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투약 순응도와 영향요인
- Abstract
-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으로 대표되는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위장관에 발생하는 원인 불명의 만성질환으로 내과치료로 완치되지 않고 증상의 악화와 호전을 반복한다. 질환의 반복되는 악화 및 합병증, 수술을 피하기 위해서는 처방된 약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염증성 장질환 환자들의 투약 순응도를 확인하고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이는 투약 순응도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근거자료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는 서울 소재 상급종합병원 염증성 장질환 센터에 내원한 크론병 또는 궤양성 대장염으로 진단 받은지 6개월 이상의 만 18세 환자들 중, 경구약을 복용하고 연구 참여에 서면으로 동의한 2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환자 자가보고식 투약 순응도 측정 도구인 MARS (Medication Adherence Reporting Scale)를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법,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법, 피어슨 상관분석법 및 다중 선형회귀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207명 중 크론병이 125명(60.4%), 남성이 134명(64.7%)이었다. 평균 연령은 39.63세(표준편차 13.16세), 염증성 장질환 평균 이환기간은 10.09년(표준편차 6.33년)이었다. 1일 평균 약제 숫자는 6.21개(표준편차 3.97개), 1일 평균 투약 횟수는 2.04회(표준편차 0.83회)이었다.
2.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투약 순응도는 25점 만점에 평균 22.46점(표준편차 2.86점)이며 100점 만점으로 환산시 80% 이상의 투약 순응도 환자는 87.4%였다.
3. 투약 순응도는 크론병(t=-2.450, p=.015), 수술력이 있는 경우(t=2.126, p=.035), 5-ASA (t=2.694, p=.008), 생물학제제를 투여하는 경우(t=2.065, p=.040)는 투약 순응도가 낮았고 스테로이드를 투여할 경우(t=-5.039, p=<.001) 투약 순응도가 높았다. 경구약제(t=2.065, p=.040)만 투여 받는 경우가 비경구약제와 병행하여 투여 받은 군보다 투약 순응도가 더 높았다. 투약 횟수에 따라서는 하루 세번 이상 투여군이 하루 한번 투여군보다 투약 순응도가 더 낮았다(F=4.95, p=.008).
4. 자기효능감과 투약 순응도(r=.312, p<.001)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질병관련 지식, 우울, 불안과 투약 순응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5. 투약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p<.001)과 1일 투약 횟수 (p=.016)였다. 이 회귀 모형의 설명력은 12.7%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F=4.337,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투약 순응도 향상을 위해서는 투약 횟수를 하루 1회로 경감하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투약 순응도 진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투약 순응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규명한 최초의 연구이다.
주요어: 염증성 장질환, 투약 순응도, 지식, 자기효능감, 우울, 불안
- Author(s)
- 권은자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0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염증성 장질환; 투약 순응도; 지식; 자기효능감; 우울; 불안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5608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7537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