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 사회성과의 관계에서 어머니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유아 사회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 사회성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및 유아 사회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 사회성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U시에 살고 있는 만 5세 유아를 둔 취업모 220명이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Abidin(1990)의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 등을 기초로 한국형으로 개발한 ‘양육 스트레스 척도’에서 발췌하여 본 연구는 연구목적에 해당하는 ‘부모역할에 대한 부담감 및 디스트레스’만으로 측정하였다. 어머니 회복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Resilience Quotient Test:RQT는 (Reivich& Shatte, 2003)에서 번역이 잘못되었거나 어색한 것을 수정하여 신우열, 김민규와 김주환(2009)이 검증한 회복탄력성 척도를 수정한 것으로 측정하였다. 유아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Gresham & Elliot의 SSRS(Social Skills Rating System)의 척도 중에서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서미옥(2004)이 타당화 한 것으로 측정하였다.
SPSS 및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통계 분석을 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유아의 사회성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계수(Cronbach’ α)를 산출하였다. 셋째, 전체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s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넷째,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 사회성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Hayes(2013)가 제시한 ‘Process Macro’을 이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성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협력성과 자기 통제성은 양육 스트레스와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서도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은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와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회복탄력성과 유아 사회성에서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은 유아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협력성, 자기 통제성, 주장성에서도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 사회성 관계에서 어머니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으나, 어머니의 회복탄력성이 매개 변인으로 투입되었을 때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낮아지고 결과적으로 유아의 사회성이 높아지는 간접효과가 충분히 나타났다. 이것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 사회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변수효과를 검증하여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 사회성과의 관계에서 어머니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유아가 초기 사회성을 올바르게 형성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uthor(s)
유소민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02
Type
Dissertation
Keyword
사회성양육 스트레스회복탄력성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5729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70398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아동가정복지학과
Advisor
김영주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정복지학과
Language
kor
Appears in Collections:
Child family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