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건설공사 발주자의 안전관리 체계구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Safety Management System of Highway Construction Clients
- Abstract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라 사업주, 경영책임자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고 있으나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및 안전보건 확보 의무 이행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다. 정부에서도 작업 현장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2019년 2월 「공공기 관 안전관리에 관한 지침」을 제정하였고 현재까지 「공공기관 안전관리 종합대책」 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안전대책에도 불구하고 공공기관의 안전보건경영시 스템 안착과 구성원들의 안전의식 정착이 수반되지 않아, 공공기관 작업 현장에서 의 사고사망자가 좀처럼 줄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20년부터 건설현장 등 위험한 작업환경을 갖고 있는 공공기관의 종합 안전관리 능력을 진단하고, 전사적 안전경영체계 구축을 통한 사고사망 예방 성과를 높이기 위해 「안전관리 등급제」를 도입하여 시행 중에 있다. 「2021년도 기획재정부 주관 공공기관 안전관리 등급 심사」 결과, 그 간의 안전 강화 대책과 이행으로 대부분의 공공기관의 안전조직 및 예산 등 안전역량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고사망자 발생과 직결되는 작업 현장의 안전수준은 여전히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 선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확고한 안전보건 경영 방침을 기반으로 하여 안전보 건활동 실행계획(Plan)을 수립하고, 안전보건활동 실행계획의 운영(Do)과 지속적인 점검 및 시정조치(Check)를 통해 경영자가 안전보건경영 활동의 운영 과정과 결과 를 검토하여 이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과 개선 활동(Action)을 하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이 선행되어야한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대다수 기 관에서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핵심 과제인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안전 점검」을 근간으로 하는 안전관리 체계 구축을 통한 지속적 개선조치 이행 노력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발주자가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절차를 개발하였고, 고속도로 건설공사를 발주하고 있는 기관에 개발된 절차를 최초로 시범 적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위험성평가 기반의 안전관리 체계구축에 따른 사고사망자와 사고부상자 감축 성과, 안전점검 수준 향상, 안전책임 의식 향상 등의 안전보건 성과 기여도를 측정토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건설공사의 공종별 안전관리 등급평가표를 최초로 개발하여 안전점검에 활용하였는데, 안전관리 등급평가표는 건설공사 작업 공종별 위험성 평가를 기반으로 사고사망 발생 가능성이 높은 위험요인을 선별하여 체크리스트 방식의 안전점검 항목을 작성하였고, 안전점검의 결과를 정량적이고 객 관적인 안전등급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안전관리 체계구축 절차 를 도입한 고속도로 건설공사 발주기관은 안전관리 체계구축 절차 적용 이전 보다 사고사망자를 66.7%(6명) 감축시키고, 사고부상자도 22.1%(21명) 감축시켰으며, 정부 의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제 평가 결과에서도 안전관리 체계구축 전에는 4-1등급 (주의), 3등급(보통) 수준에 머물렀으나, 안전관리 체계구축을 도입한 2022년은 2등 급(양호)을 획득하여 안전관리 수준의 향상 정도를 공식적인 평가를 통해서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의 발주자를 위한 안전관리 체계구축 절차의 도입 및 적용에 참여한 발주기관과 안전점검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내용에 대 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관리 체계구축 내용의 등급평가 과정과 등 급판정 결과의 만족도는 사고사망 예방에 대한 기여도와 안전점검 수준 향상에 대 한 기여도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등급평가 과정의 만족도는 안 전책임 의식 향상 기여도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 다. 둘째, 안전관리 체계구축 적용에 통한 사고사망 예방에 대한 기여도, 안전책임 의식 향상 기여도, 안전점검 수준 향상에 대한 기여도는 안전관리 체계구축 절차를 다른 공공기관으로 확대 적용을 추천하려는 의향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건설공사 발주자가 안전보건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관심을 바탕으로 위험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 노력 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건설공사의 공종별 작업 특성에 따른 사고사망 위험요인을 안전점검 항목으로 명확히 도출하여 안전관리 등급평가표를 작성하고, 안전관리 등급평가표에 따른 안전점검을 통해 현장의 위험요인을 지속적 으로 제거하여야 한다. 최근 중대재해처벌법 시행과 정부의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 공표 등으로 건설현장에서의 사망사고 감축을 위한 안전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그 어떤 시기보다도 높아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건설공사 발주자를 위한 안전관리 체계구축 절차가 조속히 모든 공공·민간 발주자에게 확산되어 안전한 일 터를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며, 건설현장에서의 사고사망을 근절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The role of public institutions in protecting people's lives and safety has become increasingly crucial, especially in light of several major accidents that have occurred within these institutions. To address this issue, the government introduced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for public institutions in February 2019 to promote a healthy and safe working environment.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safety measures, the lack of safety management systems and safety awareness among public institutions has led to a stagnation in the reduction of accident-related deaths.
Consequently, the government initiated a comprehensive safety management diagnosis of public institutions operating in dangerous working environments, such as construction sites, starting in 2020. Currently, a safety management rating system is being implemented to enhance the pace of reduction and prevention of accident-related deaths. The 2021 safety management grade review of public institutions revealed that safety measures and implementation have significantly improved the safety competency of the majority of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safety organization and budget. However, the safety level of construction sites, which are directly linked to the occurrence of accident-related deaths, was still evaluated to be low.
To address these challenge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Safety and Health Action Scheme (Plan) based on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Policy of the CEO of public institutions. This should be followed by the operation of the Safety and Health Action Scheme (Do), constant inspection, and corrective actions (Check). The CEO should review the operational processes and results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and address any problems that arise. The establishment of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performs appropriate supplementary and improvement activities (Action) should precede these processes.
However, many public institutions have demonstrated poor efforts in implementing continuous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systematic Safety Managements based on risk assessment, which is a crucial aspect of the safety and health system.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model that could be applied to public institutions and subsequently implemented it for highway construction work ordered by public institution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measure the system's contribution to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The evaluated items included the reduction of accident-related deaths and injuries,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levels, and the enhancement of safety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due to the establishment of a Safety Management system.
To apply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model to public institutions ordering construction projects, the safety management grade evaluation table was first developed and utilized for Safety Managements. The safety management rating evaluation table was constructed to analyze past disaster cases closely, based on risk assessment. It selects risk factors that are highly associated with accident-related deaths by type of work and presents Safety Management results in quantitative and objective safety grades.
Moreover, the developed model was utilized to assist public institutions in deducing the implications of reducing accident-related fatalities and enhancing safety performance levels. To achieve this, we selected 84 public institutions' construction sites contracted for highway construction, and applied a Safety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model in collaboration with specialized safety management departments unde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ct. Each construction site underwent five Safety Managements to assess safety management grades by site and construction type, and to encourage company-wid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all construction site officials, including management.
The study reveals that public institutions involved in construction works have demonstrated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s in reducing the number of accident-related deaths by 66.7% (6 people), and accident-related injuries by 22.1% (21 people) compared to the pre-Safety Management system period. The survey result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are as follows: Firstly, the evaluation process and results have been verifi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accident prevention efforts and Safety Management levels. Secondly, the study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the rating evaluation process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improving safety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Moreover, it was verifi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model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accident prevention, safety responsibility awareness, and Safety Management levels, thereby increasing the intention to recommend its expansion to other public institutions. To achieve safety and health outcomes in public institutions involved in construction works,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prioritizes safety and health based on the CEO's keen interest. Furthermore, the safety management grade evaluation table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work characteristics of each construction type, based on the accident-related death risk factors as Safety Management items, and site risk factors should be continuously eliminated through Safety Manag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safety management grade evaluation table. Given the recent implementation of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and the government's announcement of a roadmap for reducing serious accidents, there is now a greater social interest in safety management to reduce deaths at construction sites.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spread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model developed for public institutions contracted for construction work to all public institutions as soon as possible. By expanding the system to private construction companies, it will create a safe public workplace and contribute to eradicating accident-related deaths at construction sites
- Author(s)
- 박응호
- Issued Date
- 2024
- Awarded Date
- 2024-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안전관리 체계구축; 위험성 평가; 안전점검; 안전관리 등급평가표; 건설공사 발주자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136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33438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