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구역에서의 담배제품 사용 실태와 연관 요인: 2019 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이용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Use of Tobacco Products Where Their Use Is Prohibited: Using Community Health Survey, 2019
- Abstract
- 연구배경: 간접흡연의 위험성이 증명되면서 금연구역 정책은 강화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궐련을 포함한 모든 담배제품이 금연구역 규제 대상이다. 금연구역 위반은 주변 사람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실태 및 그 관련 요인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방법: 2019년지역사회건강조사를 이용하여 전체 참여자 중 19 세 이상 성인이면서 금연구역을 구체적으로 알고 있다고 답한 담배제품 사용자 25,26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의 사회경제적특성과 담배제품 사용 유형, 금연구역 위반 시 벌금 부과 인지 여부, 궐련형 전자담배와 액상형 전자담배의 금연 구역에서의 사용 불법 인지 여부, 몰래사용 실태를 살펴보고, 카이제곱 검정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담배제품 몰래 사용과 각 요인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지난 1년간 금연구역에서 담배제품을 사용한 적이 있는 사람은 5,623명(23.3%)이었다. 19-39세의 연령에서 60세 이상에 비해(OR 1.24, 95% CI 1.08-1.42), 남성이 여성에 비해 몰래사용이 많았다(OR 1.43, 95% CI 1.24-1.65). 육체 노동직이 사무직에 비해(OR 1.15, 95% CI 1.05-1.26), 미혼이 기혼자에 비해 더 높은 몰래사용률을 보여줬고(OR 1.22, 95% CI 1.11-1.35), 궐련 단독 사용자에 비해 궐련과 궐련형 전자담배 또는 액상형 전자담배의 이중 사용자와 삼중 사용자에서 몰래사용 비율이 높았다(삼중사용자에서 OR 1.49, 95% CI 1.20- 1.83). 또한 금연구역에서 벌금 부과를 인지하지 못한 군(OR 2.10, 95% CI 1.71-2.57), 액상형 전자담배가 금연구역에서 금지된 것을 몰랐던 군에서 몰래 사용 비율이 높았다(OR 1.54, 95% CI 1.12-2.12). 결론: 담배제품 몰래 사용을 줄이기 위해 금연구역 정책 강화와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고, 몰래사용에 대한 실태 파악 및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Background: Astherisksofsecond-handsmokehavebeenproven,smoke-freepolicieshave been strengthened. In Korea, all kinds of tobacco products, including combustible cigarettes, heated tobacco products, and e-cigarettes, are subject to smoke-free policies. Because the use of tobacco products in smoke-free areas can cause health problems, the stealth use of tobacco products and its associated factors need to be examined.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25,266 adults aged 19 years and older who were current tobacco product users and clearly aware of smoke-free areas from Community Health Survey, 2019. The chi-squared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 med to estim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ealth use of tobacco products, including socioeconomic status, tobacco products, and awareness of smoke-free policies.
Results: Out of 25,266 participants, 5,623 (23.3%) had used tobacco products in smoke-free areas in the past year. Stealth use was more prevalent in the younger than in the older age group (odds ratio [OR] 1.24, 95% confidence interval [CI] 1.08-1.42), males than females (OR 1.43, 95% CI 1.24-1.65), manual workers than nonmanual workers (OR 1.15, 95% CI 1.05-1.26), and never married group than married group (OR 1.22, 95% CI 1.11-1.35). Users of triple or double tobacco products, including combustible cigarettes, tended to violate smoke-free policies more often than those who smoke combustible cigarettes only (triple users, OR 1.49, 95% CI 1.20-1.83).
Conclusion: Smoke-free policies need to be strengthened and promoted to reduce stealth use.
- Author(s)
- 강서영; 백두원; 조홍준
- Issued Date
- 2022
- Type
- Article
- Keyword
- 담배제품; 간접 노출; 금연구역; 몰래 사용; 지역사회 건강조사; Tobacco products; Second-hand exposure; Smoke-free area; Stealth use; Community Health Survey; 2019
- DOI
- 10.25055/JKSRNT.2022.13.4.130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5346
- Publisher
- 대한금연학회지
- Language
- 한국어
- ISSN
- 2093-0828
- Citation Volume
- 13
- Citation Number
- 4
- Citation Start Page
- 130
- Citation End Page
- 139
-
Appears in Collections:
- Medicine > Nursing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