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원격수업 유형이 인지된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Alternative Title
-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몰입을 매개하여
- Abstract
- Due to the fear of mass-infection of COVID-19 in 2020,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ad to operate the distance learning for their students. Thus, the Ministry of Education suggested the models of the distance learning: 'live-streaming two-way learning', 'learning centered about the use of contents' and 'learning centered about assignments'. At the same time, the ministry recommended the 'live-streaming two-way learning' as a means of prevent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declining.
However, the learning effects of 'live-streaming two-way learning'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yet to be tested in terms of its learning effects. Hence,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hypotheses; First, how abou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the distance learning and social presence/ learning flow/learning performance? Secondly, would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flow medi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distance learning and the learning performance?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the researcher set the types of the distance learning as ''live-streaming two-way learning' and 'learning centered about the use of contents. Then, the researcher defined the social presence as 'being not alienated in the on-line environment, recognizing other learners, sharing the positive influences and feeling a sense of belonging'. Then, the researcher defined the learning flow as 'behavioral, emotional and cognitive commitment to learning'. Lastly, the researcher set the sub-factors of the learning performance as 'learning achievement', 'satisfaction with learning' and 'intention of continuing to lear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ampled 332 middle school second graders from 6 middle schools in Ulsan in 2021,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the school learning in the 2nd semester of 2020. Then,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s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reover, in order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variables set, the researcher used Hayes' (2013) SPSS Process Macro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and perform the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onger the two-way learning progressed, the learning performance improved more. Furthermore, it was also found that the learning performance would be affected most by the learning flow, followed by the social presence.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presence and the learning flow completely medi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distance learning and the learning performances.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teachers to select the two-way learning. Secondly,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the teachers with the learning strategies for improvement of the learning flow and the social presence and thereby, educate them about the strategies.| 2020년 코로나19 집단 감염으로 초·중·고 교육을 원격수업 형태로 실시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교육부에서는 ‘실시간 쌍방향 수업’,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 ‘과제 수행 중심 수업’을 원격수업의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원격수업은 교육적으로 의미있는 활동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어려웠다(강창동 외, 2001). 그래서 교육부는 1학기의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 또는 과제 수행 중심 수업이 원활한 피드백으로 이어지지 않음으로써 학력 저하 및 사교육 의존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을 받아들여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권고하게 된다(교육부c, 2020).
그러나 ‘중학생에게 실시간 쌍방향 수업이 학습성과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는가?’에 대한 검증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원격수업 유형과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학습성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몰입은 원격수업 유형과 학습성과와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원격수업 유형을 ‘실시간 쌍방향 수업’과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으로 구분하였다. 사회적 실재감은 온라인 환경에서 학습자가 고립감을 느끼지 않고, 다른 학습자를 인식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받으며 소속감을 느끼는 정도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학습몰입은 행동적 몰입, 정서적 몰입, 인지적 몰입이 이루어지는 정도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학습성과의 하위요인을 ‘학업성과’,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울산지역 6개 학교를 선정하고, 2021학년도 중학교 2학년 남·여학생 총332명을 편의 표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2020학년도 2학기에 학생들이 경험한 수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5.0 와 SPSS Process macro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량 분석, Pearson상관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설정된 변인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Hayes(2013)의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검증,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진행할수록 학습성과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원격수업 유형이 유의미한 에측변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몰입(β=.648, p<.001)이 학습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실재감(β=.218, p<.001)이 그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예측 변인(63.4%, R2=.634)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몰입은 원격수업 유형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나타내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선택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몰입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서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즉, 실시간 쌍방향 수업 방식이 대면수업의 양상을 온라인으로 그대로 옮기는 것으로는 효과적인 수업이 될 수 없다는 점(도재우 외, 2020)을 인식하고, 교사에게 실시간 쌍방향 수업의 학습몰입과 사회적 실재감 향상을 위한 수업 설계 방법을 제시하고, 원격수업 설계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수업 맥락을 더욱 구체화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은 모두 자기 보고식 설문을 통해 측정하였으므로, 학습성과에 대한 예측을 위한 객관적인 평가 수치, 심층 인터뷰를 통한 개별 연구대상에 대한 심층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교수자와 소통하는 수업 지원 도구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넷째, 대면수업과 원격수업의 학습성과 비교를 통해 미래교육의 학습형태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Author(s)
- 강대옥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0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원격수업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5573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7226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