의 신경학적 결과와 사망률을 예측하는 지표로서 SOFA 및 APACHE II 점수의 유용성에 대하여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와 곡선하면적 (Area under the curve)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143 명의 환자 중 62 명이 생존하였고, 이들 중 34 명은 28 일째 좋은 신경학적 결과를 보였다. 좋은 신경학적 결과를 보인 집단과 나쁜 신경학적 결과를 보인 집단간에 SOFA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입원 시 (10.5 vs. 11.0, P=0.201)를 비롯하여 입원 1일 (12.0 vs. 11.0, P=0.163), 입원 2일 (11.0 vs. 12.0, P=0.657), 입원 3일 (11.0 vs. 10.0, P=0.804), 입원 5일 (9.0 vs. 9.5, P=0.647)까지 두 군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Extracerebral SOFA 점수 역시 입원 시 (6.5 vs. 7.0, P=0.318), 입원 1일 (8.0 vs. 7.0, P=0.170), 입원 2일 (7.5 vs. 8.0, P=0.757), 입원 3일 (7.0 vs. 6.0, P=0.240), 입원 5일 (6.0 vs. 6.0, P=0.729)까지 두 군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APACHE II 점수는 두 군간 비교 시 나쁜 신경학적 결과를 보인 집단에서 입원 시 (23.0 vs. 27.0, P=0.001), 입원 1일 (22.0 vs. 27.0, P<0.001), 입원 2일 (16.0 vs. 19.0, P=0.001), 입원 3일 (15.0 vs. 19.5, P<0.001), 입원 5일 (15.5 vs. 20.0, P<0.001), 입원 7일 (11.0 vs. 18.0, P<0.001)으로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SOFA 점수의 28일 나쁜 신경학적 결과에 대한 곡선하면적 값은 입원 시 0.572, 입원 1일 0.427, 입원 2일 0.526, 입원 3일 0.485, 입원 5일 0.529 였다. 이와 달리 APACHE II 점수는 28일 나쁜 신경학적 결과에 대한 곡선하면적 값이 입원 시 0.697, 입원 1일 0.716, 입원 2일 0.695, 입원 3일 0.793, 입원 5일 0.761 였다. APACHE II 점수의 곡선하면적은 3일 째 가장 높았고, 이 때의 28일 나쁜 신경학적 결과에 대한 최적 판정기준치는 15였으며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83.75%, 61.76% 이었다.

결론
상기 결과는 심정지 후 치료로 목표체온조절치료를 받은 병원 외 심정지 환자들에서 APACHE II 점수가 환자의 신경학적 결과를 예측하고, 임상의가 추가적인 치료를 결정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Author(s)
이유진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8-02
Type
Dissertation
Keyword
cpcrapacheII scoresofa score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664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07438
Alternative Author(s)
YOU JIN LEE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과학전공
Advisor
김원영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의과학전공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Medical Science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