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도시 브랜딩 구축을 위한 스페이스 브랜딩 요소 적용 연구 - 울산시 지역 공공문화공간을 중심으로 -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pace Branding Elements to Build Urban Branding - Focused on the Local Public Cultural Space in Ulsan City -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지역 문화의 정책적 관심이 문화적 삶의 질 향상으로 확대되며 문화생활을 향유할 수 있는 지역 공공문화공간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지역 공공문화공간은 지역민들의 문화적 욕구 충족과 공감대를 형성하는 지역 문화의 소통공간이자 관광객 유치를 위한 지역 교류 공간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역 문화가치의 인식 부족, 콘텐츠 차별성 부재, 공급자 중심의 문화정책 등으로 인해 지역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전달하지 못했고 이용자의 관심 부족으로 인한 활성화 문제 등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공공문화공간의 활성화와 지역 문화의 가치향상을 위한 도시 브랜딩 구축 방법으로 스페이스 브랜딩 요소를 적용한 공간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지역 공공문화공간 디자인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지역 공공문화공간과 도시 브랜딩, 스페이스 브랜딩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개념을 이해하고 정립하였으며 구성요소와 특성을 도출하였다. 지역 공공문화공간에서 도시 브랜딩의 개념과 스페이스 브랜딩의 개념을 연결하여 관계를 정립하였다. 도출한 구성요소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국내 지역 공공문화공간 사례를 분석하였다. 도시 브랜딩 구축 방법으로서 스페이스 브랜딩의 적용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례연구 대상은 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해 기존의 공업 도시에서 문화산업 도시로 이미지 개선에 노력하는 울산시로 설정하였다. (결과) 지역 공공문화공간과 도시 브랜딩, 스페이스 브랜딩은 이미지와 정체성을 확립하고 활성화를 통해 가치와 경쟁력을 높이는 공통적인 목적을 가졌다. 목적과 관계를 바탕으로 사례분석 결과, 지역 공공문화공간에서 스페이스 브랜딩 요소 중 연상성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관계성이 미흡하게 나타났다. 연상성은 일관성을 가지고 디자인된 요소들을 통하여 이미지를 쉽게 연상하는 표현방법을 계속해서 발전시켜야 하였고 관계성은 공간디자인의 형태적 요소에서 소비자 참여도를 높이는 표현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였다. 시각성, 정보성, 독창성, 체험성 또한 차별화된 이미지를 확립함에 필요 요소로 작용하였다. (결론) 지역 공공문화공간에서 도시 브랜딩 구축을 위한 스페이스 브랜딩의 적용은 이용자에게 상징적이고 종합적인 정보 전달하며 차별성 있는 이미지를 전달한다. 이를 통해 공간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이용자에게는 긍정적인 인상을 주어 관계를 활성화하게 한다. 지역 공공문화공간의 활성화와 지역 문화의 가치향상에 있어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policy interest in local culture has expand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ultural life, the importance of local public cultural spaces where cultural life can be enjoyed has increased. Local public cultural spaces serve as communication spaces for local culture and regional exchange spaces for attracting tourists; they help to meet the cultural needs of the local people and form a consensus. However,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of local cultural value, lack of content differentiation, and supplier-centered cultural policy, local value cannot be conveyed positively, and activation problems have occurred because of a lack of interest from user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local public cultural space design by studying spatial design applying space branding elements as a method of building urban branding to revitalize local public cultural spaces and improve the value of local culture. (Method) Concepts were studied and established, and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based on prior studies and a literature review on local public cultural spaces, urban branding, and space br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of urban branding and space branding was established in a local public cultural space. The analysis framework was prepared with the derived components to analyze the cases of public cultural spaces in the domestic region. The application status of space branding as a method for building urban branding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subject of the case study was Ulsan City, which is striving to improve its image from an existing industrial city to a cultural industrial city with a revitalized local culture. (Results) Local public cultural spaces, urban branding, and space branding have the common purpose of enhancing value and competitiveness through image, identity, and activation. A case analysis based on their purpose and relationships showed that the association was dominant among space branding elements in local public cultural spaces, and the relationship was insufficient. As for the associa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develop an expression method that easily associates images through elements designed with consistency. For the relationship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method of expression that increases consumer participation in the morphological element of spatial design. Visuality, informativity, originality, and experientiality also serve as necessary factors in establishing a differentiated image. (Conclusions) The application of space branding to build urban branding in local public cultural spaces delivers symbolic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to users and differentiated images. Through this, the identity of the space is established, and the relationship is activated by giving a positive impression to users. It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means of revitalizing local public cultural spaces and improving the value of local culture.
Author(s)
김지선김범관
Issued Date
2022
Type
Article
Keyword
도시 브랜딩스페이스 브랜딩지역 공공문화공간공간디자인구성요소Urban BrandingSpace BrandingLocal Public Cultural SpaceSpatial DesignComponent
DOI
10.35216/kisd.2022.17.1.393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450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Language
한국어
ISSN
1976-4405
Citation Volume
17
Citation Number
1
Citation Start Page
393
Citation End Page
406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Nurs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