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상피성 난소암에서 면역세포와 암줄기세포의 상관관계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목적: 난소암의 치료에 있어 기존 치료에 저항을 보이는 가장 큰 이유로 생각되고 있는 암 줄기세포와 염증, 침윤 배제, 면역 사막 등으로 표현되는 암의 미세환경과의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되었다. 상피성 난소암에서 의미 있다고 알려진 암 줄기세포 표지자 (CD133, ALDH, CD44, Oct4)와 암세포에 대응하는 면역 세포 표지자(CD3, CD4, CD8, Foxp3, CD56), PD-L1을 확인하여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속 서울아산병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9세 이상의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파라핀 블록을 조직미세배열 (tissue microarray, TMA)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슬라이드를 Opal multiplex immunohistochemistry assay® 를 이용하여 염색을 시행하였다. 염색한 표본을 Vectra 3.0 Automated Quantitative Pathology Imaging System® 을 이용하여 이미지 정량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Opal ™을 이용하여 면역형광염색을 시행하였다. 면역형광염색된 조직을 각 표지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환자의 정보에 적용하여 무병생존율(Disease Free Survival)과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과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암 줄기세포와 면역 줄기세포 간의 상관관계를 각각 비교하였으며, 피어슨 상관계수 0.2에서 0.5 사잇값이 CD3/CD44, CD4/CD8, Oct4/ALDH12에서 관찰되었다. 종양침윤림프구(CD3, CD8)는 CD 44 (p=0.43)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각 군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CD8과 CD4는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면서 p<0.001로 매우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CD3과 CD44, TIL (CD3,CD4,CD8)과 CD44, Oct4와 ALDH12, CD133과 ALDH12, Foxp3와 CD4, CD3와 Oct4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관찰되었다. 무병생존율은 CD44/CD3에서 유의하였다(p=0.024). 전체생존율은 Oct4(p<0.001), CD133(p=0.044), CD44/CD3(p=0.014), CD8/Foxp3(p=0.034)로 유의하였다.
결론: 난소암에서 면역 세포와 종양 줄기세포의 연관성을 평가한 연구이며, 기존 면역조직화학염색의 경우 병리학자의 주관적 판독으로 인한 인적 요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난소암에서 종양 줄기세포와 예후의 연관성에 관한 문헌은 기존에 있었으나, 이와 다르게 면역 세포와 종양 줄기세포 사이의 연관성을 연구하였으며, 양의 상관관계 또는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표지자들이 있음을 알 수 있는 연구이다.
Author(s)
이건우
Issued Date
2023
Awarded Date
2023-08
Type
Dissertation
Keyword
ovarian cancertumor stem cellimmune cellcell surface marker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2887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7477
Alternative Author(s)
Geon Woo Lee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Advisor
김용만
Degree
Docto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Language
eng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 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2. Theses (Ph.D)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