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1980년대 울산지역 화학섬유산업과 노동자의 생활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working conditions and everyday life of workers in Ulsan chemical textile industry in 1970s and 1980s
- Abstract
- In this study, I summarized the construction processes of major chemical fiber industry factories in the Ulsan region, such as Taekwang Industry, Tongyang Nylon, and Sunkyong Synthetic, and examines the specific labor conditions and everyday life of chemical fiber factory workers. This research aims to restore the experiences of chemical fiber industry workers that have not been well-documented in the history of industrialization in Korea an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chemical fiber production labor.
Since the liberation,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South Korea in synthetic fibers due to their durability and versatility compared to natural fibers. However, at that time, South Korea did not have the infrastructure to produce chemical fibers domestically, so it relied on imports. Given the capital-intensive and technologically advanced nature of the chemical fiber industry, active government intervention was necessary to promote import substitution.
Ulsan, which was designated as a industrial center in 1962, had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chemical fiber factories. With the presence of large-scale petrochemical complexes and Ulsan oil refineries, various social overhead capital could be utilized, and it was suitable for diversifying future business ventures. The government played a role not only in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companies, factory construction approvals, and foreign capital import approvals but also in influencing the composition of corporate management and mediating conflicts between companies to encourage the construction of factories that aligned with its plans. Private companies, while accepting the government's position, also sought ways to maximize their profits through share acquisition and new business proposals.
The production process of chemical fibers can be divided into the primary process, which involves chemical reactions to create fibers, and the secondary process, which involves processing and sorting fibers for specific purposes before packaging. The primary process required a certain level of engineering knowledge and was primarily staffed with a male worker who has graduated from colleg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ary process, which required less specialized knowledge or skills, employed workers who has not graduated from college and does not possess specialized technical skills. Among secondary processes, more labor-intensive and straightforward tasks were assigned to female workers with lower wages. Workers in the secondary process had limited opportunities to switch to higher-paying jobs that required learning technical skills and faced challenges in promotions.
The standard working condition for workers in each process was a 3-shift, 3-rotation schedule. Efficiency in production was paramount, so workers had to labor continuously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holidays. The ongoing factory work exacerbated physical and mental fatigue among the workers,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even to participate in scheduled training or lectures. Additionally, workers had to endure high temperatures, noise, and chemical odors in the production process field. Until the late 1980s, workers in chemical fiber factories received wages lower than the national manufacturing industry average, with a significant wage gap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Complaints and anger regarding these poor working conditions accumulated over time and were eventually expressed through labor disputes in 1987.
Unmarried workers in Ulsan's chemical fiber factories, residing in dormitories, faced difficulties in getting proper rest and maintaining a stable life. This was due to the varying commuting times of residents sharing the same room and the health and safety threats posed by smoke, dust from nearby factories, and industrial accidents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 Particularly in female dormitories, strict rules were enforced to control labor, and privacy invasion issues arose from incidents of male workers entering female dormitories and peeping into rooms.
To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workers, evening high schools and broadcasting correspondence high schools for workers were established nationwide from the mid-1970s. However, in Ulsan, these options were limited. Evening high schools with company support had limited spots, and the broadcasting correspondence high school required workers to study on their own. Moreover, workers on a 3-shift rotation schedule found it challenging to attend classes or listen to scheduled lectures.
In the chemical fiber factory, tasks were assigned hierarchically according to gender. Female workers were mainly given physically demanding and less complex tasks within the same process as male workers. This division of tasks also created hierarchical relationships, with female workers having to tolerate condescending language and behavior from their male colleagues in the workplace.
There were differences in social or self-perception of labor based on gender. For male workers in chemical fiber factories, wearing work uniforms was not considered embarrassing. In the southern district of Nam-gu, where the factories were located, showing work uniforms and identification cards could be used to receive credit, reflecting some level of recognition in the local community. However, female workers' labor in chemical fiber factories was often seen as supplementary and was stigmatized by traditional gender roles. Many female workers themselves considered their factory work as something to be ashamed of and tried to hide it as part of their past.
In a region where the urban industrial structure was transitioning from primary industries to a male-dominated heavy chemical industry, chemical fiber factories in Ulsan provided ampl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women. However, their work was often perceived as secondary labor. Furthermore, the societal perception of being temporary, auxiliary labor, and the self-perception that factory labor itself was demeaning, made it challenging for female workers to develop their own class consciousness. Additionally,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city further reduced the presence and status of female workers in Ulsan's chemical fiber factories. As a result, the organized actions of female workers, which were seen in other urban industrial sites, did not occur in Ulsan, and the existence of female workers in the 1970s and 1980s was forgotten in the history of Ulsan's industrialization.|이 논문에서는 울산지역 화학섬유산업을 대표하는 태광산업, 동양나이론, 선경합섬 공장의 건설 과정을 정리하고 화학섬유공장 노동자들의 구체적인 노동 조건 및 생활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그간 한국 산업화 역사에서 정리되지 않았던 화학섬유산업 노동자들의 경험을 복원하고 화학섬유 생산 노동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했다.
해방 이후부터 천연섬유에 비해 내구성과 활용도가 좋은 화학섬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그런데 당시 우리나라에는 화학섬유를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화학섬유 수요 전량을 수입에 의존해야만 했다. 화학섬유산업은 산업 특성상 고도의 기술과 대자본이 필요했기 때문에 수입대체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울산은 1962년 특정공업지구로 지정되어 화학섬유공장이 건설되기에 알맞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대규모 석유화학공단과 정유공장이 조성되어 있어 여러 가지 간접 자본을 활용할 수 있었고 향후 사업의 다각화를 모색하기에도 적합했다. 정부는 민간 기업의 법인 설립, 공장 건설 승인, 외자 도입 승인 과정뿐만 아니라 회사의 운영진 구성, 기업 간 갈등 중재 과정에도 개입하여 정부의 계획에 부합하는 공장 건설을 유도했다. 민간 기업은 정부의 입장을 수용하여 울산공장 건설 허가를 얻는 한편 지분 인수와 새로운 사업 구상을 통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나갔다.
화학섬유의 생산 공정은 화학반응을 일으켜 섬유형태로 만드는 선공정과 용도에 맞게 섬유를 가공하고 선별한 후 포장을 하는 후공정으로 나뉜다. 선공정에서는 공학에 대한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이 필요했기 때문에 주로 공채를 통해 대졸 남성이 채용되었다. 반면 후공정일수록 특별한 지식이나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대졸 미만의 노동자들이 배치되었다. 후공정 중에서도 보다 더 노동집약적이고 단순한 업무는 임금이 저렴한 여성노동자에게 배정되었다. 후공정에 배치된 노동자들은 기술을 배워 고임금을 받는 직종으로 이직할 수 있는 기회가 적었고 승급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각 공정에 배치된 노동자들의 근무 조건은 3조 3교대가 기본이었다. 생산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공장을 멈추지 않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노동자들의 노동 역시 휴일의 구분 없이 계속되었다. 계속되는 공장 노동은 노동자들의 육체적, 정신적 피로를 가중시켰고 정해진 시간에 실시되는 교육이나 강의에 참여하는 것조차 어렵게 만들었다. 또한 노동자들은 생산 현장에서 매우 뜨거운 열기와 소음, 화학 약품 냄새를 견뎌야 했다. 임금 측면에서도 1980년대 후반까지 전국 제조업 평균 임금보다 낮은 임금을 받았으며 남성노동자와 여성노동자의 임금에는 큰 차이가 존재했다. 이러한 열악한 노동 조건에 대한 불만은 지속적으로 누적되어 1987년 노동쟁의를 통해 표출되었다.
울산지역 화학섬유공장 미혼 노동자들이 거주하는 기숙사에서는 숙면을 취하거나 안정적인 생활을 이어나가는 것이 어려웠다. 같은 방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출퇴근 시간이 제각각 달랐고 인근 공장의 매연과 분진, 공단 내 안전사고로 인해 건강과 생존까지 위협받았기 때문이다. 특히 여성 기숙사에서는 엄격한 생활 규율을 통해 노동 통제가 이루어졌고 남성노동자의 기숙사 침입과 방 엿보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 문제가 일어나기도 했다.
한편 노동자들의 교육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1970년대 중반부터 전국적으로 노동자가 다닐 수 있는 학교가 만들어졌지만 울산에는 타도시보다 늦게 야간 고등학교와 방송통신고등학교가 마련되었다. 그런데 화학섬유공장의 노동자들은 그것조차 제대로 다니기 힘들었다. 회사의 지원을 받아 다닐 수 있는 야간 고등학교는 인원이 한정되어 있었고 방송통신고등학교는 개인의 힘만으로 공부를 해나가야 했다. 또한 잔업이 잦은 3교대 근무 노동자가 출석 수업에 나가거나 일정한 시간에 방송되는 강의를 청취하는 것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남성노동자와 여성노동자가 배치되는 업무에는 위계가 존재했다. 여성노동자들은 같은 공정 내에서 남성노동자들보다 훨씬 더 노동집약적이고 단순한 업무에 배정되었다. 업무의 차이는 관계의 위계로도 이어졌고 작업 현장에서 여성노동자들은 남성노동자들의 무시하는 말투와 행동을 참아가며 일해야 했다.
젠더에 따라 노동 경험에 대한 사회적 또는 자기 인식에도 차이가 있다. 화학섬유공장에 다니는 남성노동자들에게 공장 작업복은 부끄러운 것이 아니었다. 또한 공장이 위치한 남구 일대에서는 작업복과 신분증을 보여주면 외상 취식이 가능했을 만큼 지역사회 내에서 어느 정도 인정을 받았다. 그러나 여성노동자들의 공장 노동 경험은 전통적 성별 분업 논리에 의해 보조적인 노동력으로 인식되었고 여성 스스로도 공장 노동을 수치스럽고 숨기고 싶은 과거로 기억하는 경우가 많다.
화학섬유공장은 도시의 산업 구조가 남성 중심의 중화학공업으로 바뀌어가는 지역에서 여성이 대거 취업할 수 있는 공장이었다. 하지만 화학섬유산업의 특성상 여성노동자의 노동은 중심 공정에서 소외되었다. 또한 일시적, 보조적 노동력이라는 사회 인식과 공장 노동 자체가 수치스러운 것이라는 자기 인식은 여성노동자들이 스스로의 계급의식을 각성해나가기 어렵게 만들었다. 또한 노동자로서의 의식을 자각하기 어려웠던 회사 내 분위기, 퇴근 후 다시 본가로 돌아가 농사일을 돕거나 돌봄 노동을 이어나가야 했던 개인 형편, 도시산업선교회나 학생운동가가 부재했던 지역적 상황도 여성노동자들의 비판의식 형성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도시의 산업 구조는 완전히 중화학공업 중심으로 바뀌었고 여성노동자의 존재와 위치는 더욱 축소되었다. 그 결과 울산지역의 화학섬유공장에서는 타 도시의 경공업 사업장에서 보이는 여성노동자들의 조직적 실천이 이루어지지 못했고, 1970~80년대 여성노동자의 존재 자체마저도 울산지역 산업화의 역사에서 잊혀졌다.
- Author(s)
- 이경서
- Issued Date
- 2024
- Awarded Date
- 2024-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화학섬유산업; 화섬산업; 산업화; 태광산업; 동양나이론; 선경; 울산지역; 화섬 노동자; 여성노동자; 노동자의 생활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094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44160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