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서울) 방언 연구의 성과와 과제
- Abstract
- 경기방언 및 그 하위방언인 서울방언에 대해서는 그간 여러 조사, 연구 성과가 있다. 이를 통해 경기(서울)방언의 단모음 체계가 10모음 체계에서 7모음 체계로 변화하고 있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잽히다’처럼 ‘이’ 모음역행동화가 적용된 경우는 이 방언에서도 적지 않다. ㅎ구개음화 역시 인정할 수 있을 듯하나 ㄱ구개음화는 지역적 편중으로 보아 다른 방언과의 접촉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치조음, 경구개음 계열의 명사 어간 말음이 ‘ㅅ’로 간소화하는 현상은 18세기부터 시작된 변화의 결과이다. 흔히 이 방언이 표준어 규범과 같으리라고 막연히 추측하는 경우가 많지만 ㄷ불규칙, ㅂ불규칙 용언들의 양상을 보면 이는 사실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표준어의 ‘다르다’같은 ‘르’ 불규칙 용언도 이 방언에서는 ‘달르다’처럼 일반적인 ‘으’ 모음 어간이다. 이른바 하오체 종결어미는 이 방언에서 예사높임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하오체 종결어미로 분류되는 ‘-소’에 대해서는 아직 관련된 사실이 모두 밝혀지지 않았다. 해라체 의문형 종결어미 ‘-니?’는 또 다른 종결어미 ‘-느냐/-으냐’를 대체해 가고 있는데 이 방언에서 그러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방언 연구와 마찬가지로 이 방언 역시 음운과 관련된 성과가 가장 많고 문법, 어휘에 관한 것은 적다. 이는 질문지를 이용한 조사방법의 결과이다. 풍부한 예문을 제시한 방언사전의 편찬이 이에 대한 해결책이 된다.
Gyeonggi and Seoul Korean have been researched intensively. What follows outlines some of those results and issues. The vowel system is in the process of change. The two front-rounded vowels are being lost and [e] and [ɛ] are going to merge. A second-syllable i caused the fronting of a first-syllable [a, ə] to [ɛ, e]. This kind of umlaut is common in this dialect. In this dialect, palatalization affected not only dental stops, the process spread and also caused /hi/ to change to /si/, which comes from [ʃi]. Morphophonological variety at the end of nouns is being leveled. The ending consonant ‘th, ch, c’ is replaced by s. Leveling also be found in verb stems such as ‘tarɨ-/tall- > tallɨ-’. Younger Seoulites no longer use the semiformal style(hao-che), however, the honorific inflectional system is still retained in this dialect except ending ‘-so’. Interrogative ending –ni in the plain style takes on the different form of –(u)ni when the adjective ends in a consonant. This change comes from the other interrogative ending –nunya/-unya. Many native words have changed in Gyeonggi and Seoul Korean. A dialect dictionary is needed for these obsolete words.
- Author(s)
- Issues and Perspectives in Gyeonggi and Seoul Dialect Studies
- Issued Date
- 2023
유필재
- Type
- Article
- Keyword
- 경기(서울)방언; 연구사; 음운; 문법; 어휘; Gyeonggi and Seoul Korean; issues and perspectives; phonology; grammar; vocaburaly
- DOI
- 10.22557/HG.2023.9.84.3.869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6140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