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이후 신축된 도시단독주택의 건축 및 외관형태 특성에 관한 연구: 우정혁신지구내 단독주택을 중심으로
- Alternative Title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and Exterior Shapes of Urban Detached Houses Since 2010: Focusing on Detached Houses in Ujeung Innovative District
- Abstract
- 본 연구는 우정혁신지구내의 지구단위계획지침에 의해 신축된 도시단독주택을 대상으로 건축 및 외관형태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구단위계획의 시행지침안에서 단독주택 거주자의 개성과 선호의 표출 형상을 파악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2015년에서 2021년 사이에 신축된 33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문헌고찰과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에서는 대상주택의 외관 평면형태, 지붕형태 및 재료, 외벽재료 및 색채의 조화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신도시 단독주택의 건축적 특성으로는 건폐율 보다 용적율에 좀 더 허용적이고, 1층과 2층 면적의 차이로 인한 입면의 개성화가 표현되고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한 개 층의 층고를 추구하여 개방감과 규모감을 표현한다. 외관형태에 대한 특성으로는 1) 입면의 다양화와 개성화의 추구는 외관의 요철형 평면형태로 나타난다. 2) 지붕 개수의 증가, 지붕의 높이 차, 복합적 지붕사용은 층고의 다양성과 외관의 개성화를 가져오고 있다. 3) 단일재료과 단일색상을 사용하는 것과 함께 다른 재료와 다른 색상으로 색상조화를 추구하는 경향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또한 정면의 파사드에 대한 개성 추구를 위해 주재료와 다른 부재료의 사용으로 앞면만을 부분 강조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and exterior shapes for urban detached houses built according to the district unit planning guidelines in the Ujeung Innovative District. In the limited guideline of the district units plans, it will be meaningful to grasp the individuality and expression of preferences of detached house residents. It targeted 33 new houses built between 2015 and 2021, and a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planar shape of the exterior, roof shape and material, exterior wall materials, and colors of the target houses. The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As for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detached houses in the new city, the floor area ratio is more acceptable than the building to land ratio, and the individuality of the exterior shap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oors is expressed. In addition, a sense of openness and scale is pursued by pursuing a relatively high floor height. As for the characteristic of exterior shapes, 1) the pursuit of elevation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is due to the uneven planar shape of the exterior. 2)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oofs, the difference in height of roofs, and the use of complex roofs about the diversity and individuality of the shapes of houses. 3) It clearly shows the tendency to pursue color harmony with different materials in different colors, along with the use of single colors and single materials. In addition, there is a clear tendency to emphasize only the front of the houses by using main materials and other auxiliary materials to pursue individuality for the facade in the front.
- Author(s)
- 유복희
- Issued Date
- 2022
- Type
- Article
- Keyword
- 지구단위계획지침; 신도시 단독주택; 다양화; 개성화; district unit planning guidelines; a detached house in a new town; diversification; individualization
- DOI
- 10.7466/JFBL.2022.40.4.133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3515
- Publisher
- 가정과삶의질연구
- Language
- 한국어
- ISSN
- 2765-1932
- Citation Volume
- 40
- Citation Number
- 4
- Citation Start Page
- 133
- Citation End Page
- 148
-
Appears in Collections:
- Medicine > Nursing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