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가도세틱산 조영증강 MRI에서의 국소 간 병변의 크기 측정과 LI-RADS 분류에 대한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목적: 가도세틱산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MRI)에서 국소 간 병변의 크기를 측정하는 데 있어 병리학적 측정과 비교하여 가장 좋은 영상 시퀀스를 찾고, 간 영상 판독보고 및 데이터 시스템(LI-RADS)에 미치는 임상적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가도세틱산 조영증강 MRI를 시행 받고 이어서 간 절제술을 시행 받은 253명의 환자(279개의 병변)가 후향적으로 포함되었다.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독립적으로 6개의 MRI 시퀀스(T1 강조영상, T2 강조영상, 동맥기, 문맥기, 이행기, 간담도기)에서 병변의 가시화 점수와 크기를 측정하였고, 병변의 크기에 따라 LI-RADS 분류를 하였다. 피어슨 상관계수로 MRI에서 측정한 크기와 병리학적으로 측정된 크기의 상관성을 평가하고,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가시화 점수와 MRI와 병리학적 측정 간의 절대적 차이를 비교하였다. 각 MRI 시퀀스에서 측정된 크기에 따른 LI-RADS 분류는 Cochran’s Q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279개의 병변 중 247개의 간세포암, 21개의 간세포암이 아닌 악성종양, 11개의 양성병변이 포함되었다. 6개의 MRI 시퀀스 중 간담도기가 가장 높은 가시화 점수(4.1 ± 0.6)와 높은 상관계수(r = 0.965)를 보였다. MRI와 병리학적 측정 간의 절대적인 차이는 이행기에서 가장 낮았으며(2.3 mm ± 2.2), 간담도기에서 다음으로 낮았다(2.4 mm ± 2.1). LI-RADS 분류에서 간담도기에서 분류 불가능(LR-NC)인 경우가 없었다.
결론: 간담도기는 가도세틱산 조영증강 MRI에서 가시성, 병리학적 소견과의 상관성, LI-RADS 분류를 고려했을 때 국소 간 병변의 크기를 측정하는 데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Purpose: We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image sequence for measurement of hepatic observations on gadoxetate disodium-enhanced MRI in comparison with pathologic measurement, and to evaluate its clinical impact on the Liver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LI-RADS) v2018 classification.
Materials and Methods: Two hundred and fifty-three patients (279 hepatic observations) who underwent gadoxetate disodium-enhanced MRI and subsequent hepatectomy were retrospectively included. Two radiologists independently evaluated the visualization score (five-point scale) and size of each observation on six MRI sequences (T1-weighted, T2-weighted, arterial-phase, portal venous-phase, transitional-phase [TP], and hepatobiliary-phase [HBP] images) and assigned a LI-RADS category. Correlations between MRI and pathologic measurements were evaluat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ith Bonferroni post-hoc comparison tests was used to compare the visualization scores and absolute differences between MRI sequences and pathologic measurements. The LI-RADS classification according the size measurement of each MRI sequence was compared using Cochran’s Q test with a post-hoc McNemar’s test.
Results: The 279 observations included 247 hepatocellular carcinomas (HCC), 21 non-HCC malignancies, and 11 benignities. Of the MRI sequences, HBP had the highest visualization score (4.1 ± 0.6) and correlation coefficient (r = 0.965). The absolute difference between MRI and pathologic measurement was lowest on TP (2.3 mm ± 2.2), followed by HBP (2.4 mm ± 2.1). In the LI-RADS classifications, HBP had no LI-RADS category noncategorizable (LR-NC).
Conclusion: Hepatobiliary-phase images are clinically useful for measuring hepatic observations on gadoxetate disodium-enhanced MRI, especially regarding visibility, correlation with pathologic findings, and LI-RADS classification.
Author(s)
최지영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0034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03392
Alternative Author(s)
Choi Ji Young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의학전공
Advisor
최상현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의학전공
Language
eng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 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