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내외부 맥락 이해하기: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Understanding of internal and external contexts for the protection of overseas Koreans: Focusing on grounded theory
Abstract
재외국민이 범죄 등 사건사고로부터 보호받는 것은 중요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큰 관심을 받지 못했던 연구주제 중 하나이다. 최근의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첫째, 대다수가 법적인 관점 혹은 범죄 피해의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둘째, 재외국민들이 제대로 보호받고 있는가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연구한 논문은 거의 없었다. 이러한 연구 부재를 메우고자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업무 체계 및 절차, 외부적 환경, 재외국민들의 인식 등을 포함한 재외국민 보호라는 실제적인 현상(phenomena)에 초점을 맞추었고, 사건사고 영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실증적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Glaser와 Strauss(1967)가 개발한 근거이론과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을 적용하였고, 실증적 자료를 추상화하여 범주들을 구성하고 그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가설적 관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59개의 개념, 49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를 유형화하였고, 중심범주인 ‘불안’을 중심으로 인과적 조건, 매개적 조건, 맥락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결과 간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재외국민 본인이 직접적 이해관계자인지 여부, 사건사고가 공정하게 처리되는지 인식 정도, 사건사고 영사의 근무체계 구축 여부, 이해관계자들과의 주기적 소통 여부, 공식적/비공식적 채널의 활용 여부, 절차적 정의 준수 여부에 따라 재외국민의 치안에 대한 만족도는 높아질 수도 혹은 낮아질 수도 있다는 가설적 관계를 도출하였다.

It becomes more important for overseas citizens to be protected from crimes and other incidents, but it is one of the research topics that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recent previous studies, first, most of them were studied from the point of view of legal or criminal damage. Second,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studies on whether overseas citizens are properly protected. To fill the gap, this study focused on the actual phenomenon of the protection of overseas Koreans, including related work systems and procedures, external environment, and their perceptions. In the process,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earch method, grounded theory and the paradigm model of grounded theory developed by Glaser and Strauss(1967) were applied, and by abstracting empirical data to construct categories and explore their relationships, finally, a substantive-level theory was constructed. Analyzing the research data, a total of 59 concepts, 49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were classified.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anxiety" of overseas Korean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such anxiety are investigated and what conditions are influencing them. A hypothetical theory was derived that such anxiety is influenced by whether an overseas Korean is a direct stakeholder, the level of awareness that procedures are being followed, whether a working system of the consul for incidents and regular communication with stakeholders are established, whether official/informal channels are used, and whether procedural justice is maintained.
Author(s)
정제용최연준
Issued Date
2022
Type
Article
Keyword
재외국민 보호사건사고 영사내외부적 맥락근거이론패러다임 모형
DOI
10.22816/polsci.2022.22.1.004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408
Publisher
경찰학연구
Language
한국어
ISSN
1598-3714
Citation Volume
22
Citation Number
1
Citation Start Page
79
Citation End Page
102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Nurs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