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외고산 옹기마을 활성화 전략과 울산옹기축제 발전 방안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ategies for Activating Oegosan Onggi Village and Development Plans for the Ulsan Onggi Festival
Abstract
울산옹기축제가 외고산 옹기마을에 조성된 배경 중 가장 큰 요인은 옹기 장인들이 모여 있는 마을이자 옹기로 특화된 공간이라는 점이다. 외고산 옹기마을이라는 장소의 공간적 실체에서 느끼는 정서적 느낌과 옹기마을이라는 특정 장소에서 개최되는 독특한 장소성이 결합된 울산옹기축제는 울산의 대표 문화관광자원이라 할 수 있다. 울산광역시와 울주군은 산업사적 의미와 문화유산적 가치를 동시에 지닌 외고산 옹기마을에 주목하고 옹기마을을 문화관광자원화하기 위한 사업을 시작했다. 이로써 울산옹기축제는 마을단위 축제 필요성에 의해 탄생하게 됐다. 하지만, 20여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외고산 옹기마을은 옹기사양화로 인한 옹기 산업 침체와 고령화로 인한 경제적 낙후가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울산옹기축제 역시 킬러콘텐츠 확보에 대한 문제가 매해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외고산 옹기마을과 울산옹기축제의 조성배경과 현황,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외고산 옹기마을과 울산옹기축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이는 외고산 옹기마을에서 울산옹기축제가 조성된 배경 요인, 그리고 외고산 옹기마을의 침체 요인, 문화관광체육부 및 울산옹기축제 자체 총평을 통해 세 가지를 발전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장소마케팅을 통한 킬러콘텐츠 강화 방안으로 외고산 옹기마을 내에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옹기마을 산업 유산인 영남요업 보존에 주목해 보았다. 둘째, 무형의 유산을 전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전통 옹기기술과 옹기 장인, 그리고 옹기마을 시설 및 장인공방을 활용한 후계양성 및 창업으로 연계할 수 있는 옹기문화 인프라 프로그램 구축이 그 하나이다. 셋째, 지역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주민참여형 발전방안으로 옹기의 사장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젊은 세대 유입책과 축제 내 주민기획단 활용 등 지역 주민 참여 기회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세 가지 방안이 상호보완을 이루었을 때, 외고산 옹기마을과 울산옹기축제의 궁극적인 목표인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소득 창출, 지역 브랜드 가치 상승, 옹기문화 인프라 구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나, 현실에 적용 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법제시에는 한계가 있었다. 앞서 제시한 발전 방안에 대한 함의와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외고산 옹기마을과 울산옹기축제에 활력을 되찾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축제, 외고산 옹기마을, 울산옹기축제, 문화관광축제, 축제 활성화 전략|The main factor behind the establishment of the Ulsan Onggi Festival in the Oegosan Onggi Village is that it is a village where Onggi artisans gather and a space specialized in Onggi Village. The Ulsan Onggi Festival, which combines the emotional sensation felt in the spatial entity of Oegosan Onggi Village and the unique locationality held in the specific location of Onggi Village,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cultural tourism resource of Ulsan. Ulsan Metropolitan City and Ulju County began to take notice of Oegosan Onggi Village, which has both industrial historical significance and cultural heritage value, and began a project to turn Onggi Village into a cultural tourism resource. As a result, the Ulsan Onggi Festival was born out of the need for a village-wide festival. However, more than 20 years later, the Oegosan Onggi village is still faces the problem of stagnation and economic decline due to aging of the Onggi industry due to the decline of the Onggi industry, and the issue of securing killer content is also pointed out every year at the Ulsan Onggi festival. In this paper, we will look at the background,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reation of Oeosan Onggi Village and Ulsan Onggi Festival, and present ways to activating them through this.

Then, what is needed to activating Oegosan Onggi Village and the Ulsan Onggi Festival. Three development strategi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background factors behind the creation of Oegosan Onggi Village and the Ulsan Onggi Festival, the factors behind the decline of Oegosan Onggi Village, and a general review by the Ministry of Culture, Tourism and Sports and the Ulsan Onggi Festival itself. First, in the plan to strengthen killer content through location marketing, we focused on preserving the Yeongnam ceramics industry, an industrial heritage of Onggi Village, which can create new added value within Oegosan Onggi Village. Second, one of the ways to inherit and utilize intangible heritage is to establish an Onggi Culture Infrastructure Program that can be linked to succession training and start-ups using traditional Onggi technology, Onggi craftsmen, Onggi Village facilities and craftsmen's workshops. Third, the residents' participation-type development plan to strengthen the regional base proposed ways to participate in local residents, such as the inflow of young generations to prevent the neglect of Onggi stored away and the use of resident planning groups in festival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ultimate goal of Oegosan Onggi Village and the Ulsan Onggi Festival, activating, will be achieved when the above three methods complement each other. The aim was to use this to generate income, increase the value of the local brand, and build an infrastructure for Onggi culture, but there were limitations in presenting specific methods that could be applied in reality. It is hope that the implications and research into the development plans presented above will continue and bring vitality back to Oegosan Onggi Village and the Ulsan Onggi Festival.



[Key words] : Festival, Oegosan Onggi Village, Ulsan Onggi Festival,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Festival Activating Plan
Author(s)
이나라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8
Type
Dissertation
Keyword
축제외고산 옹기마을울산옹기축제문화관광축제축제 활성화 전략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341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810758
Alternative Author(s)
Lee NaRa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역사.문화학과
Advisor
전호태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역사.문화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Korean History & Cultural Studies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