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사이코드라마에 기반한 공감능력향상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Metadata Downloads
Abstract
Abstract

Development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empathy ability based on
psychodrama

Seo. Kyung A
Dep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Ulsan University
Major Advisor : Jung, Jong W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rogram of parent education for enhancing empathy based on psychodrama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helping promote parents’ empathy.
First, in the step of design-based theory model development, the researcher examined intersubjectivity in a phenomenological aspect as a component of sympathy, going further from the traditional cognitive, emotional sympathy,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By presenting the aspect of the expansion of the recognition of sympathy, the researcher would draw the framework of the design of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of parent education for enhancing empathy. Intersubjectivity refers to the process of interpersonal relations in which one’s subjective experience continuously affects the other’s subjective experience and vise versa, which is the experience shared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In the sympathy circuit, which includes mirror neurons, the mechanism of empathy in the neurergic mechanism, the imitation based on motility is considered an important mechanism through which others’ intention and emotions can be understood, and it is explained that sympathy is fulfilled better through imitation or mimicry through simulation. This connects with the understanding of phenomenological intersubjectivity of sympathy from a neuroscience perspective.
The core principle of psychodrama is experi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 in which the experience of the sympathetic process through the concept and techniques of psychodrama helps share the world of meaning of phenomenological intersubjectivity. Of the three techniques of psychodrama, that is, role-playing, doubling and role reversal, especially, the role reversal is the technique that allows phenomenological bilateral sympathy that helps sympathy in terms of cognitive science, bottom-up and top-down, simultaneously (Yaniv, 2011). Also, this study proposed the direction of the re-experience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development of sympathy through role-playing.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connected the theory of the development of psychodrama centering around the sympathy process cycle model and intersubjectivity. By doing so, this study proposed an extensive sympathy process model based on psychodrama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of sympathy for parents.
The program completed based on the extensive sympathy process cycle model can be summarized by each step as follows: In the program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Steps 1 and 2 is a perception-action model of sympathy (PA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irror neuron, the biological mechanism of sympathy, which presented primary and secondary intersubjectivity. The perception of the other’s action and feeling is represented in the same way as one experiences the action and feeling oneself. To describe this with the neuron system, the perception of the other’s actions and emotions automatically and unconsciously activate the same cortical region in the brain, which causes emotional status similar to that of the other. This is the perception based on the body as Husserl says, which can be described by the intersubjectivity in which one begins to experience the other revealed by this perception. Steps 3 and 4 presented the focuses of recognition of sympathy, including self-recognition, other-recognition, emotion recognition, mutual understanding and interrelation based on Barrett-Lennard’s model of empathy cycle. In particular, the model describes the interrelation of the recognition of sympathy as a sympathetic element with intersubjectivity as a shared understanding and proposes intersubjectivity in which these processes lead to cyclic connection again and are gradually enhanced.
In addition, steps of a formative cycle for field application and improvement consisted of the 1st program formative cycle process and the 2nd program formative cycle process. At the time, in both the 1st and 2nd formative cycles, the education program of sympathy for parents designed based on the extensive sympathy process cycl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implemented with parents with infants. Also, to get the expertise reviewed through gathering opinions on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program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a panel of 17 persons was selected to conduct the 1st Delphi survey. The questions in the 1st Delphi survey were those asking if the program structure, the components of sympathy in the program model, and the activity contents accordingly would be appropriate. Through the 1st and 2nd Delphi surveys, this study examined if the activity goal of each session of the program would be appropriate and the lecture and main activities in the activities of each session would be appropriate with the response distributions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As for the method for analysis of the Delphi survey,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content validity ratio (CVR) for each item of the questions to examine the validity of each question, consensus to examine the experts’ consensus, the analysis of the statistical value of convergence and content analysis of the open-form questions. With the results finally agreed, centering around the results which were in a significant level, qualitative survey of the 1st survey participants’ experience and the efficiency survey of the 2nd survey participants, the 1st program and 2nd program were completed and the final sympathy program for parents were completed.
The final program consisted of four steps, and the total sessions of the program activities were eight sessions. First, the preliminary step. It is a step for the orientation of the program and the examination and sharing of the parents’ present condition and position, which is called “opening up oneself.” To examine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 by step, Step 1 consisted of “exploring one’s emotions”,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passing down affection.” for the goal of paying attention to one’s thoughts and emotions and helping for self-awareness. Step 2 aimed to achieve the goal of one’s true interest in others. For this purpose, it consisted of the activity contents, including “child’s self-esteem” and “meeting with our children” to help recognize others, paying attention to others’ internal thoughts or emotions and recognize other’s emotions through empathy. Step 3 consisted of “emotional coaching dialogue role-play training” as the program activity contents of the communication to help achieve the goal of understanding others and understanding what each other felt. Step 4 consisted of the interrelation through ‘meeting with children as the program activity to help promote intersubjectivity through interrelation, the goal of this ste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discussion of intersubjectivity beyond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sympathy broadened the horizon of sympathy from a wide perspective. To do so, this study would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tial essence or characteristics of sympathy through which one can go into the other’s world of perceptions and feel the meaning flowing inside and understand the other’s perspective as an attempt to understand sympathy in terms of phenomenology and neuroscience. Second, this study shows the validation proces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hich helps understand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and presented a concrete education program of sympathy for parents, of which the validity is verified. Third, psychodrama has a characteristic that completes the therapeutic experience centered around the main character. In that it is somewhat difficult to generalize this characteristic, this study presented a generalized and structured psychodrama program that could promote all the changes in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utilizing the therapeutic technique of psychodrama, which is significant.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public due to the subjects of parents, therapeutic accessibility of psychodrama, sympathetic understanding of intersubjectivity with a philosophical background.
Thus,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ould be made for follow-up studies. 1) It is suggested that the effectiveness should be verified through the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developed program. 2) Realistically, there ar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due to the difficulty in the concret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conducted based on phenomenology and the abstruseness of phenomenology itself.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reinterpret the extended concept of sympathy through stricter verification academically. 3) It is suggested that in terms of the subjects, a program should be applied for enhancing the empathy of children, the direct subjects of parenting for more effective research.


Key words : empathy, program of parent education, psychodrama, intersubjectivity, model of empathy.
|본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공감능력을 증진할 수 있도록 도와 자녀의 정서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사이코드라마를 기반으로 하는 공감능력 향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먼저 설계기반 이론모형 개발단계에서는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인지적, 정서적 공감에서 더 나아가 현상학적 측면에서의 상호주관성을 공감의 구성요소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공감인식의 확장적 측면을 제시함으로써 공감능력 향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적 설계의 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상호주관성은 한 사람의 주관적 경험이 다른 사람의 주관적 경험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그 반대도 성립하는 대인관계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자기와 타자간의 공유된 경험이다.
신경작용의 메커니즘적 공감능력의 기제인 거울신경 세포를 포함한 공감회로에서는 운동성을 바탕으로 한 모방을 타인의 의도와 감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기제로 보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모방이나 흉내를 통해 공감이 더 잘 이루어진다고 설명한다. 이는 공감에 대한 현상학적 상호주관성에 대해 신경과학적 측면의 이해와 연결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사이코드라마의 핵심적 원칙은 경험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코드라마의 개념과 기법을 통한 공감 과정적 경험이 현상학적 상호주관성의 의미세계를 공유할 수 있도록 돕는 측면을 살펴보았다. 사이코드라마의 3대기법 즉, 역할놀이, 이중자 기법, 역할교대에서 특히 역할교대는 인지 과학적 측면의 공감인 상향식(bottom-up)과 하향식(top-down)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돕는 현상학적 쌍방 공감이 이루어지게 하는 기법이라고 볼 수 있다(Yaniv, 2011). 그리고 역할놀이를 통해 부모-자녀 관계의 재 경험과 공감발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과정 순환모델과 상호주관성을 중심으로 사이코드라마의 발달론을 연결시켰다. 이로서 부모대상 공감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사이코드라마를 기반으로 한 확장적 공감과정 모델 제시하였다.
확장적 공감과정 순환모델을 기반으로 완성된 프로그램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그램 모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2단계는 공감의 생물학적 기제인 거울뉴런의 특징들을 기반으로 한 공감의 인식-행동 모델(PAM)로서 일차적, 이차적 상호주관성을 제시하였다. 다른 사람의 행동과 느낌에 대한 지각은 그러한 행동과 느낌을 스스로 경험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표상된다. 이를 뉴런체계로 설명하면 다른 사람의 행동과 느낌에 대한 지각으로 뇌의 같은 피질 영역이 자동적이고(automatically), 무의식적으로(unconsciously)활성화되어 다른 사람과 유사한 정서적 상태가 유발된다. 이것은 Husserl이 말하는 것처럼 신체를 기반으로 하는 지각이며, 이 지각에 의해 드러나는 타자를 경험하기 시작하는 상호주관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3, 4단계는 Barrett-Lennard의 순환적 공감 모델을 기반으로 자기인식, 타인인식, 정서인식, 상호이해, 그리고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공감의 인식 초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공감 인식에 대한 상호관계를 공유된 이해로서 공감요소를 상호주관성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들이 다시 순환적 연결로 이어져 점점 증진되는 상호주관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현장적용 및 개선을 위한 형성적 순환단계는 1차 프로그램 형성적 순환과정과 2차 프로그램 형성적 순환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때 1차, 2차 형성적 순환과정 모두 본 연구에서 계발된 확장적 공감과정 순환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된 부모대상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영·유아 부모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타당도와 개선 방향성에 대한 의견수렴을 통해 전문성을 검토받기 위해 17명의 패널들을 선정하여 1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 설문 문항은 프로그램 구성 체계와 프로그램 모형의 공감의 구성요소와 그에 따른 활동내용이 타당한지 여부를 설문 문항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1,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각 회기별 활동 목표가 타당한지 여부와 각 회기별 활동에서 강의와 중심활동 내용이 타당한지 여부를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를 통한 반응분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델파이 설문지 분석방법은 각 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의 각 항목에 대한 내용 타당도 비율(, content validity Ratio), 전문가 합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합의도, 수렴도의 통계 값 분석방법과 개방형식 질문에 대한 내용분석을 이루어졌다. 이러한 결과에서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최종적으로 합의된 결과와 1차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2차 참여자들의 효율성 조사를 중심으로, 1차에서 2차 프로그램을 그리고 최종 부모대상 공감프로그램이 완성되었다.
최종 프로그램 구성은 4단계로, 프로그램 활동 총회기는 8회기로 구성하였다. 먼저 예비단계로 프로그램에 대한 오리엔테이션과 현재 부모자신의 상태와 위치를 살펴서 함께 공유하는 단계로서 자기열기 단계가 실시된다. 그리고 프로그램 단계별 구성을 살펴보면, 1단계에서는 목표인 자신의 사고나 감정에 주의를 기울여 정확하게 자기인식을 돕는 프로그램 활동내용으로 ‘자신의 감정탐색’, ‘가족과 관계 갈등’, ‘애착의 대물림’으로 구성하였다. 2단계에서는 목표인 진정한 타인의 관심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타인의 내적인 사고나 감정에 주의를 기울이는 타인인식과 감정이입을 통한 정서인식을 도울 수 있는 ‘아이의 자존감’, ‘우리들의 아이 만나기’로 활동내용을 구성하였다. 3단계에서는 목표인 타인을 이해하고 느낀 것을 상호이해를 돕는 의사소통, 즉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활동내용으로 ‘감정코칭 대화법 역할극 훈련’으로 구성하였다. 4단계에서는 목표인 상호관계를 통한 상호주관성의 증진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활동으로, ‘자녀(아이)와의 만남’을 통한 상호관계로 구성하였다.
본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넘어 상호주관성 대한 고찰은 넓은 시각으로서의 공감에 대한 지평을 넓혔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이고 신경과학적 측면에서 공감이해의 시도로 다른 사람의 개인적인 지각 세계 안으로 들어가 내부에 흐르는 의미를 느끼고, 상대방의 관점을 이해 할 수 있는 공감의 경험적 본질이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했다. 둘째, 자신과 자녀의 이해를 돕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정에 대한 타당화 과정을 본 연구에서 보여주고 있으며, 타당성이 검증된 구체화된 부모대상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셋째, 사이코드라마는 주인공 중심의 치료적 경험을 완성시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다소 일반화가 어렵다는 점에서 사이코드라마라 치료기법 활용하여 정서, 인지, 행동 측면의 모든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일반화 되고 구조화 된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부모라는 대상과 사이코드라마가 가지는 치료적 접근성과 철학적 배경을 가지는 상호주관성이라는 공감적 이해는 다소 일반화 대중적인 이해의 어려움과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후속 연구에서는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의 다양한 실시를 통한 효과성 검증을 제안한다. 2) 현실적으로 현상학적 토대로 이루어진 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검증과 현상학 자체의 난해함으로 인해 이해의 어려움이 있다. 이에 대한 학술적으로 더 엄밀한 검정을 통한 확장된 공감의 개념에 대한 검토와 재해석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3) 실시 대상에 있어 부모양육의 직접 대상인 자녀에게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더욱 효과성 있는 연구를 제안한다.

주요어 : 공감능력, 사이코드라마, 부모교육 프로그램, 상호주관성, 공감 모델.
Author(s)
서경아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02
Type
Dissertation
Keyword
공감능력사이코드라마부모교육 프로그램상호주관성공감 모델.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728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87127
Alternative Author(s)
Seo Kyung A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정종원
Degree
Docto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Pedagogy > 2. Theses (Ph.D)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