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범죄피해의 피해사실 보고에 대한 연구: 사이버 폭력 피해를 중심으로
- Alternative Title
- Determinants of Reporting Victimization to Others: Focusing on Online-victimization among youths
- Abstract
-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사이버폭력 피해자가 주위에 피해사실을 알리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밝힌 범죄피해자의 경찰신고 결정요인에 대한 이론적 모형(비용편익 분석과 규범적 관념)과 실증적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요인들이 어떻게 청소년 사이버폭력 피해자의 피해사실 보고여부에 영향을 설명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최근 피해자 대응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이론적 모형으로 제시된 다수준의 상황별 피해자 대응모형(multilevel, contextualized help-seeking model)을 분석모형에 일부 반영하고 피해자의 가해경험이 영향을 미치는지도 고려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이버폭력의 유형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이승현 외, 2016)’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과 피해의 심각성, 아는 가해자 여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 사이버폭력의 피해사실을 주위사람들에게 알리는데도 피해의 심각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청소년 피해자의 대응에 주목하였고, 기존의 경찰신고에 대한 논의를 사이버폭력 피해로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최근 새롭게 제시된 다수준의 상황별 피해자 대응모형(multilevel, contextualized help-seeking model)을 고려하여 피해자의 보다 광범위한 대응행위에 주목했다는 점에서도 선행연구들과 구별된다. 그러나, 이차자료의 한계로 인하여 다수준의 영향 요인들을 고려하지 못하였고, 사이버 폭력의 다양한 세부유형을 비교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cision to report online victimization to others by paying attention to the decisions of cyber aggression victims. Drawing upon cost-benefit analysis, normative prescription on victims’ decision to call the police and the multilevel contextualized help- seeking model, incident-relevant factors, features of victims,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examined. In addition, we also considered whether or not the victim's own experience of perpetration on cyber aggression influences their decisions. For the current study, secondary data from ‘A Study on the Types and Countermeasures of Youth Cyber Violence(Lee et al., 2016)’ was us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eterminants of victims’ reporting to police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porting online victimization among youths. It was found that gender, perceived severity of the damage, and victim- offender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 This study empirically test whether our understanding on victims’ decision to report their victimization to the police are applicable to the determinants of reporting of online victimization among youths. Due to the limitations of secondary data,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 Author(s)
- 강지현
- Issued Date
- 2022
- Type
- Article
- Keyword
- 피해자 대응; 도움을 구하는 행위; 피해 신고; 피해 보고; 사이버 폭력; 청소년 피해
- DOI
- 10.24055/kaps.24.1.5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4720
- Publisher
- 한국경찰학회보
- Language
- 한국어
- ISSN
- 1598-6829
- Citation Volume
- 24
- Citation Number
- 1
- Citation Start Page
- 115
- Citation End Page
- 144
-
Appears in Collections:
- Medicine > Nursing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