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EQ-5D를 사용하여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omparison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One- and Multi-Person Households Using EQ-5D Based on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bstract
연구배경 : 전 세계적 추세인 1인가구는 우리나라에서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기존 국내 연구에 따르면 1인가구는 복합만성질환과 정신질환의 비율이 높아 신체 및 정신건강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삶의 질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남녀 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방법 : 2016–2018년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성인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EQ-5D를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하였다. 카이제곱 독립성 검정을 실시하여 가구 유형에 따른 삶의 질을 조사하였고 연령,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 복합만성질환, 흡연, 음주 여부를 보정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1인가구와 삶의 질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 연령, 성별, 교육수준, 복합만성질환, 흡연, 음주를 보정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1인가구는 다인가구보다 EQ-5D의 모든 항목인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 불안/우울에 지장이 있을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남성에서는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 불안/우울 항목에서 1인가구가 다인가구에 비해 삶의 질이 낮을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여성에서는 운동능력과 일상활동 항목에서 1인가구가 다인가구에 비해 삶의 질이 낮을 위험이 증가하였다.

결론 : 1인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해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 등 삶의 질의 신체적인 부분과 불안/우울과 같은 정신적인 측면 모두에 지장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1인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시대에 주거, 고용 복지 외에 건강관련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건강지원체계를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Background :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i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One-person households have been found to have weak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due to the high morbidity of chronic and mental diseases. In this study, we compar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Methods : The original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were used in the study, and EQ-5D was employed as an instrument to measur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chi-square independence test was conducted,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at corrected for age, sex, educational level, multimorbidity, smoking status, and alcohol consumption was performed.

Results :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quality of life of one-person households was lower than multi-person households in all five dimensions of EQ-5D (P<0.001).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the odds ratio for difficulty with self-care, unusual activities, pain/discomfort, and anxiety/de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one-person households in the male category. In the female category, the risk of immobility and unusual activities in one-person household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Conclusion : One-person households self-reported lower physical (physical capability, self-management, usual activities, pain/discomfort) and mental (anxiety/depression) quality of life. This indicates the necessity to establish a healthy support system in order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ne-person households in an era where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continues to increase.
Author(s)
한송이허연선우성
Issued Date
2022
Type
Article
Keyword
1인가구삶의 질복합만성질환One-Person HouseholdQuality of LifeMultimorbidity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5474
Publisher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Language
한국어
ISSN
2233-9019
Citation Volume
12
Citation Number
1
Citation Start Page
22
Citation End Page
27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Nurs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