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조선후기 울산지역 ‘솔인(率人)ㆍ솔인녀(率人女)’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과부의 재혼 사례를 중심으로-
Abstract
Neo-Confucianism that had influences on the Joseon society placed importance on widows' remaining chaste. King Seongjong enacted "Act on the Restriction of Remarriage," which prevented descendents of remarried widows from holding a government office. The act was discussed again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sangun, who refused to revise the act according to the opinion that the late king's decisions must be kept intact despite appeals to allow remarriage.
Negative perceptions of widows' remarriage started to emerge in the upper class in the society and spread to the lower class over time. As commoners copied the ideas and acts of noblemen, the custom of tabooing the remarriage of a widow settled down across the society. Commoner widows, however, got remarried for various reasons as they needed a new husband that was capable of economic activities and would protect them from external risks in order to survive.
Early studies on the remarriage of widows during Joseon focused on examining the reality of remarriage among noble widows by interpreting the enactment process of "Act on the Restriction of Remarriage"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and the provisions of "Gyeonggukdaejeon." Studies on commoner widows began in the early 2000s as researchers obtained access to data about commoners following the computerization of family registers. There are "Sorins" and "Sorinnyeos" related to widows in the "Census Register of Ulsan-bu" currently under the process of computerization.
Before the middle 18th century, male Sorins had the nature of subordination & employment, relative, and common law marriage. Female Sorins had the nature of subordination & employment, divorce, and common law marriage. Male Sorins were found in 1672~1708, but their records were missing between 1708 and the middle 18th century. Female Sorins began to rise in numbers in 1729 and increasingly focused on common law marriage relations.
When the data of "Sorins" before the middle 18th century was put together, it seems that Sorins had the strong nature of a dependent other than a member of one's own family. In cases where "Sorins" remained in a household for a long term, all of them were converted into servants and farmhands and became definite members of the household. In other cases where relatives of the head of household or wife were converted into "Sorins," they referred themselves to the household or would soon become independent from the household. In the last cases where "Sorins" included Yugaes with female Sorins converted into Guhwalbis later, they were not acquainted with the head of family or wife. These findings raise a high possibility that "Sorins" were not fit to be members of a household.
The term, male Sorins, was used to indicate relatives and common law marriage since the middle 18th century. There was an increase to the number of male Sorins used in common law marriage relations from the period before the middle 18th century. Female Sorins made a rapid increase in the middle 18th century, and most of them were used to indicate common law marriage relations. Male Sorins disappeared from the census register in 1792, and their female counterparts did in 1789. The extinction of male Sorins was an outcome of the government's efforts as it preferred the head of household being recorded as male. The extinction of female Sorins happened as their role was transferred to "Sorinnyeos."
The term "Sorinnyeos" was first found in 1753. Its records surged along with the number of female Sorins, who had the same nature as "Sorinnyeos." Unlike female Sorins that disappeared in the latter part of the 18th century, "Sorinnyeos" maintained a certain number since then, which suggests that the principle of using only "Sorinnyeos" in records settled down after the mixed use of female Sorins and "Sorinnyeos."
"Sorinnyeos" recorded in common law marriage relations were remarried widows. There were cases in which "Sorinnyeos" and "Uijanyeos" lived in the same household as mothers and their daughters. In other cases, "widow heads of household and male Sorins" were converted into "widower heads of household and Sorinnyeos." These findings show that widows were recorded as "Sorinnyeos" rather than wives after remarriage. There were, however, cases in which "Sorinnyeos" were converted into wives. The fact that widows were recorded as wives means that their remarriage was recognized as official marriage.
The study examined cases in which "Sorinnyeos" were converted into wives and found that remarried widows remained as "Sorinnyeos" for different durations. The reason can be estimated from the cases in which "Sorinnyeos" and concubines were converted into each other. Concubines were not recognized as formal wives. When remarried widows belonged to the same category as concubines, they must have received lower treatments than formal wives despite their same position, which is demonstrated by the facts that a "Sorinnyeo" promoted her position as a wife by recording the maternal grandfather of the former wife's child as her father and that the tendency was high when "Sorinnyeos" were alive.
The terms "Sorins and Sorinnyeos" were used overwhelmingly among the common people especially under the Jungin class. The main recorders of family registers wrote down remarried commoner widows as "Sorinnyeos." Given the fact that the term "Sorinnyeos" was used among the common people, the remarriage cases were the most in commoner men in their sixties and commoner women in their early forties. Men needed remarriage even in old age as they remained as heads of household for tax collection and labor requisition. Women were able to live as mothers in the households of their grown-up sons.
"Sorins and Sorinnyeos" also show changes to the members of remarried families. The records of Uijanyeos and relatives of Sorinnyeos disappeared in remarried families over time, which shows the changing practice oriented toward a male-dominant society. The Neo-Confucian ethical beliefs of a paternal line-centered society also penetrated into the common people of Ulsan.
The Neo-Confucian ethical beliefs also brought changes to the noblemen of Ulsan. The main recorders of "Sorins and Sorinnyeos" in family registers were noblemen, who tried to reflect the immoral idea of remarriage on the census register by extinguishing "second wives" recognized as formal wives and recordings "Sorinnyeos." They used Sorinnyeos as a tool to enlighten common people to have the chastity consciousness and propagate their own chastity consciousness. Despite these actions of noblemen, the common people continued to practice remarriage actively, which suggests that the chastity consciousness had not penetrated into the entire society yet in the early 19th century.
In short, "Sorins and Sorinnyeos" offer clues to figure out how much influence the Neo-Confucian ethical beliefs had on the society of Ulsan along with the timing and methods of their influence. The census register reflects the lifestyles of people those days and the ideas of main recorders, which raises a need to employ a high-dimensional perspective to examine the contexts of changes beyond the one-dimensional perspective based on statistical numb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fe of the past and sympathize with it.
|조선 사회에 영향을 미친 성리학은 과부들의 수절을 중요시했다. 성종은 과부들이 재혼하면 자손들이 관직을 받지 못하는 ‘재혼제한법’을 제정했다. ‘재혼제한법’은 연산군 때 다시 한 번 논의가 되었다. 연산군은 재혼 허가를 요청하는 상소에도 선왕이 결정한 일은 고칠 수 없다는 의견에 따라 법을 개정하지 않았다.
사회의 상위 신분 계층이 가지기 시작한 과부의 재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시기가 지날수록 하위 신분 계층으로 확대되었다. 평민들이 양반들의 사상과 행동을 모방하면서 과부의 재혼을 금기시하는 풍속이 사회 전반에 정착해나갔다. 하지만 평민 과부는 다양한 이유로 재혼을 했었다. 자신이 먹고살기 위해서 경제적 활동이 가능하고,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해 줄 새로운 남편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과부의 재혼에 대한 초기 연구는 조선전기에 있었던 ‘재혼제한법’의 입법화 과정과 『경국대전』 법조문의 해석을 통한 양반 과부의 재혼 실상을 파악하는 것에 주력했다. 평민 과부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초부터 진행되었다. 호적 전산화 사업이 진행되면서 평민에 대한 자료가 확보되었기 때문이다. 현재 전산화 사업이 진행 중인 『울산부호적대장(蔚山府戶籍大帳)』에는 과부와 관련 있는 ‘솔인(率人)ㆍ솔인녀(率人女)’의 존재가 확인된다.
18세기 중반 이전의 남성 솔인은 예속ㆍ고용, 친족, 사실혼의 성격을 가졌다. 여성 솔인은 예속ㆍ고용, 이혼, 사실혼의 성격을 가졌다. 남성 솔인은 1672~1708년 사이에 확인되지만 그 이후부터 18세기 중반까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여성 솔인은 1729년부터 수가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점차 사실혼 관계에 집중되는 변화가 나타났다.
18세기 중반 이전 ‘솔인’의 자료를 종합해본다면 객식구(客食口)의 성격이 강하다. ‘솔인’이었던 사람이 장기적으로 호에 존속하는 사례는 전부 노비(奴婢)ㆍ고공(雇工)으로 전환하여 명확한 호의 구성원이 되었다. 반대로 호주(戶主) 또는 처(妻)의 친족이 ‘솔인’으로 전환되는 사례는 잠시 몸을 의탁하거나 조만간 호에서 독립하는 경우로 추측된다. 마지막으로 ‘솔인’ 중에 유개(流丐)가 포함되어 있고, 후에 여성 솔인이 구활비로 전환되는 사례는 호주 또는 처와 ‘솔인’이 서로 면식이 없는 관계라는 점을 알려준다. 따라서 ‘솔인’은 호의 구성원으로 적합하지 않는 인물을 나타냈을 가능성이 높다.
18세기 중반 이후의 남성 솔인은 친족과 사실혼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18세기 중반 이전과 비교하면 사실혼의 관계에 사용된 남성 솔인이 증가한 특징을 보인다. 여성 솔인은 18세기 중반부터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며, 대부분 사실혼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남성 솔인은 1792년, 여성 솔인은 1789년 이후로 호적대장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남성 솔인의 소멸은 호주가 남성으로 기재되기를 선호한 정부의 노력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되며, 여성 솔인의 소멸은 ‘솔인녀’에게 그 역할을 넘겨주었기 때문이다.
‘솔인녀’는 1753년부터 확인된다. 여성 솔인과 함께 수가 급증하는 모습을 보인다. 여성 솔인과 ‘솔인녀’는 서로 동일한 성격을 가졌다. 여성 솔인이 18세기 후반 이후로 소멸되는 것과 달리 ‘솔인녀’는 그 이후에도 일정한 수를 유지했다. 이는 여성 솔인과 ‘솔인녀’가 병행되어 사용된 시기를 지나 ‘솔인녀’만 사용하도록 하는 원칙이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실혼 관계로 기재된 ‘솔인녀’는 재혼한 과부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솔인녀’와 ‘의자녀’가 서로 친모의 관계로서 같은 호에 존재하며, ‘과부 호주와 남성 솔인’ 호가 ‘홀아비 호주와 솔인녀’로 전환되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부는 재혼을 하면 처가 아닌 ‘솔인녀로’ 기재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솔인녀’가 처로 전환하는 경우가 있다. 처로 기재된다는 사실은 과부의 재혼이 정식 혼인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를 가진다.
‘솔인녀’가 처로 전환되는 사례를 살펴보면, 재혼한 과부가 ‘솔인녀’로 존속하는 기간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솔인녀’와 첩이 서로 전환되는 사례를 통해 그 이유를 유추해볼 수 있다. 첩은 정식 아내로 인정받지 못했다. 재혼 과부가 첩과 같은 범주에 속했다는 것은 정식 아내의 위치에 있었지만 그보다 낮은 대우를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솔인녀’는 전처 자식의 외조를 자신의 친부로 기재해 자신이 처의 위치에 있음을 표현했으며, ‘솔인녀’가 생존해있을 때 그러한 경향이 높다는 사실은 이를 증명해 준다.
‘솔인ㆍ솔인녀’는 중인 이하 신분층 특히, 평민 계층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되었다. 호적 작성의 주도층은 평민 재혼 과부를 ‘솔인녀’로 기재한 것이다. ‘솔인녀’가 평민층에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감안하고 살펴보면, 평민 남성은 60대에 재혼하는 인원이 가장 많았고 여성은 40대 초반이 가장 많았다. 이는 남성은 조세 수취와 역의 징발 대상으로 호주인 상태로 남아있어 노년에도 재혼이 필요하지만 여성은 장성한 아들의 호에서 어머니의 삶을 살아갈 수 있었던 차이점으로 보인다.
‘솔인ㆍ솔인녀’는 재혼가정의 구성원의 변화도 보여준다. 시기가 지날수록 의자녀 기재와 솔인녀의 친족들이 재혼가정에서 사라지는 현상에 주목하여 남성 중심 사회를 지향하는 관행의 변화를 확인했다. 울산지역 평민 계층에도 부계 중심 사회의 성리학적 윤리관이 침투한 것이다.
성리학적 윤리관은 울산지역 양반층에도 변화를 주었다. ‘솔인ㆍ솔인녀’라고 호적에 작성하는 주도층은 양반층이다. 그들은 정식 아내로 인정되는 ‘후처’를 소멸시키고 ‘솔인녀’를 기재하여 재혼을 부도덕하게 여기는 관념을 호적대장에 반영하고자 했다. ‘솔인녀’는 평민들이 정조의식을 가지게 만드는 계몽을 위해, 자신들은 정조의식을 가지게 보이게끔 선전하는 도구로 사용된 것이다. 이러한 양반층의 행동에도 평민층은 지속적으로 활발한 재혼 관행을 유지한 것으로 보아 19세기 초에는 아직 정조의식의 침투가 사회 전반에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솔인ㆍ솔인녀’는 울산지역에서 성리학적 윤리관이 어느 시기에 어떤 방식으로 사회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주는 단서라고 말할 수 있다. 호적에는 당시 사람들의 삶의 방식과 작성 주도층의 관념이 담겨있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의 삶을 이해하고 공감하기 위해서는 통계 수치를 활용한 1차원적인 관점에서 더 나아간 변화의 맥락을 살펴보는 고차원적인 관점이 요구될 것이다.
Author(s)
황진섭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02
Type
Dissertation
Keyword
과부객식구성리학솔인솔인녀여성 중심 가족울산부호적대장의자녀재혼정조의식조선후기평민후처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5995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73795
Alternative Author(s)
Hwang Jin-seop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한국사한국문화학과
Advisor
이종서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사한국문화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Korean History & Cultural Studies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