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직무 만족과 조직 성과 사이의 인과 관계에 대한 재고찰: 조직 수준의 접근 및 잠재 성장모형을 활용한 매개 효과 검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examining Causal Order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Longitudinal Mediation Analyses with Latent Growth Modeling
Abstract
조직 학자들 사이에서 직무 만족이 조직 성과를 예측한다는 암묵적인 믿음이 존재해 왔다. 하지만 과연 그 믿음이 사실인지, 그 반대의 인과 관계가 존재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 의문을 해결해 보기 위하여 192개 기업을 대상으로 세 시점의 종단 자료를 가지고 조직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조직 성과가 직무 만족을 예측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고자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직무 만족과 조직 성과 사이에 가능한 세 가지 인과 관계 모형(기본 인과 모형, 역 인과 모형, 상호 인과 모형)을 비교 검증한 결과, 역 인과 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오직 조직 성과에서 직무 만족으로 연결되는 경로의 계수들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에 더해서, 조직 성과가 직무 만족을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작동 기제(매개 변인)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조직 성과가 인적 자원 관리 시스템 수준을 향상시켜서(매개로 하여) 직무 만족을 증가시킨다는 잠재 성장 모형을 검증하였고,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위의 결과에 대해 그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Organization scholars have an implicit belief that job satisfaction leads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However, the causal others are skeptical, suggesting that the opposite causation exists. Thus, the current paper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o be specific, this paper hypothesized that organizational performance would increase job satisfaction, not vice versa. To empirically test it, this study utilized three-wave panel data of 192 companies with the help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latent growth modeling.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mong the three possible causations (normal causation, reverse causation, and reciprocal causation), reverse causation revealed the best fit). This paper found that the coefficients describing the path from organizational performance to job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 analysis with latent growth modeling confirmed the elaborate mechanism from organizational performance to job satisfac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s in an organization operated as mediating variables between the variables. The present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mpirically testing the theoretically proposed caus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is implied that performance is crucial factor to attitudes of the members in an organization based on the results that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s a greater impact on job attitude compared to the vice versa.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empirically tested the mechanism that links from financial performance to job satisfaction.
Author(s)
김병직
Issued Date
2022
Type
Article
Keyword
직무 만족조직 성과인과 관계종단 매개 분석잠재 성장 모형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PerformanceCausal OrderLongitudinal Mediation Analyses with Latent Growth Modeling
DOI
10.38115/asgba.2022.19.2.208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510
Publisher
글로벌경영학회지
Language
한국어
ISSN
2713-8941
Citation Volume
19
Citation Number
2
Citation Start Page
208
Citation End Page
231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Nurs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