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진단 초기 수술 전 부인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불확실성이 지지적 간호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Influences of Distress and Uncertainty on Supportive Care Needs in Preoperative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in The Early stages of Diagnosis.
Abstract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 소재 A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단 초기 일차 치료인 수술 전 부인암 환자의 디스트레스와 불확실성을 파악하고 지지적 간호요구도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여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및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A 상급종합병원의 부인과 병동에 입원하여 진단 초기 수술 예정인 부인암 환자 154명이다. 디스트레스와 문제목록은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NCCN)가 개발(2007)하고, Kim 등(2009)이 한국인 암환자에 맞게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불확실성은 Mishel(1988)이 개발하고 Jung 등(2005)이 국문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지지적 간호요구도는 Bonevski 등(2009)이 개발한 SCNS-LF59를 Ham(2009)이 변역한 도구 문항 중 간결하게 측정하도록 축약한 SCNS-SF34에 해당된 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 실수, 평균, 빈도, 표준편차, 비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및 사후분석 S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자의 디스트레스는 평균 6.16±2.06점으로 디스트레스 점수 절단점인 4점 이상의 중증 이상의 디스트레스군은 136명(88.0%)이었다. 중증 이상의 디스트레스군의 문제목록을 살펴보면 정서적 문제영역의 걱정 126명(92.6%), 두려움 117명(86.0%), 우울함 93명(68.4%), 슬픔 81명(59.6%)순으로 높았다.
불확실성은 평균 92.49±11.41점(165점 만점)이었고 하위영역에서는 모호성이 38.68±8.0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복합성이 15.22±3.04점으로 가장 낮았다.
지지적 간호요구도는 평균 46.50±14.48점(100점 만점)이었고, 하위영역에서는 건강시스템 및 정보요구 영역이 75.37±19.07점으로 가장 높았고, 신체 및 일상생활 요구 영역이 19.75±20.18점으로 가장 낮았다.
2. 일반적 특성과 임상 특성에 따른 디스트레스의 차이는 암 가족력의 유무(t=2.084, p=.039), 부인암 진단 전 증상의 유무(t=2.025, p=.04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불확실성은 나이(F=7.830, p<.001), 교육수준(F=4.970, p=.008)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지지적 간호요구도에서는 결혼상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893, p=.022).

3. 지지적 간호요구도는 디스트레스(r=.386, p<.001), 불확실성(r=.390,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불확실성의 하위 항목인 모호성(r=.448,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지지적 간호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6.571, p<.001), 설명력은 28.9%로 나타났다. 영향 요인은 불확실성의 하위 항목인 모호성(β=.337, p<.001), 디스트레스의 정도(β=.294, p<.001), 결혼상태의 미혼인 경우(β=-.257, p=.006)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일 상급종합병원의 진단 초기 수술 예정인 부인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불확실성, 지지적 간호요구도를 파악하고, 지지적 간호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진단 후 일차 치료를 시작 하기 전부터 부인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하여 중증 디스트레스 군을 선별 및 관리가 필요하며, 불확실성, 지지적 간호요구도를 파악하여 이와 관련된 간호 중재의 개발하는데 근거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디스트레스. 불확실성, 지지적 간호요구도, 부인암, 수술 전|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conducted to identify the distress and uncertainty of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in the early stages of diagnosis, who are scheduled for primary surgery at Hospital A, located in Seoul,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supportive care needs. The study aims to provide the foundational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s and program development to meet these needs.
The study sample included 154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in the early stage of diagnosis, admitted to the obstetrics ward of Hospital A and awaiting surgery. Distress and related problem lists were assessed using the tools developed by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 in 2007 and translated for Korean cancer patients by Kim Jongheun et al. in 2009. Uncertainty was assessed using the tool developed by Mishel in 1988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Jung Jaewon et al. in 2005. Supportive care needs were measured using the abbreviated SCNS-SF34, a subset of SCNS-LF59 developed by Bonevski et al. in 2009 and translated by Ham Younhee in 2009.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7.0 software, employing percentages, real numbers, means, frequencies, standard deviations, ratio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Sheffé test for post hoc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The distress level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a mean score of 6.16±2.06 points. Among them, 136 individuals (88.0%) had severe distress, defined as a distress score above the cutoff point of 4 points. The most prevalent problems in the severe distress group were worry (126 individuals, 92.6%), fear (117 individuals, 86.0%), sadness (93 individuals, 68.4%), and depression (81 individuals, 59.6%).
2. Differences in distress were found based on gener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family history of cancer (t=2.084, p=.039) and pre-diagnostic symptoms of cancer (t=2.025, p=.045). Uncertain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F=7.830, p<.001) and education level (F=4.970, p=.008), while supportive care nee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marital status (F=3.893, p=.022).
3. Supportive care need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stress (r=.386, p<.001) and uncertainty (r=.390, p<.001). Among the subdomains of uncertainty, ambigu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pportive care needs (r=.448, p<.001).
4. Factors influencing supportive care needs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6.571, p<.001), explaining 28.9% of the variance. The factors with significant impact were ambiguity in uncertainty (β=.337, p<.001), the degree of distress (β=.294, p<.001), and being unmarried in marital status (β=-.257, p=.006).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distress, uncertainty, and supportive care needs of female cancer patients in the newly diagnostic stage awaiting surgery at a tertiary hospital.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ssessing and managing distress levels, particularly in those with severe distress, even before starting primary treatment. Additionally, understanding disease-related uncertainty and supportive care needs can serve as a basis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related to cancer care.

Keywords: Distress, Uncertainty, Supportive Care Needs, Female Genital Neoplasm, Preoperative Period
Author(s)
윤이나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2922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32031
Alternative Author(s)
Yun Lee Na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산업대학원 임상전문간호학전공
Advisor
김정혜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임상전문간호학전공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Industry > Professional Clinical Nurs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