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과부하가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조직 동일시의 순차적 매개 효과 및 코칭 리더십의 조절 효과
- Alternative Title
- The Influence of Work Overload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Meaningfulness of Work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 과부하가 조직 성과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일의 의미와 조직 동일시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탐색하는것이다. 뿐만 아니라, 직무 과부하가 일의 의미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코칭 리더십이 직무 과부하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조절하는지확인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직무 과부하가 조직 구성원들의 인식, 태도, 그리고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주로살펴보았지만, 직무 과부하가 조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떤 작동 기제를 거쳐서 조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조직 성과는 기업의 생존과 성장에 직결된 중요한 이슈이기에, 직무 과부하가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교하게 파악하는 작업은 꼭 필요하다. 이 이슈를 이론적, 실증적으로 다루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 과부하가 구성원들의 일의 의미와 조직 동일시를 순차적으로 감소시켜서(매개하여) 결국 조직 성과를 떨어뜨릴 것이라는 가설을설정했다. 또한 직무 과부하가 일의 의미를 감소시키는 과정에서 코칭 리더십이 완충 작용을 할 것이라고 제안한다. 이를 실증적으로분석하고자 국내 기업에 근무 중인 346명의 직원들로부터 세 시점에 걸쳐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 모형이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를 동시에 검증하고자 하기에, 조절된 매개 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 과부하는 일의 의미와 조직 동일시를 순차적으로 감소시켜서(매개하여) 조직 성과를 낮추었다. 그리고 코칭 리더십은 직무 과부하가 일의 의미를 감소시키는 영향력을 완화시켰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론적/실무적 함의점들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meaningfulness of work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paper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in the work overload-meaningfulness of work link. Although existing studies have reported how work overload affects the perceptions, attitudes, and behaviors of employees, those have not paid enough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work overload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Considering that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the key factor to firm’s survival, it is critical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work overload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intermediating mechanisms. To deal with the issue,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work overload would eventually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meaningfulness of work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f employees. It also suggests that coaching leadership ma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meaningfulness of work. To empirically analyze i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3-wave data collected from 346 employees working at Korean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eaningfulness of work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equentially mediated the work overload-organizational performance link. In addition, coaching leadership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meaningfulness of work.
- Author(s)
- 김병직
- Issued Date
- 2022
- Type
- Article
- Keyword
- 직무 과부하; 코칭 리더십; 일의 의미; 조직 동일시; 조직 성과; 조절된 매개 모형; work overload; coaching leadership; meaningfulness of work;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oderated mediation model
- DOI
- 10.47684/jcd.2022.06.24.2.273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391
- Publisher
- 코칭능력개발지
- Language
- 한국어
- ISSN
- 1229-6597
- Citation Volume
- 24
- Citation Number
- 2
- Citation Start Page
- 270
- Citation End Page
- 282
-
Appears in Collections:
- Medicine > Nursing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