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및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 간의 구조모형분석
- Abstract
- 본 연구는 유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의 일반적 특성 및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교차타당성분석을 통해 또래유능성과 관련 변인의 구조적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의 일반적 특성은 어떠한가?
2. 유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및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 간 상관은 어떠한가?
3. 유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및 정서조절능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유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및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5. 유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및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 간의 구조적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U광역시, B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285명과 유아의 어머니들이었다. 유아 기질은 Rothbart(1981)의 CBQ-VSF로 측정하였고 기질조화적합성은 CBQ-VSF 기질 문항과 어머니 요구도 문항을 짝지어, 두 점수의 차이로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정서조절능력은 Shields와 Cicchetti(1997)의 ERC로 측정하였고 또래유능성은 박주희와 이은해(2001)의 유아용 또래유능성 척도로 측정하였다. SPSS 25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25를 이용하여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정서조절능력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경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유아 기질에서는 주의통제기질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외향기질, 부정정서기질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질 하위요인에서의 성차분석 결과, 외향기질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았고, 주의통제기질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았다. 기질조화적합성에서는 주의통제조화적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외향조화적합성, 부정정서조화적합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질조화적합성의 성차분석 결과, 기질조화적합성과 기질조화적합성의 하위요인에서는 성차가 유의하지 않았다. 정서조절능력에서는 적응적 정서조절, 부적응적 정서조절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정서조절능력의 성차분석 결과, 적응적 정서조절에서만 여아가 남아보다 높았다. 또래유능성에서는 친사회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교성, 주도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래유능성의 성차분석 결과, 친사회성에서만 여아가 남아보다 높았다.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 간 상관을 살펴보면, 외향기질과 또래유능성 간 정적 상관, 주의통제기질과 또래유능성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적응적 정서조절과 또래유능성 간 정적 상관, 부정적 정서조절과 또래유능성 간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부정정서기질과 또래유능성, 기질조화적합성 모든 하위요인과 또래유능성 간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하위요인에 따라 살펴보면, 주의통제기질, 부정정서기질, 주의통제조화적합성 순으로 정서조절능력에 높은 영향을 미쳤다.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및 정서조절능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기질과 정서조절능력이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쳤다. 기질조화적합성은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위요인에 따라 살펴보면, 적응적 정서조절, 외향기질의 순으로 또래유능성에 높은 영향을 미쳤다.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정정서기질과 주의통제기질, 주의통제조화적합성과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과 부적응적 정서조절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적응적 정서조절과 부적응적 정서조절에서만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다. 적응적 정서조절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게 유의하였으며, 남아에게는 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응적 정서조절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남아에게는 유의하지 않았고, 여아에게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외향기질은 또래유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정정서기질, 주의통제기질 및 주의통제조화적합성은 적응적 정서조절과 부적응적 정서조절을 통해 또래유능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부모가 자녀의 기질을 파악하고 그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그리고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발달과 또래유능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정서조절능력, 또래유능성
- Author(s)
- 조인주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08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정서조절능력; 또래유능성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5725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6649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