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시대 리터러시 교육의 새로운 전환
- Abstract
- 본 논문은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따른 리터러시 교육의 변화가 갖는문제점을 분석하여, 더 나은 미래 교육을 향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새로운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삼고 있다. 급격한 디지털 전환의 시대 속에서 교육 환경 및 교육의 조건이 변경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리터러시교육, 특히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은 더욱 커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본질적인 개념은 충분히 정립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역시 올바른 방향에서 수행되고있다고 보기 어렵다. 기능적 문맹은 이 혼란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리터러시 문제이다. 그간 리터러시는 일종의 도구 활용 능력으로 이해되었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특히, 컴퓨팅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기술의 활용을 위한 기초 교육으로 이해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러나 도구의 사용에 국한하더라도, 그 올바른 사용은 도구의 본질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해야 하며, 그 도구를 통해 관계 맺는 세계에 대한이해 역시 필요하다. 특히 디지털 전환은 이와 같은 이해의 필요성을 우리에게 강하게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이해 및 관련 교육의 전환도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리터러시의 본질적 의미를 인간의 실존 조건인 현실의 구축과 이해 능력으로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세계와 현실을 폭넓고 다양하게 이해하는교육으로 우리의 리터러시 교육이 나아가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독일의 사례를 우리의 교육과 비교하여 참조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of educational change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presents a new direction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a better future in education. In the era of rapid digital transformati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onditions of education, as well as literacy education are in the process of chang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is more emphasized than ever. However, we still do not fully understand the essential concept of digital literacy. Due to the lack of sufficient understand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is not being conducted in the proper direction. In turn, the problem of ‘functional illiterate’ has arisen.
This paper briefly compares the perspective of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shown in, with our case, Germany, and seeks to find the essential meaning of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construct and understand reality: a condition for human existence. I would like to clarify that future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the foundation for recognizing the diversity of reality and building a better life. Literacy education can also be understood as a part of skill education, within the context of use. As technical education, literacy education is likely to trigger a literacy crisis within itsel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another transition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d Generative AI that is heading toward the era of new technology. We need a perspective of and a direction for this new transition. Human life is not dependent on and defined by technology. As a result,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possibility that human life can unfold widely in mutual relationships. Ultimately, future literacy education should move towards education that broadly and diversely understands the world based on the original meaning of literacy.
- Author(s)
- A New Transformation of Literacy Education in the Era of Generative AI
- Issued Date
- 2023
오민정
김종규
- Type
- Article
- Keyword
-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리얼리티; 생성형 AI; Literacy; Digital Literacy; Digital Transformation; Reality; Generative AI
- DOI
- 10.31310/HUM.089.08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5927
- Publisher
- 인문과학
- Language
- 한국어
- ISSN
- 1598-8457
- Citation Volume
- 1
- Citation Number
- 89
- Citation Start Page
- 255
- Citation End Page
- 285
-
Appears in Collections:
- Humanities > Philosophy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