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GC-FID와 CSC Tube를 이용한 1,2-디클로로프로판 분석방법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국내 산업현장에서 2000년대 중반 대체 세척제로 각광받아 사용하던 1,2-디클로로프로판은 일본에서 담관암의 원인물질로 추정되며 발암성 물질로 분류된 후 일본 내에서 사용이 금지되었다. 국내에서는 아직 공공연하게 세척제 물질 중 하나로 1,2-디클로로프로판이 사용되고 있어 고용노동부에서는 이러한 위험성을 반영해 노출기준을 75ppm에서 10ppm으로 강화시켰다. 그러나 현재 이를 측정한 뒤 올바른 노출농도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공기 중 1,2-디클로로프로판 농도평가를 위해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 작업환경측정·분석법(NMAM)이 있으나 해당 분석법에서 제시하는 채취매체와 전해전도도검출기(ELCD)는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어서 작업환경측정 및 분석방법으로 현장에서 원활하게 적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 중 1,2-디클로로프로판 채취 및 평가를 위해 NMAM의 채취매체(Anasorb Tube)와 검출기(ECLD의 한 종류에 해당하는 ECD) 그리고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채취매체(CSC Tube)와 검출기(FID)의 성능 실험 비교를 통해 보다 적합한 시료채취 매체와 분석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실험실 평가(Lab Test)를 통해 채취매체의 저장안정성 실험, 통합 정확도·정밀도 평가,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를 산출했다. 그리고 챔버를 이용해 총 포집유량과 매체별 파과실험을 실시하여 1,2-디클로로프로판을 채취할 때 매체 간 포집율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두 매체 모두 우수한 효율을 보였으며 냉장보관 시에는 이동현상(Migration)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매체로서 정확도와 정밀도 역시 우수했으며 노출기준의 최대 1/60배까지 정량한계를 산출했다. 사업장을 섭외하여 현장평가(Field Test)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와 실험실 평가결과의 차이가 없었다. 두 매체 모두 1,2-디클로로프로판 채취매체로서의 효용성은 타당하나 매체와 분석기기의 경제성 및 작업환경 측정 시 근로자의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CSC Tube 와 GC-FID 사용이 효율적이라 판단된다.
Author(s)
조현민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0
Type
Dissertation
Keyword
1,2-디클로로프로판GC-FIDGC-ECDCSC tubeAnasorb tube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5734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63529
Alternative Author(s)
Cho, Hyounmin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안전보건전문학과
Advisor
정기효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안전보건전문학과
Language
kor
Appears in Collection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udies > 1. Theses(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