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눈부속기 변연부 B세포 림프종에서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그 임상적 중요성

Metadata Downloads
Abstract
Background: Extranodal marginal zone lymphoma of the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MALT) type is the most common subtype of ocular adnexal lymphoma. Despite its excellent prognosis, some have not shown complete remission(CR). We aimed to determine clinicopathologic differences in the treatment responder group but did not show complete remission.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ata of 47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ocular adnexal MALT lymphoma at Ulsan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02 and August 2018.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6 months were excluded. Clinicopathologic features were analyzed. Among the 47 patients, 33 patients achieved CR, and 14 patients achieved non-CR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42.6 months(range 7–109 months). In the univariable analysis, serum lactate dehydrogenase(LDH) levels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non-CR group. In the multivariable analysis, the application of treatment including radiotherapy(RT) or chemotherapy was associated with CR(odds ratio 6.347, 95% confidence interval 1.040–38.724, p=0.045). In sub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site of involvement, none of the variable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the group including only conjunctiva, and the group including non-conjunctiva. Six(12.8%) cases had recurred in total and cases with a recurring site other than the primary site had higher Ki-67 labeling index.
Conclusions: Our study suggests several histologic features in ocular adnexal MALT lymphoma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ites. Although belonging to early stages, the non-CR rate was high in patients with high serum LDH levels and treatment including radiotherapy or chemotherapy was essential. Thus, considering active treatment is recommended
|배경 : 점막 관련 림프조직 변연부 림프종은 눈부속기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림프종 아형이다. 이 종양의 좋은 예후에도 불구하고 일부 환자에서는 완전관해를 보이지 못하였다. 우리는 치료에 반응하지 않았거나, 반응하였으나 완전관해를 보이지 못한 환자들에서 보이는 임상병리의 특징 차이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 이 연구는 2002년 3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울산대학교병원에서 눈부속기 변연부 B세포 림프종을 진단 받은 47명의 환자 자료를 후향적 분석하였다. 6개월 내로 관찰된 환자들은 제외하였다. 환자들의 임상병리학적 특징들을 분석하였고, 평균 관찰기간 42.6달 (range 7-109달) 동안 47명 환자 중 33명은 완전관해를 보였으며, 14명의 환자들은 완전관해를 보이지 못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혈청 LDH 값이 완전관해를 보이지 못한 군에서 더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방사선 치료와 항암 치료를 포함하는 치료 여부가 완전관해와 관련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odds ratio 6.347, 95% confidence interval 1.040–38.724, p = 0.045). 침범하는 기관에 따라 결막 침범군과 결막외 침범군을 나눈 하위집단 분석에서 두 그룹 간에 차이를 보이는 변수는 없었다. 6명 (12.8%)의 환자들이 재발하였으며, 원발 부위 외에 다른 곳에서 재발한 환자들의 Ki-67 index가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결론 : 이 연구는 눈부속기 변연부 B세포 림프종의 여러 병리학적 특징을 제시하였고, 침범 기관에 따른 분석을 제시하였다. 이 결과는, 초기 병기라도 완전관해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치료를 하여야 하며, 혈청 LDH 값이 높거나, Ki-67 index가 높을 때는 특히 주의를 요하여야 하겠다.
Author(s)
최소연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2
Type
dissertation
Keyword
MALT lymphomaOcular adnexaConjunctivaPrognostic factor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0011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4589
Alternative Author(s)
SoyeonChoi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Advisor
최혜정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Language
eng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 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