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3차원 프린팅 된 하악 전치를 이용한 치간 삭제 기법과 인접면 외형 회복 기법 비교

Metadata Downloads
Abstract
Interproximal reduction is widely accepted in orthodontic treatment; however, there are clinical issues associated with it such as inaccuracy in the amount of removal and indefinite recovery of anatomical morphology on the proximal surface. In this study, three-dimensional (3D) scan and 3D measurement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methods for reducing the correction and recovery of the anatomical morphology.
A 3D tooth model was used as an experimental material, which was designed by scanning the six mandibular anterior teeth picked from the dentiform, and printed by 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3D printer. Interproximal reduction was performed by using a metal strip (one-sided sequential or double-sided simultaneous reduction), and proximal surfaces were reshaped using Sof-Lex disc or Zachrisson bur. After the experiment, the amount of reduction, the reduction plane angle, and the mean curvature were measured by the 3D analysis program.
After interproximal reduction, the mean reduction plane angle on the proximal surface was 79.7 ± 2.9 º. In the case of planned reduction amount of 0.1 mm, the actual reduction amount increased by 25 %, and in the case of planned reduction amount of 0.2 mm, it increased by 8 % with the one-sided sequential reduction method, and by 15 % with the double-sided simultaneous reduction method. The mean curvature at the middle of the proximal surface before reduction was 0.539, and the Zachrisson Bur (0.551) was better than the Sof-Lex disk (0.242) for the proximal surface morphology recovery.
In the case of interproximal reduc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reduction plane angle should be around 80 º. The actual reduction amount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tended reduction amount and the reduction method. Interproximal contour reshaping can improve the mean curvature of the interproximal surface;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be performed after interproximal reduction.
|치간 삭제는 교정치료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삭제량의 부정확성 그리고 해부학적 인접면 형태의 불명확한 회복 방법 등의 임상적 문제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스캔과 3차원 계측에 의한 비교를 통해 더 정확한 삭제 방법과 해부학적 형태 회복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악 6 전치 치아모형을 스캔하여 3차원 치아 모델을 다자인하고, 3차원 프린터로 출력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치간 삭제용 금속 스트립을 이용하여, 전동으로 단면 순차 삭제와 양면 동시 삭제 그리고 수동으로 양면 동시 삭제를 시행하였고, Sof-Lex 디스크와 Zachrisson 버를 이용하여 인접면 형태를 재형성하였다. 삭제 후 와 재형성 후에 각각 구강스캐너로 치아 모델을 스캔하고 3차원 분석프로그램 상에서 삭제량과 삭제면의 각도, 그리고 평균곡률을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간 삭제 후 인접면에 형성된 삭제멸각의 크기는 평균 79.7 ± 2.9 º이다. 목표 삭제량이 0.1 mm인 경우 삭제량이 25% 증가하였고, 0.2 mm인 경우 단면 순차 삭제법에서는 실제 삭제량이 8% 더 증가하였고, 양면 동시 삭제법에서는 실제 삭제량이 15% 감소하였다. 인접면 중앙의 평균곡률은 삭제 전 평균 0.539이었으며, Zachrisson 버 (0.551)가 Sof-Lex 디스크 (0.242)보다 인접면 외형 회복에 유리하였다.
총생을 해소하기 전에 치아 별로 치간 삭제를 한다면 삭제면 각이 80 º가 되도록 하는 것이 추천된다. 삭제 목표량과 삭제 방법에 따라 실제 삭제량은 증감하였다. 인접면 재형성은 인접면의 평균곡률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치간 삭제 후 시행하는 것이 추천된다.
Author(s)
오은성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20-02
Type
Dissertation
Keyword
치간 삭제인접면 형태 재형성3차원 프린팅구강스캐너곡률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076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84880
Alternative Author(s)
Oh, Eunsung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Advisor
성상진
Degree
Docto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2. Theses (Ph.D)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