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osmotic Control of Renin Secretion
- Alternative Title
- Renin 분비의 화학삼투압적 조절
- Abstract
- 본 실험에서는 토끼의 신피질 Slices를 이용하여 renin분비와 세포 대사과정 사이의 연관관계를 살펴 보았다. 2-deoxy-D-glucose로 해당과정을 억제한 경우에는 renin분비에 변화가 없는 반면, 6-aminonicotinamide를 사용하여 hexose monophoshate shunt를 억제했을 때는 renin분비가 촉진되었다. 그러나, 미토콘드리아에서 APT생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KCN과 carbonylcyanide-m-chlorophenylhydrazone(이하 CCCP)는 renin분비를 억제하였다. 세포배양액에서 Ca²+을 제거할 경우 KCN에 의한 renin분비억제 효과가 상실되는 것으로 보아 KCN은 세포내 Ca²+을 증가시키고 이에 다른 2차적인 현상으로 renin분비가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CCCP에 의한 억제효과는 세포외액에서 Ca²+을 제거하거나 혹은 calmodulin antagonist인 calmiddazolium을 첨가하여도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CCCP는 막내외의 H+-농도차를 없애므로써 renin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봉ㄴ다. 그러나 H+-ATPasedjr제제인 bafilomycin A1은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막내외의 H+ 농도 차이와 renin분비사이의 관계를 H+/K+ exchange ionophore nigericin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Renin분비가 nigericin에 의해 크게 촉진되는 것으로 보아 H+이나 다른 일가양이온의 농도차가 renin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막 내외 H+ 농도차에 의해 세포내 산성 vesicle내에 축적될 것으로 생각되는 ammonium chloride, benzylamine, chloroquine, methylamine등의 약염기도 renin분비를 촉진하였다. 신피질 slices를 hypo-osmotic medium에 배양시킨 경우 renin분비가 가역적으로 촉진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ATP는 renin granular membrane에 있어서의 H+ 혹은 다른 이온의 농도차를 유발 또는 유지함으로써 renin분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이온의 농도차는 osmotic swelling에 의한 분비와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는 토끼의 신피질 Slices를 이용하여 renin분비와 세포 대사과정 사이의 연관관계를 살펴 보았다. 2-deoxy-D-glucose로 해당과정을 억제한 경우에는 renin분비에 변화가 없는 반면, 6-aminonicotinamide를 사용하여 hexose monophoshate shunt를 억제했을 때는 renin분비가 촉진되었다. 그러나, 미토콘드리아에서 APT생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KCN과 carbonylcyanide-m-chlorophenylhydrazone(이하 CCCP)는 renin분비를 억제하였다. 세포배양액에서 Ca²+을 제거할 경우 KCN에 의한 renin분비억제 효과가 상실되는 것으로 보아 KCN은 세포내 Ca²+을 증가시키고 이에 다른 2차적인 현상으로 renin분비가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CCCP에 의한 억제효과는 세포외액에서 Ca²+을 제거하거나 혹은 calmodulin antagonist인 calmiddazolium을 첨가하여도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CCCP는 막내외의 H+-농도차를 없애므로써 renin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봉ㄴ다. 그러나 H+-ATPasedjr제제인 bafilomycin A1은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막내외의 H+ 농도 차이와 renin분비사이의 관계를 H+/K+ exchange ionophore nigericin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Renin분비가 nigericin에 의해 크게 촉진되는 것으로 보아 H+이나 다른 일가양이온의 농도차가 renin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막 내외 H+ 농도차에 의해 세포내 산성 vesicle내에 축적될 것으로 생각되는 ammonium chloride, benzylamine, chloroquine, methylamine등의 약염기도 renin분비를 촉진하였다. 신피질 slices를 hypo-osmotic medium에 배양시킨 경우 renin분비가 가역적으로 촉진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ATP는 renin granular membrane에 있어서의 H+ 혹은 다른 이온의 농도차를 유발 또는 유지함으로써 renin분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이온의 농도차는 osmotic swelling에 의한 분비와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Author(s)
- Chang, Sunghoe; Jeong, Sueyoung; Jang, Yeon Jin; Park, Chun Sik
- Issued Date
- 1992
- Type
- Research Laboratory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5344
http://ulsan.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025257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