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건강보험공단 금연 치료 지원 사업 시행 이후 외래 기반의 금연클리닉 진료를 받은 흡연자의 금연 성공의 관련 요인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in outpatient smokers after the inintiation of National smoking cessation support program
Abstract
연구배경: 전세계적으로 흡연으로 인한 질병의 이환 및 사망을 예방하기 위해 담배 및 흡연에 대한 규제 및 관련 정책이 마련되고 있으며 효과적인 금연 성공을 위한 중재법 역시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금연 성공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금연 진료를 제공하고 정부의 금연 사업을 통한 흡연율을 낮추는 데 기여하고자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15년 4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금연 클리닉에 12주 동안 최소 3회 이상 방문하여 국가 금연 지원사업을 통한 적절한 혜택을 입었다고 판단된 환자 202명의 의무기록을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및 생활습관 관련 변수, 흡연 형태 관련변수, 금연 치료 관련 변수를 전자 의무기록을 통해 수집하였다. 금연 성공은 마지막 금연 진료 당시 작성된 외래 기록지상 자가 보고된 최근 1주일 동안 금연 상태로 파악하였다. 결과: 진료 사이 간격이 평균 30일 이상인 환자에서 평균 30일 미만인 환자에 비해 금연 성공할 가능성이 낮았다(≥30 days, odds ratio,0.35; 95% confidence interval, 0.18–0.67). 그 이외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및 흡연관련 형태와 관련된 변수들은 성공과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금연 진료 횟수 자체는 성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총 금연 진료 횟수보다는 진료 사이의 간격을 30일 미만으로 방문할 때금연 성공률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진료 횟수보다는 단기간에 짧은 간격으로 금연 진료를 받도록 하는 게 금연 성공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비용-효과 측면에서도 금연 성공률을 높이기위해서는 금연 진료를 초반에 자주 보도록 장려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겠다.
Background: The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tobacco use constitute a major health burden worldwide. International efforts are beingmade to legislate laws and policies for smoke-free environments and smoking cessation. We investigat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smoking cessation and thereby contribute to lower smoking prevalence. Methods: We hypothesized that the effect of a smoking cessation treatment could be appropriately evaluated after at least three sessions. A total of 202patients who visited the smoking cessation clinic of Asan Medical Center from April 2015 to December 2019,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Data onthe participants’ basic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moking patterns, and smoking cessation treatment were collected from electronic medicalrecords. Thereafter, smoking cessation was assessed using point prevalence abstinence data. Success was defined as a self-report of no smoking forseven days before a follow-up. Results: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clinic at intervals of 30 days or more had lower odds of succeeding at smoking cessation (odds ratio, 0.35; 95%confidence interval, 0.18–0.67). However, the variables relate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ast smoking patterns did not show a significantassociation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Conclusion: When the interval between sessions was less than 30 days, the patients showed higher odds of smoking cessation success. Unlikenonmodifiable factors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interval between sessions is a modifiable variable that can be controlled duringsmoking cessation counseling. Thus, it is desirable for patients to have short term follow-ups in the early phase of treatment.
Author(s)
이희진강서영허연선우성
Issued Date
2022
Type
Article
Keyword
흡연금연클리닉연구한국SmokingSmoking CessationClinic StudyKorea
DOI
10.21215/kjfp.2022.12.2.93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5478
Publisher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Language
한국어
ISSN
2233-9019
Citation Volume
12
Citation Number
2
Citation Start Page
93
Citation End Page
100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Nurs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