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H 변이가 없는 (IDH Wild-type) 교모세포종의 치료 반응 평가 보완을 위한 비조영증강 병변 유형 및 조영증강 변화 패턴에 따른 계층화
- Abstract
- 연구제목: IDH 변이가 없는 (IDH Wild-type) 교모세포종의 치료 반응 평가 보완을 위한 비조영증강 병변 유형 및 조영증강 변화 패턴에 따른 계층화
연구배경: 뇌종양 치료 반응 평가의 현재 표준은 Response Assessment in Neuro-Oncology (RANO) criteria를 따르게 되는데, 이는 종양 주변 비조영증강 병변과 수술 후 남은 조영증강의 부피를 고려하지 않는다. 이 두가지 요소는 IDH wild-type 교모세포종의 조기 치료 반응 (거짓진행 및 종양 진행까지의 시간) 평가에 기존의 RANO criteria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방법: 본 후향적 연구는 총 86명의 IDH wild-type 교모세포종을 진단 받은 환자 중에 항암 화학 방사선 병합 요법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전 후 MRI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거짓진행 (pseudoprogression) 진단은 병리학적 확진 또는 임상영상학적 평가에 기반하였다. 비조영증강 병변은 CCRT 전 MRI에서 부종 우세 유형과 종양 우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조영증강 변화 패턴은 수술 후 남은 조영증강의 부피와 CCRT 동안의 부피 변화를 기준으로 4가지 패턴으로 분류되었다. 비조영증강 병변의 유형 및 조영증강 변화 패턴에 따른 종양 진행까지의 시간 (time-to-progression, TTP)은 Kaplan–Meier method 통해 분석되었다. 거짓진행율은 임상적 지표, 비조영증강 병변의 유형, 조영증강 변화 패턴을 고려하여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종양 우세 유형의 비조영증강 병변은 유의하게 짧은 TTP (hazard ratio [HR]=2.03, P=.005) 및 낮은 거짓진행율 (chi-square test, P=.047)을 보였다. 조영증강 변화 패턴 중에서는 기존 조영증강의 크기 증가가 새로운 조영증강의 출현이나 남아있는 조영증강의 크기 안정화와 비교하여 가장 낮은 TTP를 보였다 (HR=4.33, P<.001). 부종 우세 유형의 비조영증강 병변에서는 TTP가 조영증강 변화 패턴에 따라 계층화 되었으나 (log-rank, P=.001), 종양 우세 유형의 비조영증강 병변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에서 비조영증강 병변의 유형만이 거짓진행의 유일한 예측 인자로 확인되었다 (odds ratio=0.26, P=.046).
연구결론: IDH wild-type 교모세포종에서 비조영증강 병변은 거짓진행의 예측에 도움을 주며, 조영증강의 변화 패턴과 함께 사용된다면 TTP 계층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Stratification by Non-Enhancing Lesion Type and Contrast Enhancement Evolution Pattern Refine Treatment Response Assessment in IDH Wild-type Glioblastomas
Author: Hye Hyeon Moon, MD. Department of Radiology and the Research Institute of Radiolog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Background: Updated response assessment in neuro-oncology (RANO) does not consider peritumoral non-enhancing lesion (NEL) and baseline (residual) contrast enhancement (CE) volume. These two factors can refine current RANO for assessing early treatment response (pseudoprogression and time-to-progression [TTP]) in patients with IDH wild-type glioblastoma.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enrolled 86 patients with IDH wild-type glioblastoma who underwent consecutive MRI examinations before and after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Pseudoprogression was based on pathologic confirmation or clinico-radiologic assessment. NEL was classified as edema- or tumor-dominant type on pre-CCRT MRI. CE evolution was categorized into 4 patterns based on post-operative residual CE (measurable vs. non-measurable) and CE volume change (same criteria with RANO) during CCRT. TTP according to NEL type and CE evolution pattern was analyzed by the Kaplan–Meier metho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including clinical parameters, NEL type, and CE evolution pattern, was used to analyze pseudoprogression rate.
Results: TTP was significantly shorter (hazard ratio [HR]=2.03, P=.005) and pseudoprogression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chi-square test, P=.047) for tumor-dominant type than edema-dominant type of NEL. Among CE evolution patterns, TTP was shortest in patients with enlarging residual CE (HR=4.33, P<.001) compared with those exhibiting new CE or stable CE. In edema-dominant NEL type, TTP was stratified by CE evolution pattern (log-rank, P=.001), whereas it was not in tumor-dominant NEL. NEL type was the only predictive marker of pseudoprogression on multivariate analysis (odds ratio=0.26, P=.046).
Conclusions: NEL type improves prediction of pseudoprogression and, together with CE evolution pattern, further stratifies TTP in patients with IDH wild-type glioblastoma.
Keywords: Progression; Glioblastoma; MRI; Non-enhancing lesion; Contrast enhancement
- Author(s)
- 문혜현
- Issued Date
- 2021
- Awarded Date
- 2021-02
- Type
- Dissertation
- Keyword
- Progression; Glioblastoma; MRI; Non-enhancing lesion; Contrast enhancement
- URI
-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5840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66148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