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반구대암각화의 座礁鯨 得鯨 활동에 관한 硏究 - 고래와 人間의 交流史로서 傳統 고래文化에 대한 解釋 -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the Gaining Whale Activities for the Stranding Whales of the Bangudae Petroglyphs - An Analysis for the Traditional Whale Culture as the Interactive History Between Whale and Human -
Abstract
반구대 대곡리암각화가 물에 침수되는 문제 이상의 심각한 문제가 또 있다. 반구대암각화가 고래고기 食文化 경전이나 되는 듯한 고래사냥 일변도의 해석의 난무가 그것이다. 울산은 왜 고 래사랑 도시가 아닌 ‘고래고기사랑 도시’에서 그릇 방황하고 있을까? 그 책임은 학계에서 그동안 반구대암각화 자체를 大洋捕鯨 역사의 원형(原形)이나 되는 듯이 호도한데도 있다. 그러나 본 硏 究는 반구대암각화에 새겨진 어업 그림들은 大洋捕鯨이 아닌 연안에 좌초되어 온 좌초경(座礁鯨) 을 수동적으로 잡은 沿岸得鯨 활동이었다는 사실을 국제적인 여러 연안 고래사냥 방증들을 비교 하여 밝히려 한다. 우리나라 고래사냥 역사에서 그 역사적인 팩트는 능동적으로 고래사냥을 한 것이 아니라 수동적 고래사냥(Passive Whaling)이었다. 우리나라 전통고래문화에 대하여 특히 인 간과 고래가 상호 적대관계가 아니라 고래와 인간의 交互 交感의 交流史를 이어왔다는 새로운 해석은 반구대 암각화에 대한 기존 해석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울산지역을 ‘고래고기 사랑’ 도시가 아닌 세계 고래사랑의 메카로 인식시키게 될 것이다.
Author(s)
김성규
Issued Date
2017
Type
Characterization
Keyword
Bangudae whaling interpretationPassive whalingWhale obtainingCetacean strandingCetacean drifting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5895
Alternative Author(s)
Sung Kyu Ki
Publisher
고래학술지
Language
KOR
Citation Number
5
Citation Start Page
23
Citation End Page
33
Appears in Collections:
Whale institute > 1. Journal Paper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