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위험인자로서 하악골 수직적 형태와 구순 형태가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Study of Mandibular Vertical Dimension and Lip Morphology as Risk Factors for Temporomandibular Joint Osteoarthritis
- Abstract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증상과 징후를 파악하고, 골격성 II급 관계를 보이는 대상자 중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유무에 따른 임상 및 방사선학적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으로 진단된 환자 681명을 대상으로 영상 판독지를 포함한 의무기록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골격성 II급 환자들 중에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유무에 따라 환자를 분류하고 측모두부계측 방사선 사진 계측값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은 여성에게 호발하였고, 전 연령대에 유사한 비율로 발생하였다. 염발음, 과두 걸림, 단순 관절음에 비해 관절 통증이 높은 비율로 관찰되었고, 45%의 환자에서 개구장애가 동반되었다. 방사선 영상 판독 결과 과두의 마모, 편평화, 형태이상, 골변화, 과소과두의 증상 중에서 형태이상이 가장 높은 비율로 발생하였다.
측모두부계측 방사선 사진의 계측 분석치 중 전안면에 대한 후안면 고경의 비, 하악지 길이, 절치간 각도, sn-stms, stmi-me, FMA, Ui to stms, 상악 교합평면각, 교합평면각, 입술간 간격이 본 질환과 연관성이 의심되는 위험인자로 선별되었다. 그 중에서 하악지 길이와 입술간 간격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기반 질환 예측 모형의 수신자 조작 특성 곡선의 곡선 아래 면적은 0.704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측두하악장애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에서 나이, 성별, 임상 증상 및 측모두부계측 방사선 사진의 계측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 발생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중심단어
측두하악관절장애,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측모두부계측 방사선 사진
- Author(s)
- 윤성민
- Issued Date
- 2023
- Awarded Date
- 2023-08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2812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92044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