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소관의 유동성에 의해 유지되는 골지체의 핵 주변부 형성은 세포의 이동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DRG2는 미세소관의 안정성, 핵 주변부의 골지체 형성, 세포의 이동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DRG2의 감소는 소포체 내부 EGFR을 오래 머무르게 하고, 이는 AKT 활성과 GSK3β의 억제형태 인산화를 강화시킨다. DRG2가 감소된 세포에서 GSK3β의 억제에 의해 Tau는 낮은 수준의 인산화가 일어나고, 미세소관과 높은 결합을 보이고, 그에 따른 결과로 미세소관이 안정화된다. 안정화된 미세소관은 Nocodazole에 의한 미세소관 분해에 저항성을 가지게 된다,. DRG2가 감소된 세포에서는 미세소관의 성장과 미세소관 조직 센터(MTOC)의 형성, 골지체의 조각화 세포이동의 방향성이 손실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핵 주변부의 골지체 형성, GSK3β 인산화가 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과 미세소관 안정화를 조절하는 DRG2의 밝혀지지 않았던 기능을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