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한국 성인에서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과 사회경제적 요 인의 연관성: 2019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이용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urrent Use of Heated Tobacco Products and Its Association with Socioeconomic Factors in Korean Adults: A Study Using Community Health Survey 2019
Abstract
연구배경: 국내 궐련 사용은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계층에서 더 높으며, 이는 건강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기여한다. 하지만 최근 증가하고 있는 국내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과 사회경제적 요인과의 연관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성인의 현재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2019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에서 성인 193,220명을 분 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자 또는 일반 담 배, 액상형 전자담배 및 궐련형 전자담배의 비사용자로 분류되었고, 성별에 따라 가구소득, 교육, 직업, 혼인상태, 폭음 여부 등 사회경제적 요인이 평가됐다. 현재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과 사 회경제적 요인의 연관성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현재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자 4,572명은 단독 사용 985명 (20.9%), 궐련/궐련형 전자담배 중복 사용 2,465명(53.3%), 액상형/궐련형 전자담배 중복 사용 251명(5.6%), 그리고 삼중 사 용 871명(20.1%)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궐련형 전자담배 사 용에 대한 조정된 교차비와 95% CI는 남성의 대학교 졸업군과 비육체노동군 (2.97, 2.53-3.47)에서 높은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률을 나타냈고 소득과의 연관성은 없었다. 여성에서는 소득1사분위(2.68, 1.86-3.86), 고졸(2.88, 2.19-3.79), 육체노동 (2.03, 1.54-2.67)에서 교차비가 높았다. 남녀 모두에서 저연령, 별거/사별/이혼, 폭음군에서의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률이 높게 나타났으나, 그 외 요인에서는 기존 흡연율 연구와 그리고 남녀 간에 차별점을 보였다. 결론: 높은 교육수준과 유직업군과 같은 높은 사회경제적 계층 에서의 남성의 현저한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은 향후 담배규제정책수립에 새로운 도전이 될 수 있다. 여성에서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확인되었고, 그에 따라 차별화된 접근전략이 필요하다.

Background: Cigarette smoking is prevalent among adults of low socioeconomic level, which contributes to health inequality in Korea.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heated tobacco products (HTPs) and socioeconomic position is not well known.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HTP use and socioeconomic position in Korean adults.
Methods: We analyzed 193,220 adults from Community Health Survey 2019. 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to either current HTP users or nonusers of conventional cigarettes (CCs), electronic cigarettes (ECs), and HTPs. Socioeconomic factors, including income, education, and occupation; marital status; and drinking status were evaluated between each gender.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HTP use and socioeconomic positions.
Results: There were 4,572 current HTP users, comprising 985 HTP-only users (20.9%), 2,465 CC/HTP dual users (53.3%), 251 EC/HTP dual users (5.6%), and 871 triple product users (20.1%). The adjusted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for males were higher in university graduates and nonmanual workers (AOR 2.97, 95% CI 2.53-3.47).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income and current HTP use. For females, the odds were higher in the 1st quartile (AOR 2.68, 95% CI 1.86-3.86), high school graduates (AOR 2.88, 95% CI 2.19-3.79), and manual workers (AOR 2.03, 95% CI 1.54-2.67). Males and females showed higher odds in the young age, separated/bereaved/divorced, and binge drinker groups, but differed in other socioeconomic factors.
Conclusion: In males, the prominent use of HTPs in higher socioeconomic class such as higher education and having occupation, demonstrates a new challenge in establishing tobacco regulation policies. In females, socioeconomic inequalities were identified. Therefore, a gender-specific strategy is required.
Author(s)
강서영손성열조홍준
Issued Date
2022
Type
Article
Keyword
궐련형 전자담배사회경제적 요인2019 지역사회 건강조사Heated tobacco productsSocioeconomic factorsCommunity Health Survey 2019
DOI
10.25055/JKSRNT.2022.13.4.140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5347
Publisher
대한금연학회지
Language
한국어
ISSN
2093-0828
Citation Volume
13
Citation Number
4
Citation Start Page
140
Citation End Page
150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Nurs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