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한국의 전정 편두통 유병률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2012년 바라니 학회(Bárány Society) 진단기준에 의거
Abstract
서론
전정 편두통은 반복되는 심한 어지럼과 더불어 편두통의 특징이 있는 환자에게 진단하는 병명으로 2012년 국제 두통학회와 바라니 학회에서 통일된 진단기준을 제시하였으며, 그 기준이 현재 임상에서 통용되고 있다. 전정 편두통의 유병률은 어지럼 환자의 11%, 편두통 환자의 10%, 전체 인구의 1%로 아주 흔한 병으로 발표되었다. 하지만 새로운 진단기준을 모두 엄격하게 지키면서 높은 유병률의 결과를 내는 것은 진료실에서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 어려울 것이라 본다. 따라서 어지럼을 주소로 이비인후과를 찾은 한국인 환자 중 새 진단 기준에 따른 전정 편두통의 정확한 유병률을 알아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대상 및 방법
2018년 12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13개월 간 울산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어지럼 클리닉을 방문한 신환 혹은 초진 환자들을 후향적 차트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문진 시 전정 편두통의 효율적인 진단을 위해 고안된 전자 문진표가 사용되었다.

결과
총 864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차트 리뷰를 통하여 어지럼과는 무관한 증상만을 보인 환자와 문진표가 누락된 경우의 86명을 제외한 778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778명의 어지럼 환자 중 다른 전정 질환으로 진단되었거나, 중이의 병변, 편측 난청, 내이도 종양, 최근의 두부 외상력, 중추성 어지럼이 확인된 629명의 환자를 제외하면 총 149명의 환자가 비 특이적인 어지럼과 두통을 함께 호소하였다. 이 중 전정 편두통으로 진단된 환자는 30명으로 어지럼을 주소로 내원한 778명중 약 3.9%, 비 특이적 어지럼과 두통을 가진 149명 중 20.1%를 차지하였다. 전정 편두통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41.5±20.9세 이며, 남녀비는 1:1.2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전정 편두통의 새 진단 기준을 적용하여 그 유병률을 살펴본 한국의 연구 중 처음으로 체계화된 문진표를 가지고 엄격하게 시행하였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전정 편두통의 세세한 진단기준을 본 연구에서는 엄격하게 적용하였으나 타 연구에서는 그 기준 적용에 임상의의 임의적 판단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결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에 발표된 다른 논문들의 전정 편두통 유병률보다 아주 낮은 결과를 보였다. 여기에는 물론 한국의 편두통 유병률이 유럽이나 미대륙 등 타 지역에 비해 낮으며 본 연구에 포함된 환자들이 모두 초진 환자였다는 점도 작용하였을 것이다.
정확한 전정 편두통의 진단을 위해서는 2012년 발표된 최신 진단 기준을 정확히 인지하고 이비인후과 의사에게는 낯선 편두통 및 나아가 전정편두통의 진단을 위해 체계화된 문진표를 사용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되겠다.
Author(s)
천태욱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02
Type
Dissertation
Keyword
DizzinessVertigoHeadacheMigraine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5917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64676
Alternative Author(s)
TaeUk Cheon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의학전공
Advisor
권중근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의학전공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