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Chemiosmotic Control of Renin Secretion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nin 분비의 화학삼투압적 조절
Abstract
본 실험에서는 토끼의 신피질 Slices를 이용하여 renin분비와 세포 대사과정 사이의 연관관계를 살펴 보았다. 2-deoxy-D-glucose로 해당과정을 억제한 경우에는 renin분비에 변화가 없는 반면, 6-aminonicotinamide를 사용하여 hexose monophoshate shunt를 억제했을 때는 renin분비가 촉진되었다. 그러나, 미토콘드리아에서 APT생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KCN과 carbonylcyanide-m-chlorophenylhydrazone(이하 CCCP)는 renin분비를 억제하였다. 세포배양액에서 Ca²+을 제거할 경우 KCN에 의한 renin분비억제 효과가 상실되는 것으로 보아 KCN은 세포내 Ca²+을 증가시키고 이에 다른 2차적인 현상으로 renin분비가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CCCP에 의한 억제효과는 세포외액에서 Ca²+을 제거하거나 혹은 calmodulin antagonist인 calmiddazolium을 첨가하여도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CCCP는 막내외의 H+-농도차를 없애므로써 renin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봉ㄴ다. 그러나 H+-ATPasedjr제제인 bafilomycin A1은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막내외의 H+ 농도 차이와 renin분비사이의 관계를 H+/K+ exchange ionophore nigericin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Renin분비가 nigericin에 의해 크게 촉진되는 것으로 보아 H+이나 다른 일가양이온의 농도차가 renin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막 내외 H+ 농도차에 의해 세포내 산성 vesicle내에 축적될 것으로 생각되는 ammonium chloride, benzylamine, chloroquine, methylamine등의 약염기도 renin분비를 촉진하였다. 신피질 slices를 hypo-osmotic medium에 배양시킨 경우 renin분비가 가역적으로 촉진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ATP는 renin granular membrane에 있어서의 H+ 혹은 다른 이온의 농도차를 유발 또는 유지함으로써 renin분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이온의 농도차는 osmotic swelling에 의한 분비와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는 토끼의 신피질 Slices를 이용하여 renin분비와 세포 대사과정 사이의 연관관계를 살펴 보았다. 2-deoxy-D-glucose로 해당과정을 억제한 경우에는 renin분비에 변화가 없는 반면, 6-aminonicotinamide를 사용하여 hexose monophoshate shunt를 억제했을 때는 renin분비가 촉진되었다. 그러나, 미토콘드리아에서 APT생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KCN과 carbonylcyanide-m-chlorophenylhydrazone(이하 CCCP)는 renin분비를 억제하였다. 세포배양액에서 Ca²+을 제거할 경우 KCN에 의한 renin분비억제 효과가 상실되는 것으로 보아 KCN은 세포내 Ca²+을 증가시키고 이에 다른 2차적인 현상으로 renin분비가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CCCP에 의한 억제효과는 세포외액에서 Ca²+을 제거하거나 혹은 calmodulin antagonist인 calmiddazolium을 첨가하여도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CCCP는 막내외의 H+-농도차를 없애므로써 renin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봉ㄴ다. 그러나 H+-ATPasedjr제제인 bafilomycin A1은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막내외의 H+ 농도 차이와 renin분비사이의 관계를 H+/K+ exchange ionophore nigericin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Renin분비가 nigericin에 의해 크게 촉진되는 것으로 보아 H+이나 다른 일가양이온의 농도차가 renin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막 내외 H+ 농도차에 의해 세포내 산성 vesicle내에 축적될 것으로 생각되는 ammonium chloride, benzylamine, chloroquine, methylamine등의 약염기도 renin분비를 촉진하였다. 신피질 slices를 hypo-osmotic medium에 배양시킨 경우 renin분비가 가역적으로 촉진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ATP는 renin granular membrane에 있어서의 H+ 혹은 다른 이온의 농도차를 유발 또는 유지함으로써 renin분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이온의 농도차는 osmotic swelling에 의한 분비와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uthor(s)
Chang, SunghoeJeong, SueyoungJang, Yeon JinPark, Chun Sik
Issued Date
1992
Type
Research Laboratory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5344
http://ulsan.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025257
Alternative Author(s)
장성호정수용장연진박춘식
Publisher
울산의대학술지
Language
eng
Rights
울산대학교 저작물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Citation Volume
1
Citation Number
1
Citation Start Page
8
Citation End Page
18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Laboratory > The ULSAN university medical journal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