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안전사건 전문심리상담사 양성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개발
- Alternative Title
- Development of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psychological counselors specializing in patient safety incidents
- Abstract
- Background
The high expectations and trust of patients and caregivers toward the medical profession is known through the results of various job reliability surveys. This includes both doctors and nurses, and can also be known through safety evaluations of medical institutions. However, unfortunately, it is estimated that a number of patient safety incidents occur in medical institutions.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between 4.7 to 23.6 harmful incidents occur per 100 hospitalizations. The occurrence of such patient safety incidents violates the expectations and trust of patients and caregivers. Likewise, it is unexpected for the medical staff involved in the medical practice. Patient safety incidents can lead to various difficulties, including psychological (depression, anger, guilt, embitterment, etc.), physical (disabilities, visual impairment, etc.), and economic (loss of employment, costs associated with medical lawsuits, etc.). To support these difficulties, previous studies in foreign countries have developed and operated support programs for victim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patients, caregivers, healthcare professionals). However, some studies have raised the need for professional psychological counseling. In Korea, a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YANA) using counseling experts has been developed and operated for nurses, and it was shown that the psychological impact was significantly reduced through this. In addition, as a result of previous studies in Korea, the need for professional psychological counseling was emphasized for patients and caregivers who have been victim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use psychological counselors to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 to victim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program for training psychological counselors specializing in patient safety incidents.
Methods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model among the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s. In the analysis stage, a survey was conducted on 91 psychological counselors regarding their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nd program needs. Afterwards, task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design stage, the program purpose and process were designed, the program operation method was determined, and the program effectiveness evaluation scale was selected. In the development stage, program content was developed and materials were created. In the execution stage, after the preliminary execution, some contents were modified and the main execution was performed. In the evaluation stage, assessments were conducted for 24 program participants, focusing on counselor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a qualitativ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ith four program participants.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10 post-evaluation out of 19 questions on the participant's self-efficacy in counseling skills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evaluation score. Participants developed strategies that matched the goals of counseling for victim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nd gained confidence in attempting counseling skills that require skill. They also gained confidence in applying the necessary counseling skills during counseling and changing the client's thoughts. They responded that clients can gain insight into their unconsciousness related to problems and find alternatives on their own, without relying on the counselor. In addition, the counselor gained confidence in handling the client's transference and interpreting the client's problems. They responded that through this, the client can acquire the desired behavior and promote self-disclosure.
Although 12 out of 13 questions for self-efficacy in counseling attitude improved the average score of post-evaluation compared to pre-evaluation, only 1 question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rough participation in this program, participants gained confidence in conducting research (performing their role) while protecting victim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The average score of the 12 questions on satisfaction evaluation was very high at 4.5 out of 5. Participants overall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is curriculum (4.9 points). The educational goals were clear (4.8 points), and individual subjects were properly structured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s (4.7 points). Educational materials we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content (4.7 points). The educator delivered the educational content in an easy to understand (4.8 points), and the educational method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content (4.8 points). Class activities used in education contributed to educational outcomes (4.8 points), and an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provided (4.8 points). The education manager supported the training process to proceed smoothly (4.9 points), and responded that the training content was helpful in performing work (4.8 points), and that it could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 when performing work (4.8 points).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participants came to recognize the victim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s a client group through this training. It was recognized that victim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need counselors. Additionally, through this program, they were able to learn appropriate counseling techniques for victim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Lastly, mock counseling practice education using professional actors helped participants realize and grow their shortcomings by playing their role as counselors for victim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Conclusion
In this study,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psychological counselors specializing in patient safety incidents was developed and operated and its effectiveness was prove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for victim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by utilizing thi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professional psychological support for victim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will help promote health care for the general public and establish and maintain a safe medical environment.
To this end, a system for investigating patient safety incident experiences must first be established. There is also a need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need for psychological support for victim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a counselor linkage system so that victim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can receive timely psychological support. Lastly,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 is needed to establish, manage, and maintain a manpower pool of psychological counselors specializing in patient safety incidents.
*Key words: patient safety incident, victim of patient safety incident, psychological support for victim of patient safety incident, support program for victim of patient safety incident|연구 배경 및 목적
다양한 직업 신뢰도 조사에서 환자와 보호자가 의료인(의사와 간호사)에 대하여 높은 기대와 믿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시행 한 의료기관의 환자안전 수준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도 일반인의 의료기관에 대한 믿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의료기관에서 환자안전사건이 적지 않게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선행연구 결과, 입원 100건당 최소 4.7건에서 최대 23.6건의 위해사건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환자안전사건은 그 발생을 예상 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이렇게 예상치 못하게 환자안전사건이 일어나면 환자 및 보호자뿐만 아니라 의료인에게도 다양한 어려움을 발생시킬 수 있다. 환자 및 보호자, 의료인은 환자안전사건을 경험하면 정신적 측면(우울, 분노, 죄책감, 울분 등), 신체적 측면(장애, 식은땀, 체중 증가, 시력 저하 등)과 경제적 측 면(사직으로 인한 무노동, 의료소송 진행 비용 등)에서 고통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를 위하여 외국에서는 환자안전사건 피해자(환자 및 보호자, 의료인)를 대상으로 한 지원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전문적인 심리상담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상담 전문가를 활용한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YANA)을 개발하여 운영하였고, 이를 통해 환자안전사건으로 인한 심리적 영향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국내 연구에서도 환자안전사건 피해 환자 및 보호자에게 전문적인 심리상담의 필요성이 강조하고 있다. 즉 우리나라에서도 환자안전사건 피해자의 심리적 지원을 위해서는 심리상담사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환자안전사건 전문심리상담사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며, 그 효과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교수체계설계 모형 중 ADDIE 모형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심리상담사 91명을 대상으로 환자안전사건에 대한 인식 및 경험, 프로그램 요구도를 조사하였고, 과제 분석을 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목적과 과정의 설계, 프로그램 운영 방식의 결정, 프로그램 효과 평가 척도의 선정 작업을 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하고 자료를 생성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예비 실행 후 프로그램의 일부 내용을 수정하여 본 실행을 수행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참여자 24명을 대상으로 상담자의 자기효능감 및 프로그램 만족도를 평가하였고, 참여자 4명을 대상으로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의 상담기술 자기효능감 문항 19개 중 10개의 사후 평가 평균 점수가 사전 평가 점수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참여자들은 환자안전사건 피해 내담자를 대상으로 상담목표에 부합하는 전략을 세우며, 숙련도가 요구 되는 상담기술을 시도할 자신이 생겼다. 또 상담 중 필요한 상담기술을 적용하고, 내담자의 생각을 변화시킬 자신이 생겼다.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의존하지 않고, 문제와 관련된 무의식을 통찰할 수 있도록 하며, 스스로 대안을 찾도록 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더불어 상담자가 내담자의 전이를 다루고, 내담자의 문제를 해석할 자신이 생겼다. 이를 통해 내담자가 원하는 행동을 습득시키며 자기노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상담태도 자기효능감 13개 문항 중 12개 문항이 사전 평가에 비하여 사후 평가의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은 1개 문항이었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환자안전사건 내담자를 보호하면서 연구(역할 수행)할 자신이 생겼다. 만족도 평가 12개 문항의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4.5점으로 매우 높은 편이었다. 참여자들은 종합적으로 이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4.9점). 참여자들에 따르면 프로그램의 교육목표가 명확하였으며(4.8점), 개별 교육이 교육목표 달성에 적절하게 구성되었다(4.7점)고 응답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은 교육 자료가 교육내용 이해에 도움이 되었고(4.7점), 교육자가 교육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였으며(4.8점), 교육방법이 교육내용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었다(4.8점)고 평가하였다. 다른 문항들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교육에서 사용된 수업활동이 교육성과에 기여하였고(4.8점), 적절한 교육환경이 제공되었으며(4.8점), 교육담당자가 교육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운영하였고(4.9 점), 교육내용이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될 것이며(4.8점), 업무 수행시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4.8점)이라고 응답하였다. 질적조사 결과 참여자들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안전사건 피해자들을 내담자집단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상담자의 필요성을 인지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교육을 통해 환자안전사건 피해 내담자의 상담에 필요 한 상담 기법을 체득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환자안전사건 피해자 전문 배우를 활용한 모의 상담 실습 교육은 참여자들이 환자안전사건 피해자를 대상으로 상담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보며 자신의 부족한 점을 깨닫고 성장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하였다.
연구 결론
이 연구의 목적은 환자안전사건 전문심리상담사를 양성하는 것으로, 이 연구에서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환자안전사건 피해자에 대한 심리적 지원이 필요하며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지원 체계 구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환자안전사건 피해자에 대한 전문적인 심리적 지원은 일반 국민의 건강관리, 안전한 의료환경의 구축 및 유지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환자안전사건 경험 실태조사 체계를 구축하고, 환자안전사건 피해자 대상 심리적 지원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할 것이다. 또 환자안전사건 피해자들이 적시에 심리적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상담자 연계 체계를 마련하여야 하며, 이와 더불어 환자안전사건 전문심리상담사 인력의 양성 및 질 관리를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 주요단어: 환자안전사건, 환자안전사건 피해자, 환자안전사건 피해자 심리적 지원, 환자안전사건 피해자 지원 프로그램
- Author(s)
- 표지희
- Issued Date
- 2024
- Awarded Date
- 2024-02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140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31887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