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보육교사가 지각한 전문성 인식과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에 따른 역할수행

Metadata Downloads
Abstract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to suggest methods to increase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teacher through looking into the effects that role performance in relation to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
I set five research problem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irst problem is whether there is role performance by child care teacher according to child care center variable or not. Second one is whether there is professional recognition by child care teacher according to child care center variable or not. Third one is whether there is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by child care teacher according to child care center variable or not. Fourth one is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recognitio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 and role performance in relation or not. Fifth one is how professional recognitio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wareness impact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46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 teacher located in Ulsan. This researched used the scale of role performance of Kim Seong-soo(2002) developed and us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t in order to measure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This researched used the scale of professional recognition of Wang(2005) developed and Song geun-yeong(2017) adapted and us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t in order to measure professional recognition by child care teacher. This researched used the scale of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of Laub(1999) developed and Kim Gum-yeong(2017) adapted and us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t in order to measur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by child care teacher.
I analyzed the collected data in the following way, using SPSS 22.0 program. First, I analyzed if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between teacher variable and child care center variable which are two of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through t-test and F-test. Secondly, I analyzed if there is a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in role performance in relation to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Finally, I analyzed the impact on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through Multiple Regression.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I looked into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ge, marital status of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I looked into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ype of certification, career, type of child care center of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by child care teacher.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based on professional ability, administrative control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specialized kidney ability, protection abili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role performance based on valuing, developing people, building community, displaying authenticity, providing leadership, sharing leadership.
Thirdly, about the impact of professional recognitio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on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the result was that professional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valuing, and administrative control abilit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se research results that there impact of professional recognitio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on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re aware of the expertise to fulfill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which must be considered top priorit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ed important Yosoru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care.|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전문성 인식과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에 따른 역할수행을 알아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다섯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어린이집 변인에 따라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어린이집 변인에 따라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교사·어린이집 변인에 따라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어떠한가. 넷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전문성 인식 및 역할수행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다섯째, 보육교사 역할수행에 대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전문성 인식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46명이었다. 보육교사 역할수행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희경과 김성수(2002)가 개발한 도구를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Wang(2005)이 개발한 전문성 인식 척도를 송근영(2017)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하여 Laub(1999)가 제시한 척도를 김금영(2017)이 어린이집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t-검증, F-검증으로 교사 변인과 어린이집 변인 간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전문성 인식,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둘째, Pearson’s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따른 역할수행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단계적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 regression)으로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역할수행은 연령, 결혼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결혼유무, 자격증 급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전문성 인식과 교사 역할수행에 대한 상관관계는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인 교수 능력, 운영관리 능력, 의사소통 능력, 전문성 신장 능력, 보육보호 능력 및 전문성 인식(전체) 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 역할수행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가치존중, 성장지원, 공동체 형성, 진정성, 리더십 발휘, 리더십 공유 및 서번트 리더십(전체) 모두 교사 역할수행의 하위요인인 보육 및 기본생활지도, 교육 및 교수활동, 상담 및 정서적 지원, 연구 및 반성적 실천, 관련적 역할 및 역할수행(전체)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 역할수행에 미치는 각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 본 결과, 역할수행의 전체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인 교수능력, 의사소통능력,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리더십 공유,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인 운영관리능력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육교사가 지각한 전문성 인식과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역할수행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보육교사가 지각한 전문성 인식,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의 관계를 규명하여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요소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uthor(s)
윤채영
Issued Date
2018
Awarded Date
2018-02
Type
Dissertation
Keyword
보육교사 역할수행보육교사 전문성 인식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738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011265
Alternative Author(s)
Youn,Chae Young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아동가정복지학과
Advisor
김영주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정복지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Child family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