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디지털 고구려박물관 전시
- Abstract
- 가상공간을 활용한 박물관 전시는 오프라인 공간에서 겪는 여러 가지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 가장 큰 장점은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 공간이든 아날로그 세계든 변함없이 진지하게 매달려야 하는 문제는 전시구성과 바탕에 흐르는 스토리텔링이다. 결국 어떤 이야기를 어떻게 펼쳐 나갈 것인가가 전시의 성패를 좌우하기 때문이다. 고구려 전시는 대상이 되는 시기의 유적과 유물이 주로 북한과 중국에 집중적으로 남아 있다. 이런 까닭에 천년 왕국 신라나 해상 왕국 가야, 고대 동아시아 네트워크사회의 중심이던 백제처럼 역사의 현장에서 펼치는 오프-라인 전시의 효과를 누리기가 어렵다. 고구려 역사와 문화를 되살리는 디지털 전시 기법과 전시 공간이 적극 도입되어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디지털 고구려박물관의 전시 공간은 고구려 역사의 전개에 따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고 시기별 전시실을 둘, 또는 셋으로 나누어 관람객이 역사와 문화를 동시에 알 수 있게 하는 게 바람직하다. 초기의 두 전시실은 각각 유화의 방, 온돌 위의 하루다. 관람객은 두 전시실을 통해 고구려 성립 초기의 신화적 사고 및 고구려 주거문화, 음식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중기의 두 전시실은 군마의 발굽, 색동치마다. 각각의 전시실은 영역 확장을 통해 고구려 문화의 영향권을 확대시킨 중기 고구려사의 전개 과정을 이해하고, 5세기 전성기 고구려의 화려한 문화를 복식문화와 함께 만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후기의 세 전시실은 각각 청룡과 백호, 천리장성, 하늘이다. 관람객은 사신 위주 고분벽화가 후기 정치 사회의 전개와 관련이 깊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천리장성 축조를 둘러싼 권력투쟁의 결과 연개소문의 독재 정권이 성립하여 당과 고구려의 갈등이 깊어진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고구려 전 시기를 관통하는 하늘에 대한 관념이 고구려의 천문 지식과 문명신들의 세계와 만나는 계기를 제공해줄 수도 있다.임지는 君師로서 국왕의 모습을 구체화한 것이다.
Using virtual spaces for exhibitions can help a museum move beyond various restrictions of physical space. One of the biggest advantages is that it can use space more freely, However, whether in a digital or a physical space, one must always focus on telling the story underlying the exhibition. After all, the success of the exhibition relies on what story is chosen and how it is told. Most of the artifacts and sites related to Koguryo are located in North Korea and China, which means it is difficult to create an on-site physical exhibition like those for Silla, a millennial kingdom, Gaya, the maritime kingdom, or Baekje, the center of the East Asian trades. Thus, it would be beneficial to actively adopt digital exhibition methods and create virtual spaces to showcase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guryo. The exhibition space of the Digital Koguryo Museum can be divided into early, medium and late stag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Koguryo history. It is a good idea to divide the exhibition rooms by time by two or three, allowing visitors to know history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The two exhibition rooms of the early period are the day of Yuhwa room, the day above the ondol. Visitors can understand the mythical thinking, Koguryo residential culture, and food culture at the beginning of the establishment of Koguryo through the two exhibition rooms. The two exhibition rooms in the middle period are the hoof of the horse and color skirt. Each exhibition room will help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Koguryo's history, which has expanded the influence of Koguryo culture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area and to meet the gorgeous culture of Koguryo with a costume culture.. The three exhibition rooms in the latter period are blue dragon & white tiger, Cheonlijangseong and sky. Visitors can see that the four Deities tomb murals are deep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late political society. As a result of the power struggle over the construction of the Cheonlijiangseong, the dictatorship by Yeongaesomun was established, which deepened the conflict between the Chinese Tang Dynasty and Koguryo. The notion of Koguryo's sky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meet Koguryo's astronomical knowledge and the world of civilization.
- Author(s)
- Integrating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into Digital Exhibitions in Koguryo Museums
- Issued Date
- 2023
전호태
- Type
- Article
- Keyword
- 고구려박물관; 디지털 전시; 스토리텔링; 문화콘텐츠; 가상공간; Koguryo museum; digital exhibition; storytelling; cultural contents; virtual space
- DOI
- 10.18347/hufshis.2023.86.35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5982
- Publisher
- 역사문화연구
- Language
- 한국어
- ISSN
- 1598-6454
- Citation Volume
- 1
- Citation Number
- 86
- Citation Start Page
- 35
- Citation End Page
- 74
-
Appears in Collections:
- Humanities > History and Culture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