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해 중증외상환자의 제 특성과 간호중재 분석
- Alternative Title
-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nursing interventions for severe trauma patients from occupational accidents
- Abstract
- 본 연구는 U광역시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권역외상센터에 내원한 산업재해 중증외상환자에게 적용된 간호중재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외상소생구역 간호업무를 정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후향적 조사연구로 산업재해 중증외상환자의 제 특성을 파악하고 대상자에 게 적용된 간호중재, 주 상해부위 및 사고원인별 간호중재를 간호중재분류체계(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2년간 U광역시에 소재한 상급종 합병원 권역외상센터에 내원한 외상환자 15,721명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산업재해 중증외상환 자 1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임상적 특성, 산업재해 특성, 간 호중재는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그 중 간호중재는 McClosky와 Bulechek이 개정 한 NIC 7판을 이용하여 영역, 군, 중재로 분류하고 파악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 상해부위와 사고 원인에 따른 중증도점수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제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 준편차, Kruskal-Wallis test, 간호중재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147 명 대상자의 모든 상해부위는 422 부위로 다발성 손상 환자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두경부 손상군이 89 명(21.1%)으로 가장 많았고, 주 상해부위별 AIS는 전체평균 2.77 점이며 두경부 손상군이 4.00 점으로 가장 높았다. 사고원인별 AIS는 전체평균 4.09 점이며 화상 사고 군이 4.75 점으로 중증도가 가장 높았다. 2. 대상자는 모두 남성(100%)으로 나타났고, 두경부 손상군 대상자 평균나이는 56.33 세로 체표 부 손상군 대상자 45.78 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43). GCS 점수는 복부 및 체표부 손상 군 대상자가 두경부, 사지 및 골반부 손상군 대상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9). 두경부 손 상군 수축기 혈압은 147.97mmHg로 흉부 손상군(126.23mmHg) 및 사지 및 골반부 손상군 (123.91mmHg) 수축기 혈압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43). 사지 및 골반부(97.00 회/분) 손 상군과 체표부(100.67 회/분) 손상군의 분당 맥박수에서 두경부(81.40 회/분) 손상군 보다 유 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29). 3. 주 상해부위 및 사고원인에 따른 산업재해 발생 업종은 제조업이 가장 많았는데, 사고원인은 추락사고가 39.3%로 가장 높았다. 추락사고로 인한 주 상해부위는 두경부 손상군이 63.9%로 가장 많았고, 대부분 보호장구 착용 유무를 알 수 없었다. ISS는 27.50 점으로 다른 사고원인군 과 비교하여 4 번째로 높았고, 사망률은 2.5%였다. 4. 대상자 147명의 전자의무기록지에서 도출된 간호중재는 총 4,227건이었으며, NIC 기준 5개 영역, 17개 군, 63개의 중재가 나타났다. NIC에 따라 영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생리학적 복합 영역이 63.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안전 영역 13.3%, 생리학적 기본 영역 12.4%, 행동 학적 영역 5.8%, 건강체계 영역 4.9% 순으로 나타났다. 생리학적 기본 영역에서 가장 많이 수 행된 군은 부동 관리 4.0%로 나타났고, 생리학적 복합적 영역에서 가장 많이 수행된 군은 조 직관류 관리 25.6%였다. 행동학적 영역에서는 환자교육 5.8%였고, 안전 영역에서는 위험 관리 12.7%, 건강 체계 영역에서는 건강 체계 조정 3.4%로 나타났다. 대상자 전원에게 수행된 간호 중재는 신경학적 모니터링, 활력징후 모니터링이었다. NIC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대상자에게 적용된 간호중재로는 골반고정밴드 적용 및 관리, 소생개흉술 준비, 개흉심장마사지 준비, 대동 맥내 풍선폐쇄 소생술 준비가 있었다. 5. 주 상해부위별 NIC의 간호 영역을 살펴보면, 모든 손상군에서 생리학적: 복합적 영역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두경부 손상군 63.2%, 흉부 손상군 61.4%, 복부 손상군 60.7%, 사지 및 골반부 손상군 65.4%, 체표부 손상군 68.6%). 다음으로는 두경부(13.3%)·흉부(15.7%)·복 부(13.7%)·체표부(12.0%) 손상군은 안전 영역이 높았고, 사지 및 골반부 손상군은 생리학적: 기본 영역이 12.5%로 높게 나타났다. 6. 사고원인별 NIC의 간호 영역을 살펴보면, 모든 군에서 생리학적: 복합적 영역이 가장 많았다 (추락 사고군 62.8%, 미끄러짐 사고군 61.8%, 부딪힘 사고군 62.3%, 끼임 사고군 65.4%, 보 행자 교통사고군 63.4%, 운전자 교통사고군 60.6%, 화상 사고군 68.5%, 폭발 사고군 63.0%). 다음으로는 추락 사고군(13.1%)·미끄러짐 사고군(14.6%)·부딪힘 사고군(14.7%) ·화상 사고군(12.5%)·폭발 사고군(22.2%)에서는 안전 영역이 높았고, 끼임 사고군에서는 생리학적: 기본·안전 영역이 11.8%로 높았고, 보행자(13.4%)·운전자(15.2%) 교통사고군에 서는 생리학적: 기본 영역이 높게 나타났다. 7. 대상자의 주 상해부위별 간호중재를 분석한 결과, 두경부 손상군에서는 정맥내 약물투여(항전 간제), 뇌부종관리, 구토관리, 고혈압관리, 정맥내 약물투여(삼투성이뇨제)가 다른 상해부위에 비해 높은 간호중재가 수행되었다. 흉부 손상군에서는 심장관리: 급성, 응급간호·심폐소생술, 흉 관삽관 간호, 소생개흉술 준비, 개흉심장마사지 준비, 복부 손상군에서는 급성통증관리, 진통제 투여, 수액요법이 높은 간호중재가 수행되었다. 사지 및 골반부 손상군에서는 채혈-혈액형검사, 침습적 혈류역학 모니터링, 동맥혈 채혈, 체온유지, 골반고정밴드 적용 및 관리, 수혈간호, 저혈 압 관리, 견인장치/부동 간호, 체표부 손상군에서는 수액요법, 급성통증관리, 진통제 투여, 화상 상처간호, 상처세척, 기도삽입 및 안정화, 침습적 인공호흡기 관리, 기도흡인이 다른 상해부위 에 비해 높은 간호중재가 수행되었다. 8. 대상자의 사고원인별 간호중재를 분석한 결과, 끼임사고에서 유일하게 대동맥내 풍선폐쇄 소 생술 준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재해 관련하여 화상사고로 인한 중증도가 가장 높았으며, 중대재해 사고예 방을 위한 보호장구 착용의 중요성, 상해부위 및 사고원인에 따른 간호중재를 분석하였다는 점에 서 외상간호교육과 산업재해 외상환자의 초기 사정,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 및 프로토콜 개발 에 기여할 수 있어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간호중재 및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주요어: 산업재해, 중증외상환자, 간호중재.
- Author(s)
- 김무성
- Issued Date
- 2024
- Awarded Date
- 2024-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산업재해; 중증외상환자; 간호중재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2927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36485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