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GIS 모델에 기반한 도심광장 접근성 검증 연구 -마곡 광장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연구 배경 및 목적) 광장은 도시 공공공간과 문화활동의 중심지이다. 광장을 활용하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조건은 접근성이다. 접근성 측정 방법의 기초는 시간과 거리이다. 본 논문은 지리학적 접근성 개념을 도입하여 접근성의 저항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GIS 모델로 측정된 접근성 수치와 현장 답사로 측정한 값을 비교해서 GIS 모델의 효용성을 검증하고 마곡 광장의 접근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접근성 개념, 연구방법, 공간적 접근성의 저항요소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둘째, 활용 빈도가 높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들을 도출하고 국내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측정 지표를 설정해서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접근성 지수를 계산하였다. 셋째, 마곡 광장 인근의 일정한 서비스 범위 내에서 연구 대상을 선택하고 현장 조사를 기록하였다. 마지막으로, 측정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정규화로 변환하여 GIS 모델로 측정된 접근성 수치와 실제 측정된 접근성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서비스 반경 600m 안에서는 모델로 측정된 접근성 수치가 실제 측정된 접근성 값에 부합해서 모델이 실측 접근성을 반영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서비스 반경 600m ~1000m 안에서는 모델로 측정된 접근성 수치와 실제 측정된 접근성 값이 반대로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서비스 반경 범위에서는 GIS 모델이 실제 접근성을 반영하지 못한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마곡 광장에 대해 GIS 모델로 측정된 접근성 결과를 거의 모두 0.66 이하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마곡 광장의 접근성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때, 모델로 측정한 결과와 실측 결과가 부합하지 않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결론) GIS 모델로 측정한 접근성 결과가 실제 접근성을 일부 반영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접근성의 저항요소의 값을 시간대별로 실제 상황에 맞는 값을 설정하면 더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대중교통이 도보로 이동하는 것 보다 더 많은 시간비용을 소비하는 점을 고려하여 대중교통 네트워크 최적화, 합리적인 도시 교통 계획 및 관리 정책 수립, 스마트 교통 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광장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의 물리적 측면만 고려한 연구였기 때문에 추후 심리적 관점의 접근성 연구를 통해 접근성에 대한 더욱 복합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Squares are centers of urban public spaces and cultural activities.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for squares is accessibility, and accessibility measurement is based on time and distance.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geographic accessibility to identify resistance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overcoming resistanc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is, the study aimed to explore the practical utility of GIS models by comparing the accessibility values measured by such models with those measured by on-site surveys, and to evaluate the accessibility of Magok Square. (Methods)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s of accessibility, research methods, and resistance factors of spatial accessibility were reviewed. Second, indices with high utilization frequency and quantitative evaluation were derived, and the measurement indices were set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in Korea and abroad. Then, a GIS database was established and the accessibility index was calculated. Third, a research target was selected within a certain service range near Magok Square and on-site surveys were conducted. Finally, because the measurement units were different, the GIS model-measured accessibility values and actual measured accessibility valu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onverting them for normalization.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essibility values measured by the GIS model corresponded to the actual measured accessibility values within a service radius of 600 m, indicating that the model reflected actual accessibility. Second, the accessibility values measured by the GIS model and the actual measured accessibility values were opposite within a service radius of 600–1,000 m.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GIS model did not reflect actual accessibility in this service radius range. Third, the accessibility of Magok Square was found to be low, as it was measured to be 0.66 or less based on the GIS model results.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essibility results measured by the GIS model partially reflected actual accessibility. More reliable results could be obtained by setting the values of the resistance factors of accessibility based on actual situations at a certain time of day. Additionally, considering that public transportation requires more time than walking, accessibility to squares can be improved by optimizing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establishing reasonable urban transport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policies, and introducing smart transportation systems. As this study only considered the physical aspects of accessibility, future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accessibility is expected to provide more comprehensive improvement measures.
Author(s)
A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Accessibility to Urban Square Based on GIS Model - Focusing on Magok Square -
Issued Date
2023
황건화
김주연
임선희
Type
Article
Keyword
GIS공간적 접근성저항요소광장시간과 거리Spatial AccessibilityResistance factorsSquareTime and Distance
DOI
10.35216/kisd.2023.18.3.283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6309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Language
한국어
ISSN
1976-4405
Citation Volume
18
Citation Number
3
Citation Start Page
283
Citation End Page
292
Appears in Collections:
Arts > Textile Desig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