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I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동반 시행한 내측 반월상연골판의 수술이 무릎의 전방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연구목적: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동반하여 시행된 내측 반월상연골판의 아전/전 절제술, 봉합술 및 대조군으로 내측 반월상연골판이 정상이었던 그룹에서 객관적 검사를 통해 수술 후 무릎의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가설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동반하여 내측 반월상연골판의 아전/전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봉합술 및 연골판이 정상적일 때보다 수술 후 무릎의 전방동요가 심할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방법: 2010년부터 2017년까지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2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며, 수술 후 전방전위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 및 관절운동측정기(KT-1000), MRI 촬영을 시행한 경우를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255례 중 내측 반월상연골판의 아전/전 절제술을 같이 시행한 13례 (M 그룹), 봉합술을 같이 시행한 26례 (R 그룹) 및 대조군으로 내측 반월상연골판 상태가 정상이었던 20례 (N 그룹)에 대해 연구하였다. 수술 후 객관적인 전방전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전방전위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 및 관절운동측정기(KT-1000) 결과를 군간 비교하였다. 내측 반월상연골판의 파열 위치와 모양에 따라 시행한 연골판 수술방법을 조사하였다. 또한, 임상적 경과 비교를 위하여 Lysholm knee score 및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subjective score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기간 3.8년 (2~9년) 이었으며, 그룹간 나이 및 성별, 체질량지수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전방전위 방사선 스트레스 검사 상 건측 대비 환측의 전방동요는 M 그룹 평균 6.26mm (표준편차 3.23), R 그룹 평균 3.68mm (표준편차 1.66), N 그룹 평균 2.31mm (표준편차 1.39) 였다. 사후검정(Post-Hoc test)으로 Tukey's HSD(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 test 시행 결과 R 그룹 및 N 그룹에 비하여 M 그룹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전방동요(Side to side difference)를 보였다. (P=0.001, P<0.001) 반면, R 그룹과 N 그룹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67) 관절운동측정기(KT-1000)의 결과값 분석은 세 그룹 간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P=0.239) 수술 후 임상점수 비교에서 세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동반된 내측 반월상연골판의 파열에 대해 봉합술을 시행한 경우 내측 반월상연골판이 정상일 때에 비해 나쁘지 않은 전방안정성을 보였다. 반면, 아전/전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전방동요가 유의하게 더 크다는 결과를 얻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무릎 전방안정성을 최대한 회복하기 위해서 동반된 내측 반월상연골판의 파열에 대해 최대한 보존하려는 노력을 계속 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Author(s)
김동은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20-08
Type
Dissertation
Keyword
Anterior Cruciate LigamentMeniscus repairMeniscectomyStability
URI
https://oak.ulsan.ac.kr/handle/2021.oak/6538
http://ulsa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335299
Alternative Author(s)
KIM DONG EUN
Affiliation
울산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Advisor
김종민
Degree
Master
Publisher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Language
kor
Rights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1. Theses (Maste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