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근피로 유발 후 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이 운동수행력, 통증 자각도, 산화적 스트레스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using stretching board treatment after causing muscle fatigue on motor performance (lower balance, flexibility, quickness, constant-property muscle), pain perception, oxidative stress (SOD, MDA) and fatigue substances (lactate, Ammonia, LDH). In this study, 24 healthy adult men and women who live in Ulsan were treated with using board stretching, general stretching and non-treatment after muscle fatigue. All the variables were measured stable, before and after 30 minutes the treatment. A bicycle ergometer was performed to induce muscle fatigue, and all the data collected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C++ for Windows (version 23.0) statistical program. To find out the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variable, we calculated mean (mean: M) and standard deviation (SD). After checking the normal distribution for each group. We conducted a ANCOVA to check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The significance level (α) for all the statistics was set at .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motor perform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ime periods when each treatment method was applied to each group after muscle fatigue. Second, in the case of pain percep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ime periods when each treatment method was applied to each group after muscle fatigue. Third, in the case of oxidative str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all times when each treatment was applied after muscle fatigue. Fourth, in the case of fatigue substanc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ime periods when each treatment method was applied to each group after muscle fatigue. In conclusion, each treatment method did not affect motor performance, pain perception, oxidative stress and fatigue substances.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results, in this study, when stretching treatment using boards for healthy adult men and women, there was no effect in any treat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if the stretching board exercise program with appropriate strength and time is regularly implemented, it is thought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various variables.| 이 연구는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근피로 유발 후 스트레칭 보드 처치를 적용하였을 때 운동수행력(등속성 근력, 유연성, 밸런스, 순발력), 통증 자각도, 산화적 스트레스(MDA, SOD) 및 피로물질(혈중 젖산 농도, 혈중 암모니아, LDH)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녀 24명을 대상으로 하지에 근피로를 유발시킨 후 스트레칭 보드 처치, 일반 스트레칭 처치, 비처치를 실시하였으며, 근피로 유발을 위해 자전거 에르고미터를 실시하였다. 모든 변인들은 안정 시, 근피로 유발 직후, 그룹별 처치 적용 30분 후에 측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PC+ for windows(version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인들에 대한 기술 통계량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근피로 유발 직후와 그룹별 처치 후의 변화를 보기 위해, 근피로 유발 직후의 값을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 분석(ANCOVA)을 진행하였으며,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 수행력의 경우 하지 근피로 유발 후 그룹별 처치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통증 자각도의 경우 하지 근피로 유발 후 그룹별 처치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산화적 스트레스의 경우 하지 근피로 유발 후 그룹별 처치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피로물질의 경우 하지 근피로 유발 후 그룹별 처치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각각의 처치 방법이 운동수행력과 통증 자각도, 피로물질, 산화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건강한 성인 남녀들을 대상으로 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 처치를 실시한 결과, 통제군과 비교하였을 때 어떠한 처치 그룹에서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적절한 강도와 시간을 적용한 스트레칭 보드 운동 프로그램을 규칙적으로 실시한다면, 다양한 변인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Author(s)
이지희
Issued Date
2022
Awarded Date
2022-02
Type
dissertation
Keyword
근피로정적 스트레칭보드 스트레칭운동수행력통증 자각도산화적 스트레스피로물질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0084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4225
Alternative Author(s)
Lee, Ji-Hee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김기정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 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Physical Education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