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 관련요인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Factors related to Job-seeking Anxiety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이 지각하는 신체상, 자기표현 및 취업불안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취업불안에 미치는 관련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U시 소재 1개 대학과 B시에 소재한 1개 대학에 재학 중인 183명의 간호 대학생 3,4학년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10월 11일부터 11월 20일까지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WIN 22.0으로 T-test, 분산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 분석을 하였다. 신체상과 자기표현은 정적상관관계, 취업불안과 부적상관관계, 자기표현과 취업불안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상, 자기표현이었고 총 설명력은 26.2%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긍정적인 신체상을 가지도록하며 자기표현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가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plore body image, self-expression, and job-seeking anxiety-related factors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Data was collected from 183 nursing college students enrolled at a university in U or B cit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October to November 2019.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2.0. Body image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xpression and job-seeking anxiety, and self-ex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seeking anxiet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ducational level, body image, and self-expression explained 26.2 % of job-seeking anxiety.
Author(s)
안성아이경숙
Issued Date
2022
Type
Article
Keyword
Nursing College StudentsBody ImageSelf ExpressionJob-Seeking AnxietyFactors
DOI
10.5762/KAIS.2022.23.3.105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444
Publisher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Language
한국어
ISSN
1975-4701
Citation Volume
23
Citation Number
3
Citation Start Page
105
Citation End Page
111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Nurs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