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간호사의 주사바늘자상에 대한 보고의도 영향요인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사의 주사바늘자상에 대한 보고의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의료기관 내 주사바늘자상에 대한 보고 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U 광역시 소재의 감염관리실의 기준을 갖춘 150병상 이상의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0년 1월 20일부터 2월 5일까지 약 2주간 시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실수와 백분율 등을 이용한 기술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최근 1년간 주사바늘자상을 경험한 대상자는 60.1%로 나타났다.
2. 주사바늘자상에 대한 보고의도는 평균 3.69(±0.88)점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사바늘자상에 대한 보고의도 차이는 기타 부서에서 근무하는 대상자의 보고의도 점수가 4.00(±1.00)점, 주사바늘자상 경험이 없는 대상자의 보고의도 점수가 4.06(±0.66)점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주사바늘자상 경험자의 보고 관련 특성 중 주사바늘자상 후 보고를 한 대상자의 보고의도 점수가 3.83(±0.9)점, 보고 후 처치 만족도에 대해 ‘매우 만족’이라고 응답한 대상자의 보고의도 점수가 4.60(±0.55)점, 주사바늘자상 재경험 시 보고의도를 묻는 질문에 대해 ‘예’라고 응답한 대상자의 보고의도 점수가 3.75(±0.84)점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5. 주사바늘자상에 대한 보고의도는 보고지식(r=0.298, 𝑝<.001), 보고태도(r=0.241, 𝑝=.002), 간호조직문화의 관계지향적문화(r=0.217, 𝑝=.006)와 혁신지향적문화(r=0.198, 𝑝=.01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주사바늘자상에 대한 보고의도 영향요인은 보고지식(t=2.49, 𝑝=.014)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지하는 보고지식이 주사바늘자상의 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의료 기관은 주사바늘자상 후 보고에 대한 절차와 방법을 포함하는 보고지식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보고 체계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알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rses’ intention to report needlestick injuries in order to encourage the intention to report such injuries within medical institution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3 nurses working in five general hospitals with at least 150 beds, complying with legal requirements for having a specialized infection control department, in U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over a period of two weeks from January 20 to February 5,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version 22.0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60.1% of subjects experienced needle stick injuries in the last year. The intention to report needlestick injuries scored 3.69(±0.88). The intention to report needlestick injurie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subjects in other departments who scored 4.00(±1.00), compared to subjects who did not experience needlestick injuries and scored 4.06(±0.66). Based on feedback from subjects who experienced needlestick injuries, the intention to report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following: those who reported after the experience had a score of 3.83(±0.9), those who responded "very satisfied" with treatment had a score of 4.60(±0.55), those who responded that they are willing to report if needlestick injuries occur again had a score of 3.75(±0.84). The intention to report needlestick injur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knowledge of reporting(r=0.298, 𝑝<.001), attitude of reporting (r=0.241, 𝑝=.002), and relation-oriented culture(r=0.217, 𝑝=.006) and innovation-oriented culture(r=0.198, 𝑝=.011) of a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The intention to report needlestick injuries was influenced by knowledge of reporting(t=2.49, 𝑝=.014).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nurses’ perceived knowledge of reporting is a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 on their intention to report needlestick inju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medical institutions should provide education and training on the procedure and methods for reporting needlestick injuries and necessary measure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o the reporting system.
Author(s)
김태린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08
Type
Dissertation
Keyword
주사바늘자상보고의도Needlestick InjuriesIntentionReport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420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38237
Alternative Author(s)
Tae Rin Kim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Advisor
김혜진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Nursing > 1. Theses(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