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현대 한국어 어미 결합형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Ending Compounds in Contemporary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한국어 어미 결합형을 망라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뒤 각 어미 결 합형의 사용 여부, 사용 빈도, 단일어미화 여부와 관련된 원인을 밝히는 데에 있다. 3장에서 상위절이 평서형인 경우에 해당된 모든 어미 결합형의 사용 빈도, 실제의 사용 여부와 단일어미화 여부를 확인하였고 다섯 가지 체계적 특징과 개별 어미 결합형에 관한 세 가지 양상을 제시하였다. 체계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 빈도가 높거나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어미 결합형은 대부분 상위절에 ‘-더-’가 없는 구성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이다. 둘째, 단일어미화 과정을 거쳐 별개의 어미 기능을 획득한 어미 결합형은 대부 분 상위절에 ‘-더-’가 없는 구성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셋째, 평서형, 의문형, 명령 형, 청유형과 연결형 내포절 중에 사용 빈도가 높거나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어미 결합형은 대부분 평서형 내포절인 구성에 분포되어 있다. 넷째, 평서형과 의문형 내포절인 경우에 내 포절에 ‘-더-’가 쓰인 어미 결합형은 그렇지 않은 어미 결합형보다 사용 빈도가 낮고 단일 어미화가 된 어미 결합형의 수가 적다. 다섯째, 내포절과 상위절에 모두 ‘-더-’가 쓰인 어미 결합형은 실제로 쓰이고 있지 않다. 이외에 개별 어미 결합형에 대해 사전 또는 기존 연구에 밝혀지지 않았거나 보완이 필요 한 경우를 밝혔다. 첫째, ‘인용’을 나타내는 어미 결합형은 ‘-고 하-’의 환원이 가능하지만 ‘인용’의 어미 결합형인 ‘-대’는 ‘-고 하-’가 환원되면 ‘인용’이 아닌 ‘명령’의 의미로 쓰이게 된다. 둘째, 연결형 ‘-(으)려 하-’ 구성에 해요체 ‘-(으)례요’와 해체 ‘-(으)례’인 어미 결합형 이 쓰이지 않는 것은 고유어 어휘 중 비어두음절(非語頭音節)이 ‘례’로 발음된 것이 없다는 데에 이유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다고 하-’ 구성에 하오체 어미 결합형 ‘-다오’의 사용 빈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난 것과 달리 ‘-다고 하더-’ 구성에 해당되는 어미 결합형 중 하오체 어미 결합형인 ‘-답디다’의 사용 빈도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하오체 어미 결합형 인 ‘-답디다’는 대부분 해체나 해요체와 함께 쓰이고 있는 만큼 현재 ‘-답디다’는 하오체와 거리가 생겼고 해체나 해요체와 근접해졌다고 볼 수 있다. 4장에서는 상위절이 감탄형인 경우에 해당된 어미 결합형을 대상으로 하여 사용 양상과 단일어미화 여부를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된 체계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 빈도가 높거나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어미 결합형은 대부분 상위절에 ‘-더-’가 없는 구성에 집중적 으로 분포되어 있다. 둘째, 상위절이 감탄형인 경우에 해당된 모든 어미 결합형의 사용 빈도 가 그다지 높지 않음으로 인해 단일어미화로 새로운 어미 기능을 획득한 어미 결합형이 없 다. 셋째, 내포절과 상위절에 모두 ‘-더-’가 쓰인 어미 결합형은 실제로 쓰이고 있지 않다. 5장에서는 상위절이 의문형인 경우에 해당된 어미 결합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경우에 세 가지 체계적 특징을 보였다. 첫째, 사용 빈도가 높거나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어미 결합 형은 대부분 평서형 내포절인 구성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그리고 단일어미화로 별개 의 종결어미 기능을 획득한 어미 결합형도 평서형 내포절인 구성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 다. 둘째, 상위절에 ‘-더-’가 쓰인 경우에 해요체와 해체 어미 결합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왜 냐하면 ‘-더-’로부터 형성된 ‘-더라’, ‘-더냐’, ‘-더니’와 ‘-데’ 중에 ‘-더라’, ‘-더냐’와 ‘-더니’ 는 해라체로만 실현될 수 있고 ‘-데’는 평서형에만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연결형 내 포절인 경우에도 해요체와 해체 어미 결합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일부 어미 결합형에 관한 기존 연구와 사전 해석이 결여되어 있는 점에 대해 다음 과 같은 사실을 논의하였다. 첫째, 상위절은 ‘-더-’가 쓰이지 않은 의문형이고 내포절은 ‘-더 -’가 쓰이지 않은 평서형인 구성에 해당된 어미 결합형 중 ‘-다오’, ‘-다는가’, ‘-다냐’와 ‘-대 요’는 단일어미화가 되어 종결어미 기능을 획득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상위절은 ‘-더-’가 쓰이지 않은 의문형이고 내포절은 ‘-더-’가 쓰이지 않은 평서형인 구성에 해당된 ‘-다느냐’ 와 ‘-다냐’ 중에 ‘-다느냐’는 예문이 없고 ‘-다냐’만 예문이 확인되었다. 이는 ‘-느냐/으냐’가 ‘느’ 탈락에 의해 ‘-냐/으냐’로 변화하였고, ‘-냐/으냐’는 다시 이형태 ‘-냐’로 단일화 되어가 고 있는 변화와 관련이 있다. 즉 내포절 종결어미 ‘-다’에 ‘-느냐’와 ‘-냐’ 간에 ‘-냐’가 결합 될 가능성이 더 많은 것이다. 셋째, ‘-다니’는 ‘원인’이나 ‘근거’의 연결어미 ‘-(으)니’ 또는 해 라체 의문문 종결어미 ‘-니’가 결합되어 형성된 것으로 분류하였다. 이 중 해라체 의문문 종 결어미 ‘-니’의 결합으로 형성된 ‘-다니’는 ‘-고 하-’의 환원뿐만 아니라 뒷발화의 유무로 ‘인 용’의 어미 결합형과는 별개의 종결어미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연결어미 ‘-(으)니’가 결합되 어 형성된 ‘-다니’는 ‘-고 하-’가 환원될 수 있으며 추가 설명을 요구하는 뒷발화가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반해 종결어미 ‘-니’가 결합되어 형성된 ‘-다니’는 ‘-고 하-’가 환원될 수 없으 며 추가 설명을 요구하는 뒷발화도 이어지지 않는다. 넷째, ‘-냐/(으)라/자니’는 해라체 의문 문 종결어미 ‘-니’가 결합되어 형성된 ‘인용’의 어미 결합형인 ‘-다니’와 동일한 해석을 취할 수 있다. ‘-냐니’는 청자의 정보 요청 의문 발화를, ‘-(으)라니’는 청자의 명령 발화를, ‘-자 니’는 청자의 청유 발화를 반복하고 청자에게 되묻는 데 쓰인다. 다섯째, ‘-ㄴ/는’이 통합되 지 않은 ‘-다니’는 간접인용문에서 비롯하고 단일어미화가 된 ‘-다니’와 유사한 의미를 지니 고 있으나 간접인용문에서 온 것이 아니므로 동일한 체계에 두는 것보다 별개의 어미로 해 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여섯째, 상위절은 ‘-더-’가 쓰인 의문형이고 내포절은 ‘-더-’가 쓰이 지 않은 평서형인 구성에 해당된 어미 결합형 중 해라체 ‘-다더냐’의 사용 빈도가 그리 높 지 않으나 단일어미화로 종결어미 기능을 획득한 것으로 보았다. 6장은 상위절이 연결형인 경우에 해당된 어미 결합형을 대상으로 각각의 예문을 살펴봄으 로써 두 가지 체계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첫째, 단일어미화로 별개의 어미 기능을 획득한 어 미 결합형은 연결어미 ‘-고’, ‘-(으)면서’, ‘-(으)니까’, ‘-(으)니’행에 분포되어 있다. 그리고 내 포절에 ‘-더-’가 쓰이지 않은 경우가 내포절에 ‘-더-’가 쓰인 경우보다 단일어미화가 된 어 미 결합형의 수가 많다. 둘째, 내포절이 의문형이고 ‘-더-’가 쓰인 경우에 해당된 어미 결합 형 중에는 ‘-더냐고’를 제외하면 어떤 어미 결합형도 예문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 외에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는 여러 어미 결합형에 대해 면밀히 기술하였다. 첫째, 연결어미 ‘-고’와 결합되어 형성된 ‘-다/냐/(으)라/자고’ 중에 ‘-다고’ 외에 ‘-냐/(으)라/자고’ 도 단일어미화로 종결어미 기능을 획득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결어미 ‘-(으)면서(며)’ 와 결합되어 형성된 ‘-냐면서(며)’에 대해 이필영(1993)과 김수태(2001)에서 ‘-냐면서(며)’는 비환원적 융합형이 되지 못하였다, 다시 말해서 단일어미화가 되지 않았다고 설명하였다. 그 러나 여러 예문을 검토한 결과 ‘-냐면서(며)’도 ‘-다/(으)라/자면서(며)’처럼 단일어미화로 종 결어미 기능을 획득한 것을 확인하였다. 종결어미로서의 ‘-냐면서(며)’는 ‘아는 내용에 대한 확인 물음’과 ‘따짐’의 의미로 쓰일 수 있다. 셋째, 연결어미 ‘-(으)면’과 결합되어 형성된 ‘- 더라면’은 ‘-고 하-’의 환원이 불가능하고 ‘-다면’처럼 선어말어미 ‘-겠-’과 결합할 수 없으므 로 ‘인용’의 어미 결합형이 아닌 단일어미화가 된 별개의 연결어미로 간주해야 한다. 넷째, 연결어미 ‘-(으)니까’와 결합되어 형성된 ‘-다/냐/(으)라/자니까’ 중에 ‘-다니까’는 단일어미화 로 ‘반복 강조’와 ‘불만’의 의미 기능을 지닌 종결어미 기능을 획득하였다. 이와 달리 ‘-냐/ (으)라/자니까’는 단일어미화로 ‘반복 강조’의 의미 기능을 지닌 종결어미 기능만 획득하였고 ‘불만’의 의미로 쓰이지 않는다. 다섯째, 종결어미 ‘-니’와 결합되어 형성된 ‘-다/냐/(으)라/자 니’에 비해 연결어미 ‘-(으)니’와 결합되어 형성된 ‘-다/냐/(으)라/자니’는 ‘-고 하-’의 환원이 가능한 ‘인용’의 어미 결합형에 해당된다. 여섯째, 연결어미 ‘-(으)니’와 결합되어 형성된 ‘- 더라니’는 예문이 극히 적지만 모두 종결 위치에 쓰이며 구문에는 부사 ‘어쩐지’가 함께 사 용된다. 부사 ‘어쩐지’는 주로 혼잣말에 쓰이기 때문에 ‘-더라니’는 화자가 목격하거나 겪은 일에 대한 혼잣말을 나타낼 때 쓰인다. 일곱째, 연결어미 ‘-(으)니’와 결합되어 형성된 ‘-(으) 려니’는 화자 또는 구문 행위 주체의 예측이나 생각을 나타낼 경우 연결어미 ‘-(으)려’와 ‘- 하니’로 환원될 수 없는 단일어미화가 된 별개의 연결어미로 쓰인다. 7장은 상위절이 관형사형에 해당된 어미 결합형을 살펴본 것이다. 관형사형 어미 ‘-ㄴ/은/ 는/ㄹ/을/던’ 중 상위절(후행절) 동사 ‘하-’에 결합될 수 있는 관형사형 어미는 ‘-ㄴ/는/ㄹ/던’ 4개뿐이다. 그리고 이들의 결합으로부터 형성된 어미 결합형은 ‘-고 하-’의 환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일어미화가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또 그 중 실제로 예문이 추출되지 않 은 몇몇 어미 결합형이 있는데 이를 <표62>로 정리하였다. 8장은 상위절이 명사형에 해당된 어미 결합형을 살펴본 것이다. 명사형 어미 ‘-기’와 ‘-음’ 중에 ‘-기’의 결합으로부터 형성된 어미 결합형은 모두 사용되고 있는 데에 반해 ‘-음’이 결 합되어 형성된 어미 결합형은 실제로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organize and analyze Contemporary Korean ending compounds, considering their usage, frequency, and factors related to the use of each ending compounds,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single ending.
In Chapter 3, for instances where the quotative clause is declarative, the study examined the frequency, actual use, and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single ending. It presented five systematic features and three patterns for individual ending compounds. Firstly, ending compounds that are used frequently or are actually in use are mainly concentrated in constructions where the quotative clause does not contain '-deo-'. Secondly, ending compounds that have acquired ending function through the ending univerbation are predominantly concentrated in constructions where the quotative clause does not contain '-deo-'. Thirdly, among declarative, interrogative, imperative, hortative, and conjunctive embedded clauses, ending compounds that are used frequently or are actually in use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declarative embedded clause. Fourthly, in cases of declarative and interrogative embedded clauses, ending compounds with '-deo-' has a lower frequency of use compared to those without '-deo-'. The number of ending compounds used as an ending is relatively low. Fifthly, ending compounds with '-deo-' in both the quotative and embedded clauses are not actually in use.
Furthermore, cases that have not been clarified in dictionaries or previous studies, or require supplementationwere addressed. Firstly, ending compounds indicating 'quotation' can be restored to '-go ha-', but theending compounds '-dae' becomes a 'command' meaning when '-go ha-' is restored. Secondly, the reason why the ending compounds '-(eu)ryeyo' and '-(eu)rye' from '-(eu)ryeo ha-' are not used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absence of instances in native vocabulary where the empty initial syllable '례(rye)' is pronounced. Thirdly, while the usage frequency of the semiformal style(hao-style) ending compounds '-dao' is relatively low in the structure of '-dago ha-'. In contrast, among the ending compounds corresponding to '-dago hadeo-', the usage frequency of semiformal style(hao-style) ending compounds '-dapdida' appeared to be the highest. Additionally, semiformal style(hao-style) ending compounds '-dapdida,' being primarily used in final position with the familiar polite haeyo-style or familiar hae-style, suggests that currently '-dapdida' has distanced itself from the semiformal style(hao-style) and has become closer to thefamiliar polite haeyo-style or familiar hae-style.
In Chapter 4, for instances where the quotative clause is exclamative sentence, the study examined the frequency, actual use, and the ending univerbation. The systematic features related to this are as follows. Firstly, ending compounds that are used frequently or are actually in use are mainly concentrated in constructions where the quotative clause does not contain '-deo-'. Secondly, there are no ending compounds that have acquired new ending functions, possibly due to the relatively low frequency of use for all the ending compounds identified in this context. Thirdly, ending compounds with '-deo-' in both the quotative and embedded clauses are not actually in use.
In Chapter 5, we examined ending compounds corresponding to cases where the quotative clause is interrogative, revealing three systematic features in these instances. Firstly, ending compounds with high frequency or those actively used are predominantly concentrated in configurations with declarative embedded clause. Secondly, when '-deo-' is used in the quotative clause, there are no ending compounds of familiar polite haeyo-style and familiar hae-style. This is because among the ending compounds derived from '-deo-', namely '-deora', '-deonya-', '-deoni', and '-de', '-deora', '-deonya', and '-deoni' can only be realized in the haera-style, and '-de' can only be used in declarative sentences. Thirdly, in the case of conjunctive embedded clauses, there are also no ending compounds of familiar polite haeyo-style and familiar hae-style.
And, regarding the absence of existing research and dictionary interpretations for some ending compound, the following points were discussed. Firstly, among the ending compounds corresponding to interrogative sentence in the quotative clause without '-deo-' and declarative constructions in the embedded clause without '-deo-', it was confirmed that '-dao', '-daneunga', '-danya', and '-daeyo' can be used as a final ending. Secondly, among '-daneunya' and '-danya,' there were no examples found for '-daneunya,' only '-danya' had confirmable examples. This is related to the change where '-neunya/eunya' transformed into '-nya/eunya' due to the elision of 'neu' and '-nya/eunya' is further evolving into the monolithic form '-nya'. Thirdly, '-dani' is classified as a ending compounds of the conjunctive ending '-(eu)ni,' which indicates 'cause' or 'reason' and the ending '-ni' in haera-style. Among these, '-dani'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the haera-style interrogative sentence final ending '-ni' is explained to be an ending. The '-dani'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the conjunctive ending '-(eu)ni' can be reduced to '-go ha-' and may be followed by additional explanations in a back-channeling manner. In contrast, '-dani'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the sentence-terminating ending '-ni' cannot be reduced to '-go ha-' and does not lead to further back-channeling explanations. Fourthly, '-nya/(eu)ra/jani' by the combination with the sentence-terminating ending '-ni' can be interpreted similarly to the 'quotation' ending compound '-dani'. '-nyani' is used for the listener's request for information, '-(eu)rani' for the listener's command, and '-jani' is employed for the listener's persuasion and asking again. Fifthly, the '-dani', which has not been integrated with '-neun/n', shares a similar meaning with the ending '-dani'. However, since it does not originate from indirect quotations, interpreting it as a separate grammatical form rather than incorporating it into the same system seems more appropriate. Sixthly, in cases where the quotative clause is an interrogative sentence with '-deo-', and the embedded clause is a declarative sentence without '-deo-', the frequency of usage of the '-dadeonya' in the haera-style is not very high. But it appears to have acquired the function of a final ending.
In Chapter 6, examines examples of ending compounds in cases where the quotative clause is a conjunctive form. Through this analysis, two systematic features were identified. Firstly, ending compounds that have acquired an ending functions which are distributed in conjunctive endings such as '-go', '-myeonseo', '-nikka' and '-ni'. Secondly, among the ending compounds corresponding to cases where the embedded clause is interrogative and '-deo-' is used, no examples were found for any ending compounds except '-deonyago'.
In addition, various ending compounds not clarified in previous studies were described in detail. Firstly, among ending compounds by combining with the conjunctive ending '-go,' in addition to '-dago,' '-nya/(eu)ra/jago' is also can be used as an ending. Secondly, with regards to the combination with the conjunctive ending '-(eu)myeonseo(myeo),' it was explained that '-nyamyeonseo(myeo)' did not become an unreduced fusion form, according to Lee, Pil-Young(1993) and Kim, Soo-Tae(2001). However, upon reviewing various examples, it was confirmed that '-nyamyeonseo(myeo)' also acquires the function of an ending. The sentence-terminating ending '-nyamyeonseo(myeo)' can be used to express inquiries for confirming known information and making comparisons. Thirdly, '-deoramyeon' by the conjunctive ending '-(eu)myeon' is not reducible like '-go ha-', and it cannot combine with pre-final ending '-get'. Therefore, it should be regarded as a separate conjunctive ending that has undergone ending univerbation. Fourthly, among ending compounds by combining the conjunctive ending '-(eu)nikka', '-danikka' has acquired the function of an ending, carrying meanings of 'repeated emphasis' and 'discontent'. In contrast, '-nya/(eu)ra/janikka' also can be used as an ending with the meaning of 'repeated emphasis,' but it is not used with the meaning of 'discontent'. Fifthly, compared to '-(eu)ni' combined with final ending, '-(eu)ni' combined with conjunctive ending, ending compounds '-da/nya/(eu)ra/jani', corresponds to an 'indirect quotation' ending compounds where the restoration of '-go ha-' is possible. Sixthly, '-deorani' has very few examples, but all are used in the final position, accompanied by the adverb ' somehow(어쩐지)' in the sentence. Seventhly, '-(eu)ryeoni' is used as a separate conjunctive ending, not reversible to conjunctive ending '-(eu)ryeo' and '-hani,' when expressing the speaker's or the syntactic act subject's prediction or thought.
In Chapter 7, examines ending compounds corresponding to adnominal ending where the quotative clause serves as an adnominal ending. Among the adnominal endings '-n/eun/neun/rieul/eul/don', only '-n/neun/rieul/don' can be combined with the quotative clause. Additionally, they did not acquire the function of an ending.
In Chapter 8, examines the ending compounds where the quotative clause functions as a nominal. Among the nominal endings, thos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gi' are actively used, while those formed by '-eum' are confirmed to be not in use.
Author(s)
팽이림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Keyword
어미 결합형'-고 하-' 축약단일어미화간접인용-(으)려 하-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180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33464
Alternative Author(s)
PENG YILIN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한국어교육학전공
Advisor
유필재
Degree
Docto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어교육학전공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Korean Education > 2. Theses (Ph.D)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