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혈 가스 분석의 임상적 의의
- Alternative Title
- Clinical implication of umbilical cord blood gas analysis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제대혈 가스 분석의 임상적 의의를 보고자 제대혈 가스 분석 결과를 통해 재태 연령에 따른 젖산 농도의 참고치를 제시하고 제대혈 혈당치와 신생아 혈당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연 제대 결찰의 이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4 년 1 월부터 2023 년 12 월까지 울산대학교병원에서 태어난 모든 신생아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신생아들의 제대혈 가스 분석 결과를 통해 pH, 이산화탄소분압, 산소분압, 중탄산염, 염기과잉, 총 이산화탄소, 산소포화도, 적혈구 용적, 젖산, 혈당치를 수집하였다. 그 중 즉시 제대 결찰과 지연 제대 결찰을 비교하기 위해서 34 주 이상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지연 제대 결찰 실시 전후 2 년의 기간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제대혈가스분석 결과는 3191 건, 최초 동맥혈가스분석 결과는 1664 건이 수집되었다. 젖산 수치는 재태 주수 33 주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한 다음 만삭 주수까지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재태 주수 증가에 따른 젖산 수치의 증가는 명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제대 혈당 수치와 신생아 혈당 수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0.415, p<0.001) 제대혈 혈당이 1mg/dl 증가하면 아기의 혈당의 0.430mg/dl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연 제대 결찰군에서는 즉시 제대 결찰군에 비해 이산화탄소분압, 염기과잉, 중탄산염, 총 이산화탄소, 혈당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산소분압, 산소포화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H, 적혈구 용적, 젖산 값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제대혈가스분석을 통해 제대혈 혈당치와 신생아 혈당치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예측인자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지연 제대 결찰시 호흡 지표의 개선을 확인하였다. 중심단어 : 지연 제대 결찰, 제대혈가스분석, 젖산, 저혈당|This study aimed to confirm lactate levels according to gestational age (GA), the correlation between umbilical cord blood glucose and infant blood glucose levels and analyze the usefulness of UC-BGA to evaluate delayed umbilical cord clamping (DCC).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harts of all infants born at Ulsan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23. We collected data on the UC-BGA and infants’ initial arterial blood gas analysis (A-BGA) results, such as pH,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 (pCO2), partial pressure of oxygen (pO2), bicarbonate (HCO3 -), base excess blood (BEB), total carbon dioxide (TCO2), oxygen saturation(O2Sat), hematocrit, glucose, and lactate levels. Using these values, a comparison between immediate cord clamping (ICC) and DCC in infants aged 34 weeks or older was performed over the target period of 2 years before and after DCC implementation. Results: There were 3191 patients with UC-BGAs and 1664 with initial A-BGAs. Lactate levels gradually decreased up to GA 33 weeks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to term; however, the increase in lactate levels with increasing GA did not show a clear correlation. For glucose level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r=0.415, p<0.001) between umbilical cord blood glucose and infant blood glucose levels, and it was observed that when the cord blood glucose level increased by 1mg/dl, the infants’ glucose level increased by 0.430mg/dl. In the DCC group (n=764), pCO2, BEB, HCO3 -, TCO2, and glucose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pO2 and O2Sat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ICC group (n=740).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H, hematocrit, and lactate levels. Conclusions: A UC-BGA’s use as a predictive factor was confirmed by validating its correlation with infant blood glucose levels and benefits of DCC were confirmed through respiratory parameters measured via UC-BGA. Key words: delayed cord clamping, cord blood gas analysis, lactate, hypoglycemia
- Author(s)
- 오윤교
- Issued Date
- 2024
- Awarded Date
- 2024-0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delayed cord clamping; cord blood gas analysis; lactate; hypoglycemia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312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812721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