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한시에서의 살구꽃의 형상과 그 의미 - <청명(淸明)> 시의 수용과 활용을 중심으로 -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literary prototype of the apricot flower and its transition - Focusing on by Du-Mu(杜牧) -
Abstract
본고는 한국문학, 특히 한시에서 형성되어 전해진 살구꽃의 전형적 이미지를 탐색하고, 우리나라 한시에 큰 영향을 미친 두목(杜牧)의 <청명(淸明)> 시가 수용된 이래 그 시를 구성하고 있는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가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로부터 살구꽃은 우리나라에서 고향의 봄을 상징하는 꽃으로 여겨왔다. 그런데 살구꽃 관련 한시에서는 살구꽃 핀 마을, 행화촌(杏花村)을 관용적으로 주막의 의미로 활용하는 사례가 많았다. 그 계기가 된 것은 두목의 「청명」 시다. 이 논문에서는 살구꽃을 제재로 한 한시들 가운데 두목의 「청명」 시의 수용으로 형성된 행화촌의 이미지가 어떻게 변해 갔는지에 대해 살피고 있다.
살구꽃을 읊은 시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후대 시인들에게 폭넓은 영향을 미친 것은 두목의 <청명>이다. 이 시는 우리나라 전래 초기에 비 내리는 청명 등의 이미지가 주로 활용되다가 조선조에 이르러 살구꽃 핀 마을이 주막(酒幕)을 의미하는 사례가 본격적으로 나타났다. 이후 원시(原詩)에서의 부슬비 내리는 가운데 멀리 보이는 행화촌의 어리어리한 이미지가 ‘석양’으로 바뀌어 나타나기도 하고, 원시에서는 구체적이지 않은 이미지로 등장했던 목동이 ‘소 등에 타고 피리를 빗겨 부는’ 목동으로 구체화되기도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the literary prototype of the apricot flower was formed and transformed in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in Sino-Korean poetry. Since old times, the apricot flower has been regarded as a flower that symbolizes spring of hometown and apricot blossoms mean a bar. However there has been no discussion on the origin of that. Furthermore there are countless poems about the apricot flower in Korea, but the original image of the apricot flower that permeates these poems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First, the ecology of the fruit and flower of the apricot tree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records of the past. Du-Mu杜牧's was the most widely known and had a wide influence on later poems in Korea. We can notice that the poems about apricot flower in Korea have been widely recite the Du-Mu’s .
However, as we come to the latter Joseon period, the hazy image of Haenghwa Village(杏花村) that can be seen in the distance changes to 'sunset' image because of its hazy image. And the shepherd boy who appeared as a vague image in primitive times chaged to the shepherd who 'rides on the back of a cow and blows the flute.'
Author(s)
안순태
Issued Date
2022
Type
Article
Keyword
살구꽃살구행화촌杏花村주막두목杜牧청명淸明박제가朴齊家apricot treeapricot flowerapricot bolssoms village杏花村Du-Mu杜牧Qingming淸明Park Je-ga朴齊家
DOI
10.37967/emh.2022.12.158.193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353
Publisher
어문학
Language
한국어
ISSN
1225-3774
Citation Number
1
Citation Start Page
193
Citation End Page
219
Appears in Collections:
Humanities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