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1912년 로이 채프먼 앤드류스의 고래 조사와 ‘한국계 귀신고래’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뉴욕의 미국자연사박물관(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AMNH) 소속 보조 큐레이터(assistant curator)였던 로이 채프먼 앤드류스(Roy Chapman Andrews, 1884~1960)는 1912년 1월 한국의 울산 장생포에 있는 동양포경주식회사의 포경기지를 방문했다. 그는 이곳에서 약 7주 동안 머물면서 악마물고기(devilfish), 즉 캘리포니아 연안에서는 자취를 감추어버린 회색고래를 직접 조사했다. 앤드류스는 이 연구를 바탕으로 1914년에 “캘리포니아 회색고래(THE CALIFORNIA GRAY WHALE)”라는 논문을 발표했으며, 여기서 그는 자신의 연구를 토대로 한국 해역의 회색고래는 캘리포니아 회색고래와 같은 종이라고 결론지었다. 그가 장생포 포경기지에서 수집해 미국으로 보낸 회색고래 전신뼈는 20세기 초 자연과학의 발전을 선도했던 자국 과학자의 헌신적 실천과 학문적 공헌을 증명하면서 지금도 두 곳의 자연사박물관에 잘 보존되어 있다. 앤드류스의 연구를 근거로 삼아, 1980년대에 한국에서는 ‘한국계 귀신고래’라는 민족적이고 낭만적인 서사가 ‘발명’되었다. 그러나 앤드류스는 한국 해역의 회색고래를 캘리포니아 회색고래와 동일한 종으로 보았고, 그의 논문에는 '한국계 귀신고래'와 직접 연결될만한 표현이나 내용이 등장하지 않는다. ‘한국계 귀신고래’는 앤드류스의 과학적 조사 연구를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재발견함으로써 발명되었다. 그러나 정작 앤드류스는 일본에 강점되어 있는 식민지 포경기지라는 장생포의 장소성에 무관심했고 현지 주민 또한 타자화시켰다. 장생포는 일본 포경회사 관계자와 노르웨이인 포수, 미국인 과학자와 한국인 주민의 다중적 네트워크가 작동하는 트랜스로컬의 장소였다. 그러므로 앤드류스의 장생포 고래 조사가 가진 성격과 의미는, 21세기에 한국에서 탈식민의 과제를 어떻게 재구성할 것인지 또 장생포와 같은 다층적 지역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라는 질문과도 직결되어 있다.

In January 1912, Roy Chapman Andrews (1884-1960), an assistant curator at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AMNH) in New York City, traveled to the Oriental Whaling Company's whaling station at Jangsangpo, Ulsan, Korea. He stayed there for about seven weeks and conducted a firsthand study of devilfish, or gray whales, which had disappeared from the California coast. Based on this research, he published "THE CALIFORNIA GRAY WHALE" in 1914, in which he concluded, based on his analysis, that the gray whales in Korean waters was the same species as the California gray whales. The gray whale skeletons that Andrews collected in Jangsaengpo and sent to the United States are still preserved in the AMNH and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NMNH), a testament to the dedication and scholarly contributions of a American scientist at the forefront of natural science in the early 20th century. Using Andrews' research as a basis, the nationalistic and romanticized narrative of the 'Korean gray whale(한국계 귀신고래)' was 'invented' in South Korea in the 1980s. However, Andrews viewed gray whales in Korean waters as the same species as California gray whales, and there is no expressions or descriptions in his paper that could be directly linked to 'Korean gray whales'. The enthusiasm for the 'Korean gray whale(한국계 귀신고래)' can be seen as a nationalist reinterpretation of Andrews' work, in which he immersed himself in science, ignored the the placeness of Jangsaengpo, a colonial whaling port under Japanese control, and otherized local Koreans. Jangsaengpo whaling station was a transnational site where multiple networks of Japanese whalers, Norwegian catchers, American scientist, and Korean residents operated. The nature and meaning of Andrews's survey on gray whales at Jangsaengpo are therefore linked to the question of how to reconceptualize the task of decolonization in Korea in the 21st century and to research the multilayered histories of the local.
Author(s)
Roy Chapman Andrews’ Survey of Gray Whales at the Jangsaengpo Whaling Station in 1912 and the ‘Korean Gray Whale’
Issued Date
2023
허영란
Type
Article
Keyword
로이 채프먼 앤드류스Roy Chapman Andrews울산 장생포 포경기지동양포경주식회사회색고래악마물고기귀신고래한국계 귀신고래whaling station in Jangsaengpo(Ulsan Korea)Oriental Whaling Companygray whaledevilfishKorean gray whale
DOI
10.36432/CSMKH.52.202311.4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16351
Publisher
역사문제연구
Language
한국어
ISSN
1226-4199
Citation Volume
27
Citation Number
3
Citation Start Page
127
Citation End Page
164
Appears in Collections:
Humanities > History and Cul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