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현대 한국어 감탄형 종결어미 ‘-어라’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Exclamatory Ending ‘-ara/-era’ in Contemporary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in Contemporary Korean.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is rarely addressed in existing Korean grammar studies. This is because, while -ara/-era is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anguage, its usage is limited, making it challenging to gather examples. As a result, previous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created example sentence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ara/-era by using thesemi-spoken corpus as research data. Additionally, it attempts a new analysis by incorporating -ara/-era into the comparative study of –kwuna and –ne. The comparative study of -kuna and –ne is a topic that has already been discussed in various ways in previous research.
In Chapter 2, previous research on the exclamatory endings –ara/-era, -kwuna, and -ne was reviewed and issues that needed to be investigated focusing on –ara/-era were summarized.
In Chapter 3,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were examined using examples of –ara/-era extracted from the research data of this paper. The most central grammatical feature of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is the restriction of the preceding stem, but the list of adjectives that form the exclamatory ending by combining –ara/-era has not been specifically presented or confirmed. Accordingly, this paper confirmed the list of adjectives combined with the exclamatory form –ara/-era in the research data of this paper. The adjectives in this list are arbitrarily shortened and named ‘Exclamatory adjective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exclamatory adjectives in this paper are those that are clearly used in practice in combination with the exclamatory form –ara/-era, and are adjectives that are frequently used and have a high possibility of use.
The Exclamatory adjectives in contemporary Korean encompass psychological adjectives, sensory adjectives, and state-property adjectives. When a psychological or sensory adjectives is combined with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only the first person is used as the subject. This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and sensory adjectives. When a state-property adjectives is combined with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the first person cannot be placed in the subject position. This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ra/-era.
A subclass of state-property adjectives includes personality adjectives that evaluate the qualities of a person. It was confirmed that personality adjectives generally use -ara/-era with high frequency.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combines with phrases in addition to psychological adjectives, sensory adjectives, and state-property adjectives. Phrases that combine with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include idioms, -ko siphta, and –kido hada. However, –kido hada must be combined with an adjectives. The combination of -ara/-era and idioms proves the theoretical assumption that not only individual words are listed as lexemes in lexicon, but idioms are also recognized and registered. When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is combined with an idiom, the second or third person takes the place of the subject. shphta is an auxiliary adjective. The only construction of shphta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is –ko shphta. –ko shphta shares the same grammatical and semantic features as psychological adjectives. When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is combined with –ko shphta, the first person takes the place of the subject. -kido hada is used as a verb when combined with an verb, and as an adjective when combined with an adjective.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only combines with -kido hada following an adjective. In this case, hada is an auxiliary adjective. When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is combined with an –kido hada, the second or third person takes the place of the subject.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is combined only with -si- among the prefinal endings -si-, -ess-, and –keyss-. As is well known, when the first person is placed in the subject position, the preverbal ending -si- cannot be combined. Therefore, -si- is combined only when state-property adjectives, an idiom, or –kido hada, which can be in the second or third person, appears as the preceding stem of –ara/-era.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which is the subject of study in this paper, has the same form as the imperative ending -ara/-era. It has been confirmed that among adjectives, those that evaluate a person's personality, attitude, or appearance can create exclamatory or imperative sentences. The exclamatory ending -ara/-era is based on a sentence pattern in which only the predicate appears. In the -ara/-era sentence pattern, only independent words that are not related to any component of the sentence can appear. Among these independent words, only exclamations and vocative words are included. exclamations can only be combined with emotional exclamations that convey the speaker's emotions. Emotional exclamations primarily appear at the beginning of the -ara/-era sentence pattern. Vocative words omit the vocative case particles and appear simply as a noun. In most cases, wuli and nay take precedence, and their position is flexible. exclamations and vocative words do not necessarily have to appear. -ara/-era expresses the speaker’s subjective feelings or judgment at the scene of speech. It has a stronger immediacy than any other exclamatory ending.
In Chapter 4, based on the discussion in Chapter 3, the grammat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ara/-era and –kwuna, –ne were compared. Unlike -ara/-era, which has several restrictions, –kwuna, –ne has no preceding stem restrictions and no subject restrictions. However, when –kwuna, –ne is combined with a psychological or sensory adjectives, the first person can be used as the subjec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djectives. However, when –kwuna is combined with a psychological adjectives or a sensory adjectives, the second or third person can be used as the subject. This 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kwuna. The subject restrictions of psychological and sensory adjectives are resolved when used with expressions expressing inferences. –kwuna can express information learned through inference. –kwuna does not have any restrictions on the prefinal ending. –ne freely combines with -si-, -ess-, -keyss-, but does not combine with -te-.
-ara/-era can be said without considering the listener. –kwuna, –ne may or may not take the listener into consideration. Since –kwuna, –ne does not impose restrictions on whether the listener is considered, the speaker can confirm information they have or are guessing to the listener. However, -ara/-era cannot be used in the usage explained previously. When it is necessary to elevate the listener, only –ne combines with the auxiliary -yo. -ara/-era cannot combine with -yo, and –kwuna can combine -yo with its abbreviation –kwun. -ara/-era, –kwuna, –ne can also be combined with ha- and used as –ara/-era ha-, –kwuna ha-, –ne ha-. –ara/-era ha- is mainly used as na mollala ha-, joara ha-. –ara/-era ha-, –kwuna ha-, –ne ha- can be followed by a human noun or a specific noun to express detailed aspects of a character's facial expression or psychology. It can be used in both written and spoken language. Unlike –ara/-era, which only combines with emotional exclamations, –kwuna, –ne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types of exclamations.
-ara/-era expresses the speaker’s feelings or emotions. The speaker’s feelings or emotions expressed in -kwuna and -ne accompany new facts. -ara/-era expresses facts learned through direct perception. -kwuna can express facts learned through inference as well as direct perception. -ne mainly expresses facts learned through direct perception, but it can also express inference when what is directly perceived is judged to be solid evidence. At this time, it often appears in combination with –ess-, -keyss-. The information expressed with -ara/-era is immediate. -kwuna is used to express a long process of thinking. -ne is used to express an immediate or brief thought process.
Finally, Chapter 5 concludes with a brief summary of what was discussed in the main text.|본고의 목적은 현대 한국어 감탄형 종결 어미 ‘-어라’의 문법적, 의미적 특징을 구명하 는 데에 있다. 감탄형 ‘-어라’는 기존의 한국어 문법에서 다루어진 바가 적다. 실제 언어 생활에서는 ‘-어라’가 자주 사용되지만 쓰임이 한정되어 용례를 수집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기존 연구들도 작례(作例)를 중심으로 연구를 할 수 밖에 없 었다. 이에 본고는 준구어 말뭉치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현실 언어에서 사용되는 ‘-어 라’의 문법적, 의미적 특징을 밝히고 선행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던 ‘-구나’, ‘-네’ 비교 연구에 ‘-어라’를 포함하여 새로운 분석을 시도하였다. 제2장에서는 감탄형 종결 어미 ‘-어라’와 ‘-구나’, ‘-네’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어라’를 중심으로 구명되어야 하는 쟁점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자료에서 추출한 ‘-어라’의 용례를 활용하여 감탄형 ‘-어라’의 문법적, 의미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감탄형 ‘-어라’의 문법적 특징 중 가장 중심이 되는 내용은 선행 어간 제약이지만 ‘-어라’ 가 결합하여 감탄형을 만드는 형용사 목록은 구체적으로 제시되거나 확정된 바가 없다. 이에 본고는 본고의 연구 자료에서 감탄형 ‘-어라’가 결합하는 형용사 목록을 확인하였다. 이 목록에 해당하는 형용사들은 서술의 편의상 줄여서 임의로 ‘감탄형 형용사’로 명명한 다. 본고의 감탄형 형용사는 감탄형 ‘-어라’와 결합하여 실제 분명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 들로 사용되는 빈도가 높고 사용 가능성이 높은 형용사이다. 현대 한국어의 감탄형 형용사에는 심리 형용사, 감각 형용사, 성상 형용사가 속한다. 감 탄형 ‘-어라’가 심리 형용사, 감각 형용사를 선행 어간으로 취하면 주어 자리에는 1인칭만 온다. 이는 심리 형용사와 감각 형용사의 특성에서 기인한 것이다. 성상 형용사를 선행 어 간으로 취하면 주어 자리에는 1인칭이 오지 못한다. 이는 ‘-어라’의 특성에서 기인한 것이 다. 성상 형용사의 하위 부류에는 사람 명사의 성질을 평가하는 성격 형용사가 있는데 성 격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어라’와의 사용 빈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탄형 ‘-어라’는 심리 형용사, 감각 형용사, 성상 형용사 외에 구(句)와도 결합한다. 구 (句)에는 관용구, ‘-고 싶-’, 형용사와 결합하는 ‘-기도 하-’가 속한다. ‘-어라’와 관용구가 결합하는 것은 인간의 어휘부에는 별개의 어휘소로 단어만 있는 것이 아니라 관용구도 등 재되어 있다는 이론적 가정을 증명한다. 감탄형 ‘-어라’가 관용구를 선행 어간으로 취하면 주어 자리에는 2, 3인칭이 온다. ‘싶다’는 보조 형용사로 여러 구성을 가지는데 이 중 감 탄형 ‘-어라’와 결합할 수 있는 것은 ‘-고 싶-’ 뿐이다. ‘-고 싶-’는 심리 형용사와 동일 한 문법적, 의미적 특징을 공유한다. ‘-어라’가 선행 어간으로 ‘-고 싶-’를 취하면 주어 자리에는 1인칭이 온다. ‘-기도 하-’는 선행 어간으로 동사를 취하면 동사 활용을 하고 형용사를 취하면 형용사 활용을 하는 문법 구성이다. 감탄형 ‘-어라’는 형용사와 결합하는 ‘-기도 하-’와만 결합한다. 이때 ‘하-’는 보조 형용사이다. ‘-어라’가 선행 어간으로 ‘-기 도 하-’를 취하면 주어 자리에는 2, 3인칭이 온다. 감탄형 ‘-어라’는 선어말 어미 ‘-시-’, ‘-었-’, ‘-겠-’ 중 ‘-시-’와만 결합한다. 익히 알 려진 바와 같이 주어 자리에 1인칭이 오면 선어말 어미 ‘-시-’가 결합할 수 없다. 따라서 주어 자리에 2, 3인칭이 가능한 성상 형용사, 관용구, ‘-기도 하-’가 ‘-어라’의 선행 어간 으로 오는 경우에만 ‘-시-’가 결합한다. 본고의 연구 대상인 감탄형 ‘-어라’는 명령형 ‘-어라’와 형태가 동일하다. ‘-어라’와 결 합하여 명령형을 만드는 형용사를 의지 형용사라고 한다. 형용사 중 사람의 성격이나 태 도, 외모를 평가하는 형용사는 감탄형 형용사와 의지 형용사 모두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 인하였다. 감탄형 ‘-어라’는 서술어 단독으로 실현되는 문형을 기본으로 한다. ‘-어라’ 문 형에서는 문장의 어느 성분과도 관련이 없는 독립어만 나타날 수 있는데 독립어 중에서도 감탄사, 호격어만 출현할 수 있다. 감탄사는 화자의 감정을 나타내는 감정 감탄사만이 결 합하며 주로 ‘-어라’ 문형의 문두에 나타난다. 호격어는 호격 조사가 생략된 명사 단독형 으로 ‘우리’, ‘내’가 선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위치는 자유롭다. 감탄사와 호격어의 실현은 필수적이지 않다. ‘-어라’는 발화 현장에서의 화자의 주관적 감정 또는 판단을 표 현한다. 어떤 감탄형 어미보다 즉각적이다. 제4장에서는 제3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어라’와 ‘-구나, -네’의 문법적, 의미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여러 제약을 가지는 ‘-어라’와 달리 ‘-구나, -네’는 선행 어간 제약을 가지지 않고 주어 제약도 가지지 않는다. 단 ‘-구나, -네’가 심리 형용사, 감각 형용사를 선행 어 간으로 취하면 이들 형용사가 가지는 특성에서 기인하여 주어 자리에 1인칭이 올 수 있 다. 그런데 ‘-구나’는 심리 형용사, 감각 형용사를 선행 어간으로 취할 때도 주어 자리에 2, 3인칭이 올 수 있다. 이는 ‘-구나’의 특성에서 기인한 것이다. 심리 형용사와 감각 형 용사의 주어 제약은 추론을 나타내는 표현과 함께 사용되면 해소되는데 ‘-구나’는 추론으 로 알게 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구나’는 선어말 어미 제약도 가지지 않는다. ‘-네’는 ‘-시-’, ‘-었-’, ‘-겠-’과 자유롭게 결합하지만 ‘-더-’와는 결합하지 않는다. 단독적 장면과 상관적 장면 중 단독적 장면에서 주로 사용되는 ‘-어라’와 달리 ‘-구나’, ‘-네’는 모두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어라’는 청자를 고려하지 않은 채 발화가 이루어지므로 화자가 가지거나 추측하고 있는 정보를 청자에게 확인하는 유사 의문문 용 법으로 사용될 수 없지만 ‘-구나’, ‘-네’는 유사 의문문 용법으로 사용 가능하다. 청자가 높여야 할 대상일 때 ‘-네’만 보조사 ‘-요’와 결합한다. ‘-어라’는 ‘-요’와 결합하지 못하 고 ‘-구나’는 준말인 ‘-군’에 ‘-요’를 결합할 수 있다. ‘-어라, -구나, -네’는 ‘하-’와 결합 하여 ‘-어라 하-, -구나 하-, -네 하-’로 사용되기도 한다. ‘-어라 하-’는 주로 ‘나몰라라 하-, 좋아라 하-’로 사용된다. ‘-어라 하-, -구나 하-, -네 하-’는 사람 명사나 ‘느낌, 모 습, 생각, 심정, 얼굴’ 등이 후행하여 인물의 표정이나 심리를 자세하게 표현할 수 있다. 문어와 구어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다. 감정 감탄사와만 나타나는 ‘-어라’와 달리 ‘-구나, -네’는 감정 감탄사뿐만 아니라 의지 감탄사와도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어라’가 의지 감 탄사와 함께 나타나지 않는 것은 청자를 고려하지 않고 발화하는 ‘-어라’의 특징에서 비 롯한 것이다. ‘-어라’는 화자의 느낌이나 감정을 표현한다. ‘-구나’, ‘-네’에서 표현되는 화자의 느낌 이나 감정은 새로 알게 된 사실에 동반한 것이다. ‘-어라’는 직접 지각을 통해 알게 된 사 실을 표현한다. ‘-구나’는 직접 지각뿐만 아니라 추론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을 표현할 수 있다. ‘-네’는 주로 직접 지각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을 표현하지만 직접 지각한 내용이 확 실한 증거라고 판단되면 추론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때 ‘-었-, -겠-’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어라’로 표현되는 정보는 즉각적이다. ‘-구나’는 긴 사유 과정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네’는 즉각적이거나 짧은 사유 과정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본문에서 논의된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 하였다.
Author(s)
송유빈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8
Type
Dissertation
Keyword
감탄형감탄형 종결어미 '-어라'문법적 특징의미적 특징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246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805567
Alternative Author(s)
Song, Yu-Bin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한국어교육학전공
Advisor
유필재
Degree
Docto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어교육학전공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Korean Education > 2. Theses (Ph.D)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